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시정요구에 대한 행정법적 고찰 - 행정주체론과 행정지도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quest for Rectification of Korea Communicaitons Standards Commission)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2.11
31P 미리보기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시정요구에 대한 행정법적 고찰 - 행정주체론과 행정지도론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법학 / 57호 / 53 ~ 83페이지
    · 저자명 : 정혜욱

    초록

    방송과 통신의 융합이라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두 영역에 관한 정책기구가 통합되어 방송통신위원회가 되었으며 내용규제기구도 합쳐져서 방송통신심의위원회로 출범되었다. 그 과정에서 방통위 설치법은 방통위가 중앙행정기관임을 명확히 하였지만, 심의위원회의 법적 지위에 대해서는 애매한 태도를 취하였다. 이로 인하여 심의위원회의 법적 지위에 관한 논란이 시작되었다. 조직법적 측면에서는 어쨌든 심의위원회를 행정청으로 보기 어렵다.
    하지만 행정절차법 또는 행정소송법 규정에 따라 행정권한을 위탁받은 공공단체나 사인도 행정청으로 간주되므로 기능적 측면에서 심의위원회가 행정기관인가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헌법재판소는 이와 같은 검토의 결과 심의위원회는 행정청이라는 결론을 내린 바 있다.
    행정청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가에 대한 판단의 지표로는 ① 기관의 구성방법, ② 업무 집행에 대한 국가의 지휘⋅감독 여부, ③ 업무처리의 기준이 되는 법령의 제정 주체, ④ 운영 재원 등이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판단기준에 비추어 볼 때 심의위원회는 행정청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와 같은 결론에 대해서는 학설도 대체로 긍정하고 있으며 반대 견해는 찾아보기 힘들다.
    심의위원회와 관련하여 또 다른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은 심의위원회가 빈번하게 활용하고 있는 규제수단인 시정요구의 법적 성격에 관한 것이다. 시정요구 조치의 행정작용법상 성질에 대하여 이를 행정지도로 보는 견해와 처분으로 보는 견해의 대립이 있다. 이에 관한 대법원 판례는 아직 형성되지 않았고 하급심에서는 최근 처분성을 인정한 바 있다.
    행정처분이라고 하기 위해서는 ‘행정청의 공법상의 행위로서 특정사항에 대하여 법규에 의한 권리의 설정 또는 의무의 부담을 명하거나 기타 법률상 효과를 발생하게 하는 등 국민의 구체적인 권리의무에 직접적 변동을 초래하는 행위’로서의 속성이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심의위원회는 기능상 의미의 행정청이므로 첫 번째 요건은 충족된다.
    문제는 두 번째 요건인데 만약 불이행을 이유로 법령상의 불이익 조치가 예정되어 있다면 처분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시정요구 불이행 자체를 이유로 하는 불이익 조치는 예정되어 있지 않다. 제재조치를 일종의 불이익으로 볼 수는 있지만 이는 불법⋅유해정보의 유통을 이유로 하는 것이지 시정요구의 불이행을 이유로 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심의위원회의 시정요구는 행정지도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시정요구를 행정지도로 보게 되면 이에 관한 권리구제의 어려움이 실질적인 문제로 대두된다. 권리구제는 사전적 권리구제와 사후적 권리구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사전적 권리구제는 행정지도의 실체법적⋅절차법적 요건을 미리 정해두고 이를 준수하게 함으로써 행정지도의 공정성을 유지하게 하는 방법이다. 심의위원회의 시정요구와 관련해서는 대상과 절차에 관한 자세한 규정이 마련되어 있어서 사전적 구제는 비교적 잘 되고 있는 편이다.
    사후적 권리구제 제도로는 우선 이의신청이 있지만 시정요구를 한 바로 당해 기관에 이의를 제기하는 것이기 때문에 실질적 효과에 의문이 든다. 한편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기 위해서는 시정요구가 처분성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 이는 쟁송법적 개념을 적용하여 인정하는 것이 권리구제에 만전을 기한다는 측면에서 타당하다.

    영어초록

    Korea Communicaitons Standards Commission(KCSC) was established according to Establishment of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ct. However, this act does not specify substantive enactment regarding the KCSC’s legal position. Accordingly, there exists a debate on whether the committee is an administrative agency or non-governmental self- regulatory organization. Foremost,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 law, it is hard to conceive it as an administrative agency.
    On its functional side, however, it can be seen as an administrative agency as it is a public entity that is entrusted with and perform administrative authority. According to Administrative Procedures Act and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any public entity and private person who are entrusted with and perform administrative authority are administrative agency. For KCSC, because several things, it can be said to be entrusted with administrative authority.
    As a means of contents regulation, KCSC utilizes administrative restriction and request for rectification. There is a debate on whether the request for rectification, that KCSC uses as a contents regulation, is an administrative measure in its legal sense. Administrative measure is defined as: an administrative agency’s act under the public law that sets up a certain rights according to the regulations, gives an obligation duty, or causes extra legislative effects on particular cases which directly change the people’s specific rights or obligations.
    Regarding the legal sense of KCSC’s request for rectification, lower instance precedent once decided that it is an administrative measure that is subjected to appeal litigation. However, when not complying to KCSC’s request for rectification, only an administrative measure of future restriction is applied while no legal obligation is imposed. This is equivalent to the administrative guidance where it prescribes the request for rectification as an administrative procedure that must be carried out before an administrative measure takes place. Hence it is appropriate to see KCSC’s request for rectification as an administrative guidance.
    The only problem that arises if KCSC’s request for rectification is considered as an administrative guidance is a method of remedying the violated rights. There exists an appeal system for rectification which presents a procedure to go over the legitimacy of the administrative guidance. However, it is more appropriate to comprehend the concept of administrative measure, that is subjected to the appeal litigation, according to the dispute law theory. Therefore, to remedy the basic rights thoroughly, it will be more appropriate to include the committee’s request for rectification, which is an administrative guidance, to the appeal litigation’s subje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