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燕巖 일파 문학론에서 色, 自然, 際 (A Study on Color(色), Nature, and Je in the Literature Theories of Yeonam group)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4.09
34P 미리보기
燕巖 일파 문학론에서 色, 自然, 際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55호 / 29 ~ 62페이지
    · 저자명 : 신향림

    초록

    이 논문은 색을 중시한 연암 일파 문학론의 특징과 그것의 사상적 기반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色은 동양의 중요한 문학 개념어의 하나로 文飾, 文彩, 修辭 등을 의미한다. 중국 문인들은 색을 문학의 필수 요소로 인식했지만 색에 치중하는 창작 방법에 대해서는 언제나 경계하였다. 우리나라의 문인들 또한 대부분 色澤이나 聲色에 치우친 문학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글을 남겼다. 그런데 조선 후기의 새로운 문학 경향을 주도했던 朴趾源, 柳得恭, 李書九, 朴齊家는 문학에 있어서 언어의 조탁이나 수사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학관은 “색”을 중시하는 논의로 드러났다. 박지원과 박제가는 經典이나 禮法, 객관 사물에서 定理를 인식해야 도에 맞는 삶을 살 수 있다고 한 주자학을 부정하고, 내 마음이 현실과 접하여 시시각각으로 올바른 판단과 실천을 해낼 때 道가 현현한다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도를 문학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진부한 언어를 버리고 새로운 언어를 창조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박지원 일파의 문학론은 격식에 얽매이거나 전범을 추수하는 것을 거부한 점에서 天機를 자연스럽게 표출할 것을 주장한 천기론과 유사한 점이 있다. 또한 이들의 문학론은 개성을 중시하고 眞情의 표출을 강조한 점에서 개체적인 욕망과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고자 한 중국의 性靈派와도 유사한 면이 있다. 그러나 박지원 일파의 문학론은 수사를 중시한 점에서 聲色의 추구를 거부한 천기론이나 마음 가는 대로 써내려가 다소 경박해지는 폐단이 있었던 중국의 성령파와는 다른 길로 나아갔다.

    영어초록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implications of the "color(色)" concept used in the theories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the meanings of color in the literature theories of men of letters of Yeonam group.
    Color is one of the important literary concept words, meaning rhetorical embellishment and figure of speech. Color was mentioned as one of the essential elements of literature in the theories of Chinese literature, but they were always on the alert against creative methods inclined toward color. In Korea, most men of letters left writings that made negative assessment of literary works inclined toward Saektaek or Seongsaek. Shin Heum and Jang Yun in particular criticized formal literature inclined toward color, using Saektaek and Seongsaek to signify splendid formats with no substance in opposition to the secrets of nature, nature, and temperament.
    Leading new literary trends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Park Ji-won, Yu Deuk-gong, Lee Seo-gu, and Park Je-ga believed that language elaboration and rhetoric were essential requirements in literature. Their view of literature was manifested in their discussions that placed importance on "color." Park Ji-won and Park Je-ga thought that Tao(道) would reveal itself vividly when the actively moving mind met constantly changing nature and reality of society and maintained that the state language should be discarded and a new language should be created to express Tao(道) in literature.
    The literature theory of Park Ji-won party was similar to the Cheongiron, which argued for the natural expression of the secrets of nature, after the middle of Joseon in that it refused to get tangled with formality or follow the classics. It also shared similar aspects with Seongryeongpa of China, which sought after the natural expression of individual desires and emotions, in that it valued individuality and emphasized the expression of genuine feelings. However, it moved forward in a different path from the humble Cheongiron, which refused the pursuit of Seongsaek, and Seongryeongpa of China, which had the evil of somewhat frivolity due to the writing style on a whim, in that it valued rhetor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