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산 정약용의 맹자학과 혈기론 (Dasan Jeong Yakyong’s Mengzi Learning and Blood Theo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8.12
24P 미리보기
다산 정약용의 맹자학과 혈기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번역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 / 52권 / 385 ~ 408페이지
    · 저자명 : 전성건

    초록

    본 논문은 다산 정약용의 맹자학을 『맹자요의』를 중심으로 검토하고, 일종의 신체론인 다산의 혈기론을 통해 그가 제시하는 새로운 인간형을 살펴보려고 한 것이다. 통상 『맹자』를 이해할 때는 義利之辨과 浩然之氣를 그 중심으로 파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산 또한 예외는 아니다. 그가 회갑을 기념하면서 작성한 「자찬묘지명」 『맹자요의』 항목에는 여기에 7가지 항목을 추가하여 총 9가지로 자신의 창견을 제시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산의 맹자학의 주요 논점은 다시 두 가지로 정리될 수 있는데, 그것은 바로 왕도정치와 성기호설과 관련한 것이다. 다산은 왕도정치의 핵심을 전장제도에 두고 있는데, 그것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정전제이다. 그리고 다산은 새로운 인간형을 제시하기 위해 인간의 본성을 기호로 재해석하고 있다. 다시 기호에는 형구의 기호와 영지의 기호가 존재한다. 형구의 기호는 식색과 안일을 좋아하는 육체의 특징을 제시한 것이고, 영지의 기호는 도의를 좋아하는 마음의 특징을 제시한 것이다.
    그런데, 다산의 성기호설은 心身論의 차원으로 확장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는 그가 마음과 몸을 주자학에서처럼 氣나 理氣의 合으로 이해하지 않기 때문이다. 다산이 볼 때, 마음은 理氣와 전혀 관련이 없는 것이며, 육체는 氣라고 할 수 있으나 이 역시 주자학에서 말하는 氣와는 관련이 없는 것이다. 즉 다산이 볼 때, 마음과 육체는 질적으로 서로 다른 것이며, 이를 그는 無形과 有形으로 구분한다. 이는 마음과 육체를 形質의 유무를 통해 구분하고자 한 것이다. 다만 마음과 육체가 결합되어 있는 인간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이 둘은 설명할 수 없지만[妙] 결합되어 있다[合]고 인정할 수밖에 없다. 이를 다산은 神形妙合이라고 말한다.
    다산의 고증에 의하면 마음에 대한 專稱은 없었다. 다만 마음과 육체가 결합되는 곳이 心臟이라고 판단하였기에, 이를 借名하여 心이라고 명명하였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그의 마음에 대한 이론은 심장을 중심으로 육체와 관련성을 맺는다. 그리고 심장은 血液을 온 몸에 공급하여 인간의 生養動覺의 근원이 된다. 이러한 다산의 마음과 육체에 대한 해설은 성호학파의 身心論을 계승한 것이면서, 서양의학과 천주학의 영혼론 등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is paper summarizes Mengzi-Yaoyi. which is a kind of commentary on Mengzi written by Dasan Jeong Yakyoung and searches for the meaning of his theory of mind and body which is related to his new anthropology. Generally speaking, Mengzi deals with the rule of right and human nature. By adding them, Dasan makes a suggestion for seven articles in his Self Written Epitaph which was made to celebrate the sixtieth anniversary of his birth.
    Dasan presents two main topics, which are the nine square field system and the nature fo taste in Mengzi-Yaoyi. The nine square field system, which can be seen in the Gyeonge-Yupyo, is a sort of an ideal land system for a fixed livelihood for the people and the nature of taste is a kind of human nature. There are two natures of taste which are physiological which aims at appetite, carnal pleasures, and complacency and spiritual which aims at righteousness.
    This paper takes note of the theory of blood and energy which was influenced by the theory of Seongho and Catholicism. Especially, Catholicism and western natural sciences played an important effect on his mind-body theory. As with Descartes, he claims mind-body dualism. The human’ physiological heart is very important as a corporate body. But we have no idea of the method of their combination. In short, Dasan’s blood-energy theory is very serious for under standing new mind-body dua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