•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존 롤즈 정의론의 생태여성신학적 수용 (A Study on John Rawls' Theory of Justice for Ecofeminist Theological Justice)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0.12
39P 미리보기
존 롤즈 정의론의 생태여성신학적 수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직신학논총 / 61호 / 145 ~ 183페이지
    · 저자명 : 윤영숙

    초록

    본고는 모든 사람들이 매일의 일상에서 정의를 이루는 주체가 되기 위한 정의론을 모색하기 위해 존 롤즈(John Rawls)의 정의론을 생태여성신학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수용한 것이다. 그동안 제시되었던 정의론들은 주로 통치론을 반영한 정치철학에 집중하였고, 시대에 적합한 세계관과 인간관을 전제하지는 않았다. 이 시대 최고의 정의론으로 지목되는 롤즈의 ‘공정으로서의 정의’(justice as fairness)에서도 정의 실현의 일차적 주체는 사회의 기본구조로 제시되어, 개인이 정의의 주체가 될 기회를 제한시킨다. 롤즈는 정의의 역할(role of justice) 과 정의의 주제(subject of justice)를 협동체를 구성하는 원칙과 사회 기본구조를 규제하는 것으로 전제한다. 하지만 정의의 역할에는 협동체를 온전하게 유지하는 활동도 포함되어야 하며, 정의가 다룰 주제 역시개인적이고 일상적인 차원을 포함해야 한다. 롤즈가 전제한 정의의 여건(circumstances of justice)은 정의원칙을 수립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할 사항이다. 자원의 ‘적절한 부족상태’가 유지되고, ‘상충하는 요구’ 는 모든 만물과의 관계에서의 정의로 확장되어야 한다. 또한 롤즈의‘공정으로서의 정의’는 생태계의 유한성과, 복합적 부정의에 시달리는 여성과 약자들의 대표성을 고려하지 않는다. 그리고 정의 원칙을 도출하기 위해 설정한 ‘원초적 입장’(original position)은 합의 ‘당사자들’ 의 현재 기득권을 그대로 인정하는 것으로, 진정한 원초적 입장이라 동의하기 어려운 것이다.
    샐리 맥페이그(Sallie McFague)는 생태학적 위기와 핵 위기라는 전지구적 의제에 대한 신학적 응답으로 전통신학에서의 하나님 모델과 성육신의 교리를 재해석하여, 이 세계를 ‘하나님의 몸’(The Body of God) 으로 보는 생태신학을 전개하였다. 맥페이그의 이 세계를 ‘하나님의몸’으로 보는 모델은 하나님과 세상 간의 단절을 차단해 주고, ‘하나님의 집’이자 ‘만인의 집’(oikos)인 이 세상에서 한 집안의 규칙을 지켜야할 인간이 정의 실현의 주체임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이와 같이 우주적차원에서 세계를 조망하는 생태여성신학에서의 정의는 모든 생명을옹호하고 지지하는 ‘생명중심의 정의’(life-centered justice)다. ‘생명중심의 정의’를 위한 ‘생명의 원칙’(The Life Principle)은 ‘만인의 집’의구성원들이 지켜야 할 규칙이며, 유한한 지구 안에서 모두-함께 살아갈 수 있게 하는 규칙이다. 시원적 특징과 자명성을 가진 ‘생명의 원칙’ 은 롤즈의 정의론에 비추어 추론해도 첫째 정의 원칙이 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생명의 원칙’은 롤즈의 ‘자유의 원칙’과 ‘평등의 원칙’이 이념적·정치적 차원에 머물지 않고, 생명을 살리는 환대를 통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생태적 세계관과 인간관을 바탕으로일상에서 ‘만인의 집’의 규칙을 지키는 것으로 나타나는 정의론에서우리는 스스로 정의를 이루는 주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eks an ecofeminist theological perspective on justice in which every individual embraces justice as an acting subject in everyday life. Theories of justice have focused only on political philosophy and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world-view and human-view that is appropriate of the time. This study argues that John Rawls’ theory of justice, despite its long-standing reputation, has several limitations. First, it establishes the basic structure of society as the primary subject of justice, limiting ordinary individuals to act as subjects. It focuses on fulfilling individual interests, isolating ecological limitations which are the common interest of all people. Moreover, its acting ‘parties’ are the Western Anglo-Saxon male, leaving women behind. Rawls’ “original position” takes granted the socioeconomic rights of the dominating male, which can hardly be accepted as the true original position from an ecofemnist theological perspective. In addition, his premise for the “role of justice” to establish the principles of cooperative enterprise neglects the maintenance of it. The premise for Rawls’ “subject of justice” should include the dimensions of individual and daily life. The premise of “circum stances of justice” should be considered in any principle of justice. In ecofeminist theological perspective, “moderate scarcity” of resources should be maintained and “conflicting claims” should be extended to relations with all creatures.
    This study discusses the ecofeminist theological perspective on justice, based on Sallie McFague’s ecological theology. For McFague, who takes a cosmic perspective on all creation and the world, justice is “life-centered.” McFague’s metaphor, the world as “the Body of God,” is a clear attempt to put an end to the duali stic view on God and the world and to invite all individuals to be acting subjects of justice by following the rules of “oikos.” The embodied God becomes a companion who lives with us on earth, and the world becomes “oikos,” a house for God and all creatures. In ecofeminist theological “life-centered justice”, “The Life Principle” allows all creatures to live together in the finite planet. It should be the first and primary principle in the ecofeminist theological justice. In this perspective, we can be the acting subjects of justice, following the rules of ‘oikos’ in everyday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