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高峯 奇大升 修養論의 本質과 內容 (Essence and Contents of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in Daeseung Ki)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09.03
33P 미리보기
高峯 奇大升 修養論의 本質과 內容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윤리학회
    · 수록지 정보 : 倫理硏究 / 1권 / 72호 / 27 ~ 59페이지
    · 저자명 : 서은숙

    초록

    高峯의 修養論은 그의 理氣論과 四端七情論에 근거하여 마음을 보존하고 기르는 것에 그 핵심이 있다. 고봉의 이기론과 사단칠정론은 이 황과 같이 그 시원에서는 理先氣後의 입장을 취하나, 그 논리적 설명 과정에서는 對說과 반대되는 因說에 기초하여 그의 이기론과 사단칠정론을 주장한다. 즉 그는 理와 氣는 별개의 所從來가 있는 것이 아니며, 四端의 發은 七情의 發과 그 所從來가 같기 때문에 다 氣質之性 속에 갖추어 있는 理가 氣를 타고 發하는 것이므로, 사단의 발은 칠정의 발에 因仍하여 이룩되는 것이라고 본다. 이와 같은 이기론과 사단칠정론에 근거하여 그는 心이 理와 氣로 이루어졌고, 性과 情을 統攝한다는 心統性情의 바탕에서 고봉의 수양론에서는 마음을 기르는 存心이 강조된다.
    이와 같이 고봉은 因說에 기초하여 存心에 근거한 그의 수양론에서, 存心의 의미에는 誠意를 통한 明德 工夫, 正心과 中和를 통한 存養省察 등이 그 주요 내용이 된다. 이와 같은 고봉의 수양론은 궁극적으로 明人倫을 위한 존심의 修己와 敎化가 그 목적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를 위한 구체적 방법으로는 反覆應着과 體認의 讀書, 文行과 明誠을 통한 爲善去惡, 敬을 통한 防微, 그리고 이러한 수양을 바탕으로 이것이 타인에게 까지 영향을 미쳐야 하는 수양하는 사람으로서의 의무인 禮樂과 『小學』을 통한 敎化 등이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at to discover the Essence and Contents of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修養論) in Daeseung Ki. Kobong's theory of the self-cultivation is focused on the preservation of Mind on the base of Li-Qi and Four Beginnings-Seven Feelings discourse.
    In the essence of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in Daeseung Ki, there are three major theoretical bases. On the base of immanent theory (內在論, 因說), Li and Qi don't have their root separately. And Li and Qi have an interrelation with Nature and Feeling. In this, he emphasize that Mind controls Nature and Feeling (心統性情). Therefore, in his self-cultivation, it is very important for us to preserve Mind (存心). Especially, In the preservation of Mind, making one's mind sincere (誠意) and rectifying the Mind (正心) are very important elements.
    The meaning of the preservation of Mind means the study of original nature by making mind sincerely. As a result of this, one can do the Good and remove the Bad. Secondly, it means preservation of mind and self-examination through rectifying Mind and moderation. It is the way of cultivating Qi and Feelings, and when mind goes out and it fits nature.
    The direction of his theory of self-cultivation lies on manifestation of human relationships (明人倫) through preservation of mind (存心) and self-polishing (修己), and enlightening other people (敎化). In the process of his self-cultivation, there are four concrete methods : 1) reading books (讀書), 2) doing the Good and remove the Bad (爲善去惡), 3) protecting the bad feeling by mindfulness (敬), 4) enlightening people through rituals and music (禮樂), and 『elementary learning』(小學).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倫理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