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道詵의 생애와 唯心論的 禪思想 (Doseon(道詵)'s life and his idealistic Zen though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08.02
37P 미리보기
道詵의 생애와 唯心論的 禪思想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총 / 30권 / 87 ~ 123페이지
    · 저자명 : 한태일

    초록

    이 글에서는 신라 하대 桐裏山門의 禪僧인 道詵의 선사상을 그의 풍수지리사상과 관련지어 검토하였다. 그럼으로써 그의 사상경향을 밝혀 풍수지리사상을 형성하는 데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를 살피려고 하였다.
    도선은 출가하여 처음에 화엄을 배우다가 동리산문의 慧徹에게 나아가 다시 선종불교를 익혔다. 受戒 후 그는 각처를 유력하면서 다수의 사찰을 창건하였다. 그런데 도선의 사찰 창건활동은 옥룡사에 주석하는 시기를 전후하여 양상을 달리하였다. 그 이전까지는 혜철의 영향 아래에서 활동하였다면, 혜철의 입적을 계기로 스스로 禪門을 세우려 하였다. 혜철의 입적 후 도선은 옥룡사에 주석하고 다시 운암사를 창건하였는데, 이러한 일련의 활동은 옥룡사를 중심으로 한 도선계 세력의 확대과정에서 이루어졌다. 그리하여 도선의 생존시에 도선계는 광양과 구례지역뿐 아니라 담양지역에까지 그 세력을 확대하였다.
    도선의 사상경향은 ‘眞空不空’으로 나타났는데, 그것은 禪的인 유식사상이라 할 수 있다. 말하자면 그의 선사상은 선종사상 안에 유식, 즉 법상종을 포용하는 唯心論的인 경향으로 성립되었으며, 이는 유식사상을 중시하는 동리산문의 선풍과 무관하지 않다. 풍수지리설이 도선의 핵심사상으로 성립할 수 있었음은 유식사상을 중시하는 그의 사상경향을 바탕으로 가능하였다. 도선의 풍수지리설은 전국 山水의 順逆형세를 살펴 정해진 明堂을 중심으로 재편하려는 것이다. 유식을 중시하는 유심론적인 선사상은 자연스럽게 지세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져, 도선은 풍수지리에 해박한 식견을 갖추었다.
    한편 도선은 국토의 합리적인 운영방안으로 裨補를 내세웠다. 그의 풍수지리설은 비보를 내세우기까지 합리적으로 발전하였지만, 비보 이후 그것은 圖讖으로 변질되어 더 이상의 발전을 이루지 못하였다. 유심론적인 선사상은 유식사상을 중시했기 때문에 풍수지리설을 형성시킬 수 있었지만, 근본적으로 선종과 유식사상은 서로 입장이 모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모순을 극복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도선의 풍수지리설은 비보에서 도참으로 흐르고 말았다.

    영어초록

    This is a study on idealistic zen thought of Doseon who was a zen master of Dongnisanmun(桐裏山門) in the late Silla related to his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Doseon studied zen buddhism being under Hyecheol(慧徹)'s instruction. After receiving the commandments of buddhism, he established many temples making an extensive tour of here and there. However, his activities of the establishment got changed the whole appearance before and after domiciling himself at Oknyongsa(玉龍寺). He had showed activities under Hyecheol's influence before the time, but he would set up a zen buddhist school(禪門) by himself with Hyecheol's death. Doseon settled down at Oknyongsa and then founded Woonamsa(雲岩寺) after the death of his master. A chain of activities like this were accomplished with influence expansion of the temple power of Doseon group centering around Oknyongsa. As a result, they extended their power in Gwangyang, Gurye and even Damyang during Doseon's lifetime.
    Doseon's philosophy was Dharmalaksana school in zen. His thought showed under a bias towards idealism, and also it would be related to the morale of Dongnisanmun. The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was the main thought of Doseon, and it was possible for his philosophy that attached importance to Dharmalaksana school. Also, idealistic zen thought of Doseon was moved on interest in topography naturally, consequently, he could be a man of broad view and understanding of the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On the one hand, Doseon brought up Bibo(裨補) as a rational management way of a whole country. After Bibo, his theory had been changed in quality into Docham(圖讖). Idealistic zen thought made much of Dharmalaksana school so that it could set up the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but there were some obvious contradictions between zen buddhism and Dharmalaksana school. The theory of Doseon got deteriorated Docham from Bibo eventually because it was not able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s like tha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