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키케로 『법률론』의 법론과 법개념 (The Concept of the Law in Cicero’s “On Law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6.10
39P 미리보기
키케로 『법률론』의 법론과 법개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법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법사학연구 / 54호 / 297 ~ 335페이지
    · 저자명 : 성중모

    초록

    키케로는 자신의 두 저작 『국가론』과 『법률론』에서 자연법론자로서 참된 법은 자연과 일치하고, 모두에게 부여되어 있고, 항상적이며, 영구한 옳은 이성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최고법lex summa은 수정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고 폐지될 수 없으며 이 법의 제정자는 신이라고 한다. 로마의 용어 ius는 우리의 ‘법’에 해당하고 lex는 ‘법률’에 해당한다. 그런데 키케로가 ‘영구적이고 불변적인 법’이라는 의미를 위해서 용어 lex를 사용한다. lex란 로마에서 조점관이 선택한 상서로운 徵兆 하에서 고위 정무관이 제안하는 법률안에 대하여 원로원의 승인 하에 호민관 등의 개입이 없음을 요건으로 입법기관인 민회에서 가결한 법규범이다. 키케로의 자연법론에서 자연과 인간은 옳은 이성을 共히 갖고 있고 이 조건 하에서 자연법이 성립한다. 이 상황은 민회와 개별 시민이 lex라는 규범을 만들어 내는 것과 유사하며 신과의 법동료로서 자연법에 따르는 개인의 자기결정은 lex에 의한 로마 국민의 자기결정과 성격이 유사하다. 또 정무관의 言表(legere)가 lex의 근원이듯, 신의 로고스는 자연법의 근원이다. 그러한 맥락에서 lex는 또 상급의 명령 주체에 의한 명령이기도 하다. 결국 성문 실정법으로서의 lex와 최고법으로서의 lex는 유사하다. 반면, 자격부여로부터 시작된 사인 간의 지위 분배규범인 ius로 자연법을 지시하기에는 부적절했을 것이다.

    영어초록

    Marcus Tullius Cicero (106-43 B.C.), one of the most influential statesmen of his age, tries to formulate the concept of law in his works, “On Laws” and “On Republic”.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his viewpoint on law is intensely influenced by the ethics of the Stoics. This ethics originated from Greece inspired intensely the most renowned legal philosopher of Rome in that he could explain the world and, at the same time, law in the world only through the doctrine laden with strictly rationalistic Stoic ideas. But only partially. For other elements of his theory on law were brought about mostly by the consideration of the real circumstances of the late republic. In his work “On Laws”, however, he sticks to the theory of natural law of the Stoics. In his theory of law he terms the intended connotation of natural law lex, not ius.
    In this context this paper traces the origin of the concept of Roman ius (equivalent of today’s law in general or justice) and that of lex (equivalent of today’s written law or statute), and confirms the historical fact the word ius was primarily used for refering the entitlement of the individual inhabitants of the early Rome to hold their lands. To the contrary, lex was a satute passed in people’s assembly.
    To formulate his idea on natural law, it was not adequate to apply the word which meant originally the entitlement on properties. Instead lex summa (natural law) has similarities with the statute (lex) in that both are the agreement of the ruler and the ruled and the ruler ought to abide by the decisions once agre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