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토문화론’ 재정립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Reestablishment of ‘Territorial Culture Theo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5.04
18P 미리보기
‘영토문화론’ 재정립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적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지적학회지 / 41권 / 1호 / 31 ~ 48페이지
    · 저자명 : 신용우

    초록

    우리 한민족은 만주와 대마도 등 최근세에 들어서 강탈당한 영토가 유난히 많은 민족이다. 그럼에도불구하고 강탈당한 영토를 수복하는 방법을 강구하는데 있어서는 아주 소극적이다. 강탈당한 사실조차잊혀 가고 있는 영토에 대한 수복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확실한 영토권 규명을 위한 ‘영토론’이 필요하건만 그마저도 아주 저조하다. 이런 상황을 인지한 필자는 그 타개 방안 중 한 가지로 박사학위 논문문화영토론에 의한 대마도의 영토권 연구 에서, 학계 최초로 ‘문화영토론’에 영토권 개념을 도입하여‘일정한 영토의 영토권자는 영토문화의 문화주권자’라는 영토권 규명을 위한 기본이론으로 정립하였다.
    또한 문화에 의한 영토권 규명을 위해서는, ‘문화영토론’의 개념에 명시한 ‘영토문화’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므로, ‘영토문화’라는 용어를 새로 만들어서 그 개념을 정의하고 분류 방법 등을 학계 최초로 정립했다. 그리고 수년에 걸쳐 ‘영토문화’에 관한 연구를 거듭하여 ‘영토문화론’이라는 이론을 학계 최초로구축함으로써, 영토분쟁 지역 영토의 영토권자 규명은 ‘영토문화론’을 동반한 ‘문화영토론’에 의해서 규명되어야 한다는 이론을 완성하였다. 하지만 영토권 규명이라는 하나의 목적을 위해서, 비록 연계되었다지만 둘로 나뉜 이론을 적용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문화영토’와 ‘영토문화’라는 비슷한 용어에서 오는혼동으로 인해서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는 의견도 다수 있었다. 또한 ‘문화영토론’이라는 용어가 홍일식에 의해서 ‘문화가 실행되는 영역’이라는 의미로 이미 사용된 후라 많은 독자와 연구자들이 더 혼동할수밖에 없다고도 했다. 게다가 필자와 홍일식의 ‘문화영토론’이 용어는 같아도, ‘영토권 규명을 위한 이론’과 ‘문화가 실행되는 영역’이라는 전혀 다른 의미를 보유한 이론임에도 불구하고 두 이론을 혼용하는경우까지 발생하는 것을 필자가 직접 겪었다. 따라서 필자는 영토권 규명을 위한 이론인 ‘문화영토론’과‘영토문화론’의 용어를 혼동하거나, 이해하기 어려워서 일어나는 사태에 대해서 바르게 잡을 필요를 느꼈다. 그리고 ‘영토문화론’을 동반해야 하는 ‘문화영토론’을 쉽게 이해하고 필요한 사람은 누구라도 편안하게 인용할 수 있도록 단일 이론으로 재정립할 방안을 오랜 시간 연구한 끝에, ‘영토문화의 문화주권자’라는 용어를 ‘영토문화주권자’라는 한 단어로 새롭게 정의(定義)함으로써, ‘영토문화론’과 ‘문화영토론’ 을 융합하여, ‘영토문화론’을 영토권을 규명할 때 실제로 적용하는 단일 이론으로 재정립하였다.

    영어초록

    Korean's have been robbed of a great deal of territory in recent times, including Manchuria and Tsushima Island. Despite this, they are very passive when it comes to finding ways to recover the territories that have been robbed. In order to recover territories that are being forgotten, a ‘Territorial theory’ for clarifying territorial rights is necessary above all. Recognizing this situation, the author introduced the concept of territorial rights to ‘Cultural territory theory’ for the first time in academia as one of the solutions to overcome this in his doctoral dissertation, “A Study on Tsushima Island’s Territorial rights through Cultural territory theory,” and established it as a basic theory for clarifying territorial rights, stating that ‘the territorial rights holder of a certain territory is the cultural sovereign of the territorial culture.’ In addition, in order to clarify territorial rights by cultu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Territorial culture’ specified in the concept of ‘Cultural territory theory’, so the term ‘Territorial culture’ was newly created, the concept was defined, and the classification method was established for the first time in academia. In addition, by repeatedly researching ‘Territorial culture’ over the years and establishing the theory of ‘Territorial culture theory’ for the first time in academia, the territorial rights holders of territorial dispute areas should be clarified by the ‘Cultural territory theory’ accompanied by the ‘Territorial culture theory’. However, it was difficult to understand due to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apply two separate theories, although they were related, for the single purpose of clarifying territorial rights, and the confusion caused by the similar terms ‘Cultural territory’ and ‘Territorial culture’. It was also said that many readers and researchers were more confused because the term ‘Cultural territory theory’ had already been used by Hong Il-sik to mean ‘the area where culture is practiced’. Moreover, although the term ‘Cultural territory theory’ of the author and Hong Il-sik is the same, the two theories have completely different meanings, ‘theory for clarifying territorial rights’ and ‘areas where culture is practiced’, and I have personally experienced cases where the two theories are used interchangeably. Therefore, I felt the need to correct the situation where the terms ‘Cultural territory theory’ and ‘Territorial culture theory’, which are theories for clarifying territorial rights, are confused or difficult to understand. And after studying for a long time how to reestablish ‘Cultural territory theory’, which must be accompanied by ‘Territorial culture theory’, as a single theory so that anyone who needs it can easily understand it and quote it comfortably, I redefined the term ‘Cultural sovereign of territorial culture’ as a single word ‘Territorial culture sovereign’, thereby reestablishing ‘Territorial culture theory’ as a single theory that is actually applied when clarifying territorial rights by merging ‘Territorial culture theory’ and ‘Cultural territory the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