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존재론적 욕망의 회화적 역능성 연구 (A Study of The Pictorial Puissance of The Ontological Desir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2.05
19P 미리보기
존재론적 욕망의 회화적 역능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예술과미디어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과 미디어 / 11권 / 1호 / 35 ~ 53페이지
    · 저자명 : 엄기홍

    초록

    지난 세기를 거치면서 코키토 주체보다는 몸주체가 부상되면서 예술분야에서는 이전보다 현격하게 욕망이 부각되고 있다. 이때 욕망은 소유론적 욕망과 존재론적 욕망으로 대분할 수 있는데 본 논문이 주목하고자 하는 대상은 존재론적 욕망이다.
    존재론적 욕망이란 존재에 대해 사유하는 욕망이며 과잉 주의(注意)를 경계하는 사유이거나 소유론적 욕망을 성찰할 수 있는 통섭적인 욕망을 말한다.
    존재론적 욕망이 요청되는 까닭은 우리가 사물들을 이해할 수 있는 우리의 능력보다 사물들이 더 빠르게 변하는 미증유의 복잡성의 순간을 살고 있기 때문이다. 복잡성에 대한 성찰은 지구생태계가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유일한 조건이기 때문에 되돌릴 수 잆는 인간의 조건이 되었다. 이때 복잡성은 인간의 소유론적 욕망 즉 자기중심적인 세계관을 용해시키고 대신 생태론적 시각이랄 수 있는 자기중앙적(net-work centric) 세계관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는데 여기서 요청되는 것이 인간의 존재론적 욕망이다.
    이 같은 존재론적 욕망은 최근의 들뢰즈의 생명철학이나 데리다의 해체철학과도 관련이 깊지만 특별히 노장사상의 무위(無爲)나 불교의 공(空)과 같은 동양적 사유방식과 친밀하다는 점에서 예술행위에 있어서 주목할 필요성이 배가된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s focussed on the puissance of ontological desire of Non-representation in Art. It concerns to the self-negation and the moment of complexity.
    1) We are living in the moment of unprecedented complexity. This is a time of transition betwixt a period that seemed more stable and a time equilibrium will be restored. Awash in a sea of meaningless information and images by new media, many people long for stability. Stability, however, can be deceptive. In the world that is emerging, the condition of complexity is irreducible. While the moment of complexity generate uncertainty, today's cultural transformation are also creating possibilities for apprehending ourselves in a new way. To understand our time, we must comprehend complexity, and we have to criticize the hyper-attention. That is to realize the dangers of the cogito-subject and one's hyper-positive attitude.
    2) In Modern Era "Representation" is an activity of self-othering which is based on the subjectivity. The cogito-suject self identically reduces others. As a result, the representational painting shows up as a screen-like effect of "Presence" in the Late Modernist Painting. Since the pictorial image holds epistemological objectivism, it is similar to Language as the closed system. On the other hand, Non-representation in Art refers to the open system since presence and absence are based on double-negation. If the representation is the outcome of self-affirmation through self-othering, non-representation is the outcome of self-negation. This concept relate to the Trans-Linguistic Thought. In this thought, one's self-negation attitude continuously rejects the extinction of opposite minded manners such as subject/object, spirit/physic, visible/invisible. civilized/uncivilized, etc. Therefore, the non-representation, based on the self-negation, familiar with the kind of chaos-oriented axiology. Finally speaking, that is the result of puissance of the ontological desire and the net-work centric though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과 미디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