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위일체론적 성경본체론 회복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 언어행위 이론(Speech-act theory)의 통찰을 활용하여 (A Thought on the Need to Retrieve a Trinitarian Ontology of Scripture: In the Light of Speech-act Theor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2.10
28P 미리보기
삼위일체론적 성경본체론 회복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 언어행위 이론(Speech-act theory)의 통찰을 활용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성경과 신학 / 63권 / 353 ~ 380페이지
    · 저자명 : 윤형철

    초록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기능론적 성경론의 약점을 극복하는 대안으로서 성경본체론을 회복해야 할 필요성을 역설하고, 성경의 속성과 기능과 권위에대한 보다 나은 신학적 해석으로서 ‘삼위일체적 성경본체론’을 제시하려는데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의 도전에 직면하여 포스트리버럴 신학은 성경의 권위를믿음공동체의 구체적 삶의 정황 속에서 정체성을 형성하고 삶을 변혁시키는성경의 기능에서 찾으려 한다. 포스트리버럴 신학의 기능론적 성경론은 성경의 권위를 ‘성경에 내재한 속성’이 아닌 ‘공동체에 의한 성경의 사용’에 근거하게 함으로써, 성경이 삼위 하나님과 맺고 있는 관계에 대해서는 소홀히취급한다. 비록 성경을 해석공동체와 그들의 구체적 삶으로 연결시킴으로써성경론에 있어서 해석공동체의 중요성을 재발견하는 데 있어서 공헌함에도불구하고, 기능론적 성경론은 성경본체론적 논의를 결여하고 있고 그럼으로써 ‘살아있는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성경의 외적이고 객관적인 권위에 대해서는 충분한 해명을 제공하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성경을 하나님과의 관계의 관점에서 이해하려는 본체론적 성경론 회복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삼위일체론의 중심성과 권위의 패턴에 대한 이해는 기독교적 성경론이 무엇보다도 ‘삼위일체론적 성경본체론’이어야 함을 말해준다. 그러한 삼위일체적 성경본체론은 성경론에있어서 본체와 기능, 권위와 수행, 의미와 실천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해석적 틀을 제공해 준다.
    언어행위 이론의 개념과 통찰을 차용하여, 우리는 성경을 ‘삼위하나님의소통수행적 언어행위’로 이해할 수 있다. 삼위하나님의 소통적 행위로서 성경은 계시적, 구속적 경륜 속에서 우리를 하나님의 백성으로 만들어 하나님과의 언약관계 속에 거하게 한다. 이런 의미에서 하나님의 전능한 언어행위로서의 성경은 또한 ‘하나님의 언약적 언어행위’이다. 확실히, 성경의 최상의권위는 ‘교회의 성경사용’에 의해서 아니라, ‘하나님의 신적 사용’에 기인한다. 공동체의 성경 해석과 수행과 삶 속에서의 구체화는 신적 사용과 수행의결과이기 때문에, 하나님의 살아있는 말씀으로서의 성경 권위의 원천이 될수 없다. 더 나아가, 성경의 실천과 수행을 우선적으로 하나님의 것으로 귀속시키는 삼위일체적 성경본체론은 성령의 해석학적 중요성을 재조명한다는 점에서 ‘성경과 성령의 밀접한 관계’라는 개혁주의적 성경론의 사상을 다시금 확인한다.

    영어초록

    The overarching aim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e urgent need to retrieve an ontology of Scripture in order to overcome the fatal weakness of a functional bibliology, and to suggest ‘a trinitarian ontology of Scripture’ as a more promising theological account of Scripture.
    Facing the challenge of postmodernism, postliberal theology attempts to restore Scripture’s authority in terms of the function of Scripture,which forms the identity of the faith communities and transforms them in the concrete life situations. Put differently, by way of attributing the authority of Scripture to ‘the use of Scripture by the community’ instead of ‘the intrinsic property of Scripture,’ postliberal’s functional bibliology fails to do full justice to the relationship of Scripture with the triune God. In spite of its contribution to rediscover the importance of the interpreting community by linking intimately Scripture with the community,a postliberal view of Scripture lacks a dogmatic and ontological account of Scripture, which considers Scripture to have an external and objective authority as the viva vox Dei.
    From this emerges the need to retrieve an ontological view of Scripture, which claims to begin with talk of Scripture from the relation of Scripture with God who speaks in and through it. On account of the centrality of the doctrine of the triune God and the pattern of authority,a Christian account of Scripture ought to be, above all, a ‘trinitarian ontology of Scripture,’ which could provide our talk of Scripture with an interpretative framework to understand both ontology and function,authority and performance, and meaning and embodiment in a more integrated way.
    Appropriating the concepts and insights of speech-act theory, we can speak of Scripture as ‘the triune God’s communicative-performative speech-act.’Scripture as God’s communicative speech-act makes us the people of God and brings us into the covenantal relation with God in the economy of divine revelation and redemption. In this sense, Scripture as God’s mighty speech-act is also ‘God’s covenantal speech-act.’ Surely, the supreme authority of Scripture is rooted in ‘the divine use of Scripture’,not ‘the churchly use of it.’ The interpretation, performance, and embodiment of Scripture in the life of the community is the subsequent consequence of the divine use and performance of it, and thus cannot be the root of Scripture’s authority. Furthermore, a trinitarian ontological view of Scripture recognizes anew the hermeneutical significance of the Spirit in talk of Scripture and by so doing reaffirms ‘the mutual bond of the Word and the Spirit,’ one of the Reformed thoughts on Scrip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성경과 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