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역(易)의 감응론과 유학의 공감정치 (The Correspondence Theoryof I Ching and Empathetic Ruling of Confucianism)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5.11
31P 미리보기
역(易)의 감응론과 유학의 공감정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철학논집 / 46호 / 9 ~ 39페이지
    · 저자명 : 이선경

    초록

    한국사회의 불신지수를 반영하듯, 최근 ‘소통’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고, 소통을 위해서는 합리성과 사실을 존중하는 공론의 장을 형성해가야 한다는 논의가 공감을 얻고 있다. 이 글에서는 진정한 사회적 소통을 위해 합리적 토론문화의 형성 이전에 전제되어야 할 것이 타인에 대한 ‘공감’임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전통 유학의 사회 및 정치사상은 타인에 대한 공감을 기저로 하는 것임을 지적하고, 역의 감응론이 그 이론적 토대임을 논한다. 역의 감응론은 ‘이 세계를 구성하는 원리인 감응을 통하여 인간사회와 우주적 생명세계에 형통함을 가져오려는’ 목적을 지닌다. ‘한 번 음이 되고 한 번 양이 되는’ 음양의 율동은 자연세계와 인간사회를 관통하여 부단히 생생(生生)작용을 거듭해 가며, 『주역』에서는 이러한 생생작용을 인(仁)의 가치로 수렴한다. 생명살림의 의미로서 ‘인’은 대대관계를 이루는 두 주체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
    유학적 사회관계를 대표하는 오륜(五倫)은 대타자적 균형감각을 핵심으로 한다. 오륜에서 ‘부모는 자애롭고, 자식은 효성스럽다’고 하여 쌍방향 윤리를 제시하는 것은 감응 이론의 확장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감응과 소통의 책임은 기본적으로 윗자리의 지도자에게 있다. 군위신강(君爲臣綱), 부위자강(父爲子綱), 부위부강(夫爲婦綱)이라는 삼강(三綱)의 윤리에서 권력관계의 우월성을 읽을 수도 있지만 동시에 윗자리에 처한 사람의 책임과 소임에 대한 강조를 읽을 수 있다. “남의 슬픔과 고통을 차마 외면하지 못하는 정치[不忍人之政]”를 설파한 맹자의 측은지심(惻隱之心)의 정치, 더 나아가 ‘여민동락(與民同樂)’의 정치는 관계적 사유를 중시하는 역의 감응론이 정치적 원리로 발현된 형태로 볼 수 있다. 경연, 상소제도 등과 같이 조선의 지식인들이 추구했던 언로개방의 소통정치 또한 감응론에 입각한 정치 방법론이라 하겠다. 오늘날 한국정치현실에서 유학의 공감의 정치원리와 그 기초로서 역의 감응론은 새롭게 연구할 시의성이 있다.

    영어초록

    As if to reflect the current level of distrust in Korean society, a discussion of “communication” has been actively taking place, and the argument that a platform of public discussion that respects rationality and truth needs to be formed is slowly gaining ground. In this paper, I argue that in order to have true societal communication, the premise of forming a culture of rational discussion should center on empathy for other people. To this, I will highlight that traditional Confucianism society (and its political ideology) is based on empathy for other people, with the correspondence theory of I Ching as its background. The aim of the correspondence theory is to facilitate communication between human society and the natural world through correspondence between yin and yang. The dynamics of yin and yang embodied in the natural world and human society are always in motion, which signifies the value of benevolence(仁). The interaction between two opposing parties may form balance and harmony.
    The five cardinal principles of morality(五倫) that govern the human relationships in a Confucian society place equilibrium in considering others at the core. Among the five principles, “parents are benevolent and children are dutiful to their parents” indicates a two-way flow of ethics,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n expansion of the correspondence theory. The responsibility for such correspondence and communication typically falls onto the leader of the relationship. In the morals of the three basic principles(三綱), which are “King set a good example for his servant(君爲臣綱),” “Parents set a good example for their children.(父爲子綱)” and Husband set a good example for his wife(夫爲婦綱)”, one may see the superiority in the power structure. However, the emphasis is clearly placed on the responsibility and duty of the person in charge. The empathetic(惻隱之心) ruling by Mencius—“politics that cannot neglect other people’s pain and suffering [不忍人之政]”—as well as the ruling of “the King and the people share joy together (與民同樂)” can be seen as embodying I Ching’s correspondencetheory, which stresses relations among two parties. The politics of open communication—which all intellectuals of Chosun dynasty strived for, such as the system of Gyeong Yeon(經筵, daily seminars between the King and scholar officials) and the system of Sang So(上疏, letters of contest and appeal by the officials to the King)—are all political methodologies based on the correspondence theory. In the current political situation in Korea, it would be worth while to study with fresh eyes the principles of empathetic ruling in Confucianism and its basis, the correspondence theory of I Ch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