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제두의 천지만물일체를 위한 수양론 (Jeong Je Du’s Theory of Cultivation – For the Purpose of the Unity of the World)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4.12
32P 미리보기
정제두의 천지만물일체를 위한 수양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74호 / 53 ~ 84페이지
    · 저자명 : 김세정

    초록

    정제두에 의하면 본원적으로 天과 人은 一元이며 天地萬物과 人은 一體이다. 그리고 인간은 천지의 靈으로서의 人心을 통해 자연만물과 감응하면서 천지의 만물 화육에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인간은 단지 이러한 영명한 人心을 지니고 있는 것만으로 아무런 장애나 노력 없이 천지만물과 하나 됨 삶을 살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논문에서는 인간이 자연만물과 하나 된 삶을 살기 위해 修養이 필요한 이유와 구체적인 수양 방법들에 대해 고찰하고, 정제두 수양론이 지니는 생태론적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인간은 영명한 人心만이 아닌 개체욕망(私欲)의 발동 가능성을 안고 있다. 개체욕망은 우주적 차원의 자아를 망각한 채 天과 人을 둘로 나누어 버리고 자신의 육신만을 ‘나’라고 여기며 육신의 편안함과 이익만을 추구함으로써 天人一元의 타고난 본성을 차폐시킨다. 개체욕망은 인간의 본성과 감정의 작용에 過․不及을 야기함으로써 자연만물과의 온전한 감응 작용을 가로막고, 종국에는 자신의 욕망 충족을 위해 자연만물을 손상시키고 파괴하는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인간은 사욕을 제거하고 영명한 마음이 천지만물과 온전하게 감응토록 하는 후천적 ‘修養’을 필요로 한다.
    현실 세계에서 인간이 천지만물과 하나 된 삶을 살기 위한 구체적 수양 방법으론 ‘四端의 확충’, ‘明明德과 親民의 一事’, ‘盡性을 통한 天地化育에의 참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모두 다음과 같은 공통점을 지닌다. 첫째, 本性, 明德, 四端, 良知, 禮義 등 다양하게 표현되지만 이들은 모두가 인간이 자연만물의 생명 손상을 자신의 아픔으로 느끼는 ‘痛覺의 주체’를 의미한다. 둘째, 이러한 통각의 주체가 하는 주된 기능은 바로 천지만물과의 ‘感應’이다. 감응은 자연만물의 손상을 아파하고 치유하며 이들을 보살피고 키워주는 실천적 행위를 포함한다. 셋째, 내가 자연만물과 감응하는 하나의 일이지만 감응 주체인 나로부터 보면 ‘明明德’, ‘成己’, ‘忠’이라 말하고, 감응되는 자연만물로부터 보면 ‘親民’, ‘成物’, ‘恕’라고 말하는 것일 뿐이다. 넷째, 나의 본성을 실현하는 일은 곧 자연만물의 본성 실현은 물론 천지의 만물 창생과 化育으로 귀결된다.
    이러한 정제두 수양론의 생태론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양의 환경윤리는 인식의 전환을 매우 중시하는 반면, 수양론에 대한 논의는 찾아보기 어려운 반면 정제두는 실제적인 수양을 매우 중시한다. 물론 자연은 인간 욕망 충족을 위한 도구와 수단이 아니라 하나의 소중한 생명이자 인간과 삶의 동반자라는 인식의 전환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인식의 전환을 바탕으로 인간의 이기적 욕망을 극복하고 자연과 하나 된 삶의 살 수 있는 생태적 감수성을 회복하고 이를 확충해 나가는 끊임없는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이럴 때 인간은 진정으로 자연과 하나 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둘째, 사회 생태론자인 머레이 북친이 이성만을 존중하고 영성, 감성, 감정 등을 열등한 것으로 취급하여 또 다른 위계화의 문제를 야기하는 반면, 정제두는 영성, 이성, 감성, 감정 등 인간의 내적 요소들을 우열의 문제 또는 대립적 관계 내지는 취사선택의 문제로 보지 않는다. 이러한 요소들은 모두 인간이 자연만물과 감응하는 데 있어 그 어느 것 하나 무시하거나 버릴 수 없는 주요한 요소들이다. 중요한 것은 수양을 통해 이러한 요소들이 자연만물과의 감응 과정에서 過․不及의 상태에 빠지지 않고 中節의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양한 요소들의 균형과 조화를 중시함으로써 북친과 같이 이성 절대주의에 근거한 또 다른 위계의 가능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Jeong Je Du’s view, first of all the Heaven and human have the same source (一元), and all things in the world and human are one and only body (一體). Furthermore, as the holiness (靈) of the world, human can communicate with others in the world through his mind (人心) and thus can participate as the subject in the improvement of the world. However in reality, despite this numinous and bright mind, if human does not make any endeavor, he will not be able to live together with other things in the world as a whole body. In this paper, the author would like to search for the important reasons for the cultivation (修養) aiming at the harmonious co-existence between human and things in the nature, the detailed methods for cultivating, and from those tries to find the ecological significance contained in Jeong Je Du’s theory of cultivation.
