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모성회귀 체험에 관한 존재론적 탐구 (An Ontological Inquiry on the Experience of Maternal Regress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6.02
28P 미리보기
모성회귀 체험에 관한 존재론적 탐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치료연구 / 23권 / 1호 / 67 ~ 94페이지
    · 저자명 : 최은우

    초록

    본 연구는 우리가 모성회귀의 심리적 과정에서 현실적인 삶으로부터 퇴행하여 자기치유의 시간에 존재하는그 체험의 본질은 무엇이며, 모성회귀 체험이 우리 삶에서 어떤 의미로 드러나는지를 해명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에 연구자는 대도시에 거주하면서 자녀를 둔 중년 직장인 8명을 대상으로 8개월 동안 그들의 모성회귀 활동을 존재론적인 탐구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들의 모성회귀는 그들의 삶과 관련하여 전체 40개의 스토리가 생성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발굴한 모성회귀 체험의 의미는 첫째, ‘마음의 그림자를 삶의 형식으로 채색하는 일’ 둘째, ‘삶이 초월되는 치유 과정’으로 요약된다. 첫 번째 의미는 ‘현실로부터 억압되었던 것을 되찾는일’, ‘어려운 현실로부터 벗어나 자신의 신체성에 머무는 일’, ‘실존에 바탕을 둔 미적체험’이 포함된다. 두 번째의미는 ‘내 존재로 살아내기 위한 다리를 놓음’, ‘데자뷰의 공간에 머무름’, ‘내 안의 어머니, 그 품에 안김’, ‘순환의 고리로 들어감’, ‘삶의 생기에 붙들림’이 포함된다. 이로써 모성회귀는 전 생애를 다루는 실존적인 의미로탐색되며, 개인의 신체성에 기반이 된 능동적인 활동으로써 삶의 역설적인 내용뿐 아니라 인간보편성과 독특성의 통합을 이룰 수 있는 미술치료로서 응용 가능성을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nature of the experience during in the self-healing period in regression from our realistic life during the psychological process of maternal regression and the effect of maternal regression on life. The researcher carried out the research ontologically on the maternal regression activities, targeting 8 middle-aged office workers residing in a big city and having their children. As a result, total 40 stories were found in total on the maternal regression of the participants. The meaning of the maternal regression experience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loring the shadows in the mind with the form of one's life', Second, 'healing process transcending the life'. The former includes 'regaining something suppressed in the realistic life', 'escaping difficult circumstances and staying in one's body' and 'an existence-based aesthetic experience'. The latter includes 'creating a bridge for living as the existence of myself', 'staying in the space of déjàvu', 'being held in the arms of a mother in me', 'entering a loop of circulation' and 'being held in liveliness of life'. Hereby, it is shown that the maternal regression has existential meaning and that it can be applied to art therapy to achieve an integration of the universality and the uniqueness of a human as well as the paradoxical contents of life as an active activity based on the physicality of an individu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