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포스트휴머니즘 행복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Consideration of Posthuman Perspectives on Happines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8.09
26P 미리보기
포스트휴머니즘 행복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윤리학회
    · 수록지 정보 : 倫理硏究 / 1권 / 121호 / 317 ~ 342페이지
    · 저자명 : 정연재

    초록

    이 글의 목적은 포스트휴머니즘에서 제기하는 낙관적 행복론과 향상의 윤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다면, 이 글은 기술적 수단을 통해 감정을 제어하고, 인간의 덕성을 개선하여 행복에 도달하려는 ‘도덕적 향상’의 정당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포스트휴머니즘이 상정하는 ‘행복한 삶’, ‘행복한 세상’은 전통적 행복론과 어떤 차이가 있는가?”, “포스트휴머니즘의 맥락에서 전통적 인간 가치로서의 행복은 어떤 중요성을 지닐 수 있는가?”, “인간 가치와 도덕성이 흔들리는 위기의 시대에 포스트휴머니즘은 강력하고 확실한 도덕적 대안으로 작동할 수 있을까?”, “기술적 수단을 통해 향상된 포스트휴먼은 진정한 행복에 도달할 수 있을까?”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포스트휴머니즘의 행복론을 비판하기 위한 일종의 우회적 접근으로 행복 개념에 대한 기원적 탐색, 즉 쾌락적 행복과 자기실현적 행복의 특징을 살펴본다. 다음으로는 포스트휴머니즘의 행복론을 정서적 측면의 향상과 덕목 향상의 측면에서 고찰하면서, 도덕적 향상과 행복과의 연관성을 도출한다. 마지막으로는 앞선 논의를 기반으로 포스트휴머니즘이 상정하는 행복의 성격과 행복을 실현하는 주체의 문제, 행복에 이르기 위한 절차적 한계 등을 중심으로 포스트휴머니즘의 행복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면서, 인간 향상 기술을 통해 행복에 도달할 수 있다는 포스트휴머니즘의 전략에 문제가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결론적으로 기술적 수단을 통한 감정의 제어는 자기실현적 측면에서 행복의 본질을 위협하고, 도덕적 향상은 인간을 도덕적으로 향상시키지 못하며, 결국 진정한 의미에서 인간을 행복하게 하지 못한다는 점을 강조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ssess critically the optimistic view of happiness and the ethics of enhancement raised by posthumanism.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calls in question the legitimacy of moral enhancement which aims at achievement of happiness, perfect control of emotions, and improvement of human character through technological means. In this paper, I will argue that the control of emotions by technological means threaten the essence of happiness as self-realization and moral enhancement is unlikely to morally enhance people and make people happy in the true sense of the word.
    This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The first section clarifies the definition of hedonia and eudaimonia as two conceptions of happiness. These are drived from hedonic view which focused on attainment of pleasure and avoidance of pain, and eudaimonic view which focused on self-realization and meaningful life. Hedonia is a subjective experience of pleasure which is an expected concomitant whenever there is a satisfaction of personal needs. Eudaimonia is an objective condition associated with living an rational and virtuous life. and It is considered as a consequence of an individual efforts toward excellence in fulfilling personal potentials. The second and third section summarize posthuman perspectives on happiness in relation to emotion and virtue and offer a relevant critique of the posthuman conceptualization of happiness.
    The conclusion can be briefly stated as follows. The manipulation of emotions by enhancement technologies seems to subvert moral agency and the technological improvement without moral agency would not amount to a true happiness at all. Thus, moral enhancement is a one-dimensional conceptualization of happiness that does not reflect the vision of self-realizaition and the good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倫理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