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태준 문학사 방법론 재고(1)-『조선소설사』- (A Reevaluation of the Literary History Description by Kim Tae Jun (1)-History of Choson Sosol (조선소설사)-)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08.06
28P 미리보기
김태준 문학사 방법론 재고(1)-『조선소설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열상고전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열상고전연구 / 27호 / 157 ~ 184페이지
    · 저자명 : 이상욱

    초록

    본 연구는 천태산인(天台山人) 김태준(金台俊, 1905-1949)의 문학사 기술의 방법을 재조명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그 첫 번째 연구로 본고는 『조선소설사』(증보, 1939)의 문제의식과 방법론을 분석한다. 종래의 연구에서 『조선소설사』는 실증주의 사관이나 유물사관의 관점에서 분석되었으며, 그의 소설사 구성은 대개 일정한 방법이나 체계를 결여하고 있다고 평가되어 왔다. 이러한 경향은, 당시 그가 소위 실증주의의 본산이던 경성제국대학 출신이라는 점과 해방 전후에 사회주의 계열의 운동에 투신했다는 점 등 저술 외적 사실들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그의 문학사 방법론은 ‘모순된 방법론의 혼서’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특정한 문제의식을 결여하고 있는, ‘자료의 나열’ 정도로 폄하되어 왔다.
    이 같은 결과는 김태준이 이후의 국문학에서 당연한 것으로 인식되는 ‘문학적’ 방법을 전적으로 수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것은 먼저 대상의 개념을 확정하고, 과거의 ‘역사적’ 현실을 그와의 관련성 안에서만 인지하고 평가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기호학적 분석에 의하면, 대상의 역사적 동일성을 구성하는 요소로써 ‘개념’(내포)을 우위에 두는 것이다. 이 방식 안에서, 과거의 특정한 작품의 ‘소설사’에서의 위상은, 그 작품의 속성과 근대소설 개념과의 유사성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 과거의 역사적 명명(命名) 행위(기표와 기의의 관계)의 기호적 관계는 무시된다. 쉽게 말해, 예전에 소설이었던 것이, 현대의 소설사에서는 소설이 아닌 것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의미 중심주의’는 물론 서양의 가치체계(보편적인 것으로 인식된)의 전면적인 수입에 기인한 것이다. 김태준의 『조선소설사』는 이러한 문학의 ‘보편적’ 방식을 소설사 방법에 전면적으로 적용시키는 것을 거부한다. 김태준의 이 선택적 행위는 근대 문학적 방식을 전면적으로 수용한 후대의 연구자들에게 ‘수준 미달’로 비판 받았고, 그 행위의 문제의식은 인지되지 않았다. 역설적이게도, 김태준은 자신이 과거의 대상(소설)을 기술함에 있어 거부한 바로 그 방법(보편을 지향하는 문학적 방법)에 의해 과소평가 되고 있다.
    김태준은 소설-novel의 개념을 통해, 또 그 원근법을 통해 과거의 대상을 바라보았을 때, 벌어지는 사태에 대해 인지하고 있다. 그것은 당시 ‘세계 소설’의 기준에 심각하게 미달되거나 아예 역사라는 인과관계로 연결될 수 없는 사태였다. 그렇다고 과거의 ‘조선소설’을 단지 현재와 관련이 없는 ‘과거의 것’으로 남겨두자면, 또 소설-novel과 문학-literature의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대세가 된 것을 인정하자면, 조선적인 특수성을 담보하는 어떤 것도 남지 않게 된다. 김태준의 문제의식은 바로 여기서 비롯되며, 이에 그가 내세운 것은 기표로서의 소설이다. 그는 통역사적 개념을 소설을 규정하는 동일성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다만 소설 기표와 기의의 역사적 변화를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각 시대별로 기표가 지칭하는 대상과 내포에 대한 기술을 통해 소설사를 구성한다. 예전 사람들이나 요즘 사람이 소설이라 칭하던 대상은 김태준에게도 똑같이 소설인 것이다. 이 방법은 민족, 소설, 역사라는 근대적 욕망이 소설사 또는 문학사 기술에 과도하게 개입되는 것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동일성도 전달하는 기표의 특징을 통해 조선의 전통적 특수성의 물꼬를 현대 소설로 열어 놓는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eries of studies is to re-examine the method of literary history description by Kim Tae Jun (1905-1949). In this paper, the critical point and the methodology of <History of Chosŏn Sosŏl> (enlarged edition, 1939) will be studied. In the previous studies, <History of Chosŏn Sosŏl> has been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ositivism or the materialistic conception of history and his work was considered lacking a system. These critics have been affected by the facts that he graduated from Kyungsung Imperial University in which the positivism was a dominant method and that he devoted himself to the socialist movement afterwards. In addition, his methodology was thought to be unsystematic because modern literary historiography was based on methodology which was considered as 'orthodox' and 'universal'.
    However, Kim Tae Jun did not apply these 'orthodox' methods to his study. The orthodox method of the modern literary study first established the concept of the object and recognized objects only through the established concept. From a semiotic perspective, In this method, for example, of a Sosŏl piece in the history of Sosŏl, is determined by the similarity between an attribute of the piece and the concept of modern novel. The historical naming, in other words, historical semiotic relationships between 'signifiant' and 'signifié', is disregarded. Consequently, modern literary historians may exclude the 'Sosŏl' in the past from their history of Sosŏl. This connotation-centered method was caused by the import of the Western value system which was considered universal. However, Kim Tae Jun refused to apply this 'universal' system to his <History of Chosŏn Sosŏl>. His selection method was underestimated by the scholars who applied this very system and the important point of his action was not recognized.
    He recognized the result of taking the method of seeing the past through 'the perspective'. Most pieces of Chosŏn Sosŏl were estimated as significantly inferior from the standard of 'the world novel' and it could not described as 'the history' which affected 'the present'. However, if he put these pieces just in the memory of the past and admitted new paradigm of the modern literature, there would be no means to make the Chosŏn Sosŏl special. This was his critical point at the beginning of <History of Chosŏn Sosŏl> and he presented 'Sosŏl as signifiant' in his historical method. He did not admit a historical concept of Sosŏl (novel). Instead, he composed his <History of Chosŏn Sosŏl> through historical conceptualization of Chosŏn Sosŏl. In short, he called it 'Sosŏl' if it was called 'Sosŏl' in the past and included it in his <History of Chosŏn Sosŏl> as an object. This method minimizes interventions of 'modern desires' such as nation, literature and history in the description of literary history. At the same time, it intended to open a passage which could make it possible to carry specialty of Chosŏn's past to the present through the characteristic of the signifia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상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