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盤湖 尹光顏의 經學論 考察 (A Study on Banho Yun Guang-an’s Confucianis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4.01
29P 미리보기
盤湖 尹光顏의 經學論 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81호 / 91 ~ 119페이지
    · 저자명 : 정만호

    초록

    尹光顏(1757-1815)의 본관은 坡平, 자는 復初, 호는 止軒ㆍ盤湖이다. 내직으로는 校理, 修撰, 大司諫, 大司成 등을, 외직으로는 순천 부사, 충청 감사, 경상 감사 등을 역임하였다. 그의 삶에서 주목할 만한 행적은 정조 때 초계문신에 뽑힌 것이다. 본고는 초계문신 때 작성한 윤광안의 글을 중심으로 그의 경학론을 고찰하였다.
    경학에 관한 윤광안의 견해는 표면적으로 주자의 학설을 수용하는 듯 보인다. 글자 하나, 자구 하나도 주자의 견해를 따르고자 하였으며, 주자가 말하지 않은 것을 언급하는 것은 妄論이라 표명하였다. 그러나 주자와 다른 견해를 제시하는 과감함을 보이기도 하였다. 따라서 반호는 주자 학설을 전적으로 추종하기보다는 존중하면서 자신의 견해를 적극적으로 피력한 인물이다.
    반면 漢儒의 학설에 대해서는 한대의 경서 복원, 특히 『서경』의 복원이 잘못되었다는 판단 아래 부정적 시각이 두드러진다. 이러한 시각에 기반하여 『고문상서』를 불신하였다. 주자를 비롯한 여러 학자의 견해, 후대의 책들이 『금문상서』보다 『고문상서』에서 인용한 내용이 더 많고, 후대의 책에서 인용한 『서경』의 내용이 빠짐없이 『서경』에 수록되어 있음을 근거로 『고문상서』를 의심하였다. 『고문상서』를 불신하는 입장을 견지하면서도 산삭에는 반대하였다. 오히려 聖王의 법을 본받아 治國에 도움이 된다며 『서경』의 효용성을 인정하였다. 『고문상서』에 속하는 「대우모」에서 執中의 學問을 배우라고 정조에게 건의하기도 하였다.
    윤광안의 條對는 정조의 經史講義를 보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를 지닌다. 그의 문집에 실린 정조의 條問 가운데 『홍재전서』의 내용과 유사하면서 다르거나, 『홍재전서』에 없는 條問도 있다. 따라서 두 자료를 비교하면 정조의 경사강의 실체를 보완하는 자료가 될 것이다. 아울러 『홍재전서』에 선정된 초계문신들의 답변과의 비교를 통해 정조의 학문 지향을 분석할 수 있다. 『홍재전서』에 수록된 답변은 비교 대상이 없으므로 선정 기준, 다른 견해의 유무를 파악하기 어렵다. 윤광안의 글은 비교 대상 자료로서 가치를 지닌다. 마지막으로 그의 문집은 소론계 학자들의 학맥과 학문 경향 파악에 도움이 된다.

    영어초록

    Yun Guang-an(尹光顏, 1757〜1815) belonged to the clan of Popyeong(坡平), Bokcho(復初) was his courtesy name, and jIheon(止軒) and Banho(盤湖) wear his pen names. He held various official positions such as Gyoli (校理), Suchan (修撰), Daesaryeon (大司諫), and Daesasung (大司成), and served in external positions such as the Sub-Magistrate of Suncheon, Governor of both Chungcheong, and Gyeongsang. He gained attention during King Jeongjo’s reign as Chogye official. This study examines Yun Guang-an’s Confucianism by focusing on his writings during his service as a Chogye official.
    Initially, Yun Guang-an seems to have adhered to Zhu Xi’s teachings, meticulously following his views word for word and criticizing any assertion by others as groundless. However, he boldly presented views different from Zhu Xi, actively asserting his opinions rather than blindly following Zhu Xi’s teachings.
    He negatively viewed the Han Confucianism teachings and criticized the incorrect restoration of Confucian classics, especially the “Seogyeong.” He distrusted and raised doubts on the “Gomunsangseo” as the opinions of many scholars including Zhu Xi more frequently quoted content from the “Gomunsangseo” than from the “Geummunsangseo.” Additionally, content quoted from the “Seogyeong” in subsequent books was consistently included in the “Seogyeong” without any omission. However, despite his skepticism toward the “Gomunsangseo,” he opposed deletions, acknowledging and suggesting the utility of the “Seogyeong” in governing the country according to the laws of the Sage Kings. He advised King Jeongjo to study the art of “holding on to the middle (執中)” in the “Daewumo” section of the “Gomunsangseo.” Yun Guang-an’s answers(條對) hold value in supplementing King Jeongjo’s lectures on classics and history. Some of King Jeongjo’s questions(條問), which were preserved in Yun’s writings, overlap with the content of the “Hongjaejeonseo.” Therefore, comparing these sources can provide insights on King Jeongjo’s lectures. Additionally, comparing Yun’s writings with other Chogye officials’ answers in the “Hongjaejeonseo” allows for an analysis of King Jeongjo’s academic tendencies. It is difficult to discern the criteria for selection or the presence of alternative opinions as no comparison among the answers in the “Hongjaejeonseo” exists. Yun Guang-an’s writings serve as valuable comparative material. His collected works help understand the academic lineage and scholarly trends among the scholars of Young Doctrine in the late Joseon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