    Human has got not only the numinous and bright mind (人心), but also the propensity for the emergence of individual desires (私欲). The individual desires make human forget his own universal dimension, divide the Heaven and the human into two separate parts and abandon them, and regard only his physical body as his ‘ego’ himself and thus seek only the convenience to it, ignoring the innate character of ‘sharing the same source with the Heaven (天人一元)’. Those individual desires cause much excess and deficiency in human nature and feeling, to such an extent that it obstructs th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between human and other things in the nature, and finally cause many problems when leading human to damage and destroy the nature only for the sake of human desires. Hence there is the necessity of the a posteriori ‘cultivation (修養)’ for human to eliminate his desires and harmoniously communicate with other things in the nature.
    In order for human to live in harmony with other things in the world, there are some detailed methods of cultivation such as ‘expanding the four sprouts (四端)’, ‘manifesting the illustrious virtue (明明德) and being close to the people (親民) as an undertaking (一事)’, ‘participating in the transformation and nourishment of the world (天地化育) by performing all innate nature (盡性)’ etc. They all share some similar features as follows. Firstly, though they are called by many names such as ‘innate nature (本性)’, ‘brilliant virtue (明德)’, ‘four sprouts (四端)’, ‘good knowledge (良知)’, ‘rites and righteousness (禮義)’, etc, these names all refer to ‘the subject sympathizing with sufferings (痛覺)’ - means human feels painful in front of other things’ damage of life. Secondly, the outstanding ability of this subject is the very interaction (感應) with other things in the world. The interaction also includes practical activities such as the feeling of the damage of other things, the cure for it, and the concern and growing of them. Thirdly, although the interaction between me and other things in the nature is only one fact, it can be seen from two different aspects: if it is considered from me, it will be called ‘clarifying the brilliant virtue (明明德)’, ‘self-growth (成己)’, ‘loyalty (忠)’ etc; if it is considered from other things, it will be called ‘being close to people (親民)’, ‘growing things (成物)’, ‘mercy (恕)’ etc. Fourthly, the realization of my innate nature is regarded as the realization of the nature of other things in the worlds, and the transformation and nourishment (化育) of all things.
    The ecological significance of Jeong Je Du’s theory of cultivation can be seen as follows. Firstly, although the Western environmental ethics emphasizes on the change of recognition, it is not easy to find the arguments on theory of cultivation in those ethical theories; whereas Jeong Je Du particularly stresses on the real cultivation process. Obviously, the change of recognition according to which the nature is not the instrument or tool for the satisfaction of human desires but an important existence and the companion of human must precede. Based on this change of recognition, we must do our best to restore and expand the ecological sensitivity in diminishing human desires and live together with the nature as the whole body. Then human can create an opportunity to really live in harmony with the nature. Secondly, while Murray Bookchin - the social ecologist - respects only the rationality and considers all others such as divine character, sensibility, emotion etc as inferior, thus causes many problems in unequal viewpoints, Jeong Je Du does not regard human inner characters such as rationality, divine character, sensibility or emotion etc, as problems of discrimination or opposite relation that must be resolved. All of those characters play their roles in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 and other things in the world and thus cannot be ignored or rejected. The important thing is that, in the process of interaction with things in the world, through the cultivation, those characters can overcome the excess and deficiency and maintain the balanced state. This emphasis on the balance and harmony between various characters can prevent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any other unequal treatment which, like in Bookchin, is based on the absolutism of ration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