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격물치지론에 대한 분석 (Analysis on the Concepts of Ko Wu Chih Chih lun in 17C)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05.06
24P 미리보기
17세기 격물치지론에 대한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36호 / 315 ~ 338페이지
    · 저자명 : 김승영

    초록

    본 논문은 17세기의 성리학의 한 분야인 인식론을 다룬 것이다. 알다시피 17세기는 ‘예학의 시대’임에 틀림이 없다. 그러나 17세기는 우리에게 많은 것을 암시해 주고 있다. 본격적인 학파분열이 시작됨과 동시에 탈주자학의 경향이 보이기 시작한 시기이기도 하다. 학파분열의 배경이 되는 이론적 뒷받침인 인식론을 둘러싸고 각 학파간 첨예한 대립을 세우고 있는 시기이기도 하다. 그리하여 그 입두처라 보여지는 金長生(沙溪,1548-1631)鄭經世(愚伏,1563-1633) 尹(白湖, 1617-1680)의 格物致知에 대한 입장을 연구하는 것은, 성리학의 주요한 분야일 뿐 아니라, 김장생은 율곡학파를 본격적으로 이끌었다는 점에서, 정경세는 퇴계학파를 계승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러면서도 두 학파의 성격을 점점 명확하게 세워나간다는 점에서 중요하며, 윤휴는 탈주자학적 경향을 보이면서 주체적 경전해석이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깊다 하겠다.사계와 우복의 논쟁은 인식주체를 어디에 주안점을 둘 것인가를 놓고 벌린 철학논쟁이었고, 사계의 경우 율곡의 설을 주자의 학설에 대비시킴으로서 더욱 옹호하였으며, 우복 또한 퇴계의 학설을 계승 발전시켰다. 먼저 사계는 인식의 주체를 인간에 두어 인간 주체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그런가 하면 우복은 인식 주체를 인간과 물리에 동시에 둠으로써 인식이 대상을 객관화하려고 하였다. 사계이 격물치지론은 물리가 본래 나의 마음에 갖추어져 있다는‘物理本具吾心說’과 물리가 원래 극처에 있다는‘