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르트신조의 예정론에 대한 바르트의 수용 (Barth’s Reception of Predestination in the Canon of Dortrecht)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9.05
32P 미리보기
도르트신조의 예정론에 대한 바르트의 수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개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개혁신학 / 62권 / 153 ~ 184페이지
    · 저자명 : 이상은

    초록

    본문은 개혁교회의 중요문헌인 도르트신조에 대한 20세기 신학자 바르트의 수용에 대해 다루고 있다. 바르트가 도르트신조에 다른 개혁교회의 신앙고백서에 비해 특별한 중요성을 부여했던 것은 분명하다. 바르트는 자신의 괴팅엔 시대에 행한 강연에 기반을 둔 저술인 『개혁신앙고백서의 신학』을 통해 이 문서를 주목하고 분석해 나가고 있으며, 대표저작 『교회교의학』(Kirchliche Dogmatik)에서도 중요한 자료로 다루고 있다. 특히 그는 전택설과 후택설에 관련된 주제를 주의 깊게 살펴보면서 자신의 그리스도 중심적 선택론을 전개하는 가운데 종합화해나가고 있다. 여기에서 그를 전택설의 신학자로 평가하는 몰트만이나 마우, 혹은 후택설로 평가하는 쳉의 일방적인 입장은 받아들여질 수 없다는 사실이 입증된다. 바르트의 도르트신조관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초점은 그가 ‘무’의 형식을 부정하는 하나님의 의지를 주목하는 가운데 도르트신조의 정신을 실천적 주제로 확장해 나갔다는 점이다. 그러한 면에서 그는 하나님의 행동을 강조하는 가운데 신학적 역동성을 확보해 나가고자 했다. 한편으로 그리스도 안에서의 만인을 선택하기로 결정한 하나님의 결의에 대한 설명을 전개하는 가운데 보여준 선택론을 종합화하고자 했던 그의 시도는 만유 화해론(아포카타시스 판톤)의 문제를 담지하고 있기도 하다. 이 점은 그가 도르트의 선택론을 보다 더 진지하게 다루었어야 하지 않았을까라는 아쉬움을 남기는 부분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ain Karl Barth’s reception of the Dortrecht Confession, one of the important text of the Reformed tradition in 17th Century. Especially, it begins with an assumption that Barth places priority on this confession, comparing to other Reformed confessions. Historically, Barth pays attenttion to this confession in his Goettingen period(1921-1925), and gives lectures on it under the title of “the Theology of the Reformed Confessions”(1923) Since then, it was dealt with in his development of his doctrine of Election, which was main theme of the Church Dogmatics. In this context, he analyses the theme of supralasarianism and infralapsarianism considerably, and he synthesizes merits of this concepts in order to develop his doctrine of election, which shows the christocentric character of his theology. In this sense, it can be proved that Moltmann’s opinion or Mouw’s is not proper, which emphasizes the supralapsarian character of Barth’s doctrine, nor can Tseng’s be sustained, which shows infralapsarian character of Barth’s theology. It is also worthy of notice that Barth extends the theme of the Confession to the theme for the practical territory, in that he put attention to the will of God who denies the power of “Nothingness”. Meanwhile, his synthesizing endeavour to the election exposes the danger of apokatasis panton, for it includes the problem of indiscriminating redemption of all mankind. Regarding this, it is to evaluate that his reception of Dortrecht Confession accompishes without more consideration of its impli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개혁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