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지하 문예이론에 나타난 숭고의 미학적 특성 - ‘흰 그늘’의 지기일원론(至氣一元論)미학을 중심으로 -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Sublimity Appeared in the Literary Theory of Kim Ji-ha - Centering on the Aesthetic Theory of Extreme Energy of ‘White-Shadow’ -)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5.12
26P 미리보기
김지하 문예이론에 나타난 숭고의 미학적 특성 - ‘흰 그늘’의 지기일원론(至氣一元論)미학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어문 / 67호 / 271 ~ 296페이지
    · 저자명 : 김난희

    초록

    이 글의 목적은 김지하 문예이론의 완성체인 ‘흰 그늘’의 미학이 지닌 미학적 요체를 숭고로 파악하여 그 특성을 고찰하고자 함에 있다. 김지하 문예 이론의 결정체인 ‘흰 그늘’의 미학은 수십 년에 걸친 그의 문학적 여정에 따라 성립된 각각의시학이 전이, 확장, 습합되면서 완성된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이를 크게 구분하여보자면, 민중시학, 생명시학, 율려시학의 셋으로 나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이들 각각의 시학은 각자 분리된 영역으로 존재한다기보다는 서로 간의 전이와 습합 과정을 통해 하나의 일관된 맥락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흰 그늘’의 미학은민중시학, 생명시학, 율려시학을 아우르는 김지하 문예이론의 사상적, 미학적 종합이자 완성판이라고 할 수 있는데, 각각의 시학은 서로 다른 미학적 자질을 지니면서도 서로 상통하는 미적 원리의 교호작용을 통해 ‘흰 그늘’의 미학이라는 김지하의 독자적인 문예이론으로 수렴된다.
    ‘흰 그늘’의 미학적 요체인 지기일원론(至氣一元論)을 통해 살펴볼 수 있는 김지하 문예이론의 숭고 특성은 단순히 미와 대립되는 차원에서 논의되는 것이 아니라 추를 매개로 하여 미와 추를 동시에 아우르는 고양 차원에서 시 형식과 양식을바라보고 있다는 점, 또한 육체와 정신의 이분법이 아니라 육체와 정신, 칸트식의감각과 이성이 달리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감각이되, 에너지이되 이성, 정신까지회통하는 차원에서 언급되고 있다는 점에서 서구의 여러 숭고 논의와 겹치면서도미학적 독창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기존의 숭고 논의에 있어 보편적 대상이 되고 있는 고통이나 쾌의 문제, 모순과 갈등의 문제도 대립되는 명제들이 전환이나 변증법적 지양으로 합일되기보다는 상보성으로서, 서로 간의 공존차원으로 바라보고 있는 점, 나아가 이것 역시 고정된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하고 생성한다고 보고 있는 점이 지기일원론(至氣一元論)의 미학에 나타난 숭고의 요체이자 특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aesthetic essence of ‘white-shadow’, which is the culmination of Kim Ji-ha’s literary theory, as the sublimity, and to examine its characteristics. The aesthetics of ‘white shadow’, the fruit of Kim Ji-ha’s literary theories, can be considered to have been completed over a few decades of his literary journey by transition, expansion and assembly of each of his poetics established during that journey, and it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ree domains such as the poetics of the masses, the poetics of life, and the yulryeo-poetics. However, each of these poetics forms a single and consistent context through a process of transfer and assembly with one another, rather than staying in each separate area. Therefore, the aesthetics of the ‘white-shadow’ may be considered as the ideological and aesthetical culmination and synthesis of Kim Ji-ha’s literary theories that encompass all areas of the poetics of the masses, the poetics of life, and the yulryeo-poetics, and while each poetic theory maintains aesthetic qualities different from the others, they are converged into unique literary theory of Kim Ji-ha called ‘white-shadow’ through the interactions of aesthetic principles that mutually connect with each oth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limity that can be examined in Kim Ji-ha’s theory of extreme energy, the literary essence of ‘white shadow’, are as follows: First, it views the poetic forms and types at the level of promoting and harmonizing both beauty and ugliness at the same time while using the ugliness as a medium. It is noted at the dimension where sense and energy and even spirit are connected with one another, rather than being in the dichotomy of body and mind, or the separate existence of sense and reason of Kant. This overlaps with various discussions of the West on the sublimity but also it is judged to have its own aesthetic originality.
    In addition, the issues such as pain or pleasure, contradiction and conflict which are universal subjects in the existing discussions on the sublimity, also exist as a complementarity rather than as being in the dialectical unity.
    Furthermore, the point that it also is ever-changing and generating without stop rather than staying as an existence of a fixed type, can be considered to 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limity shown in the aesthetic properties of the theory of extreme ener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어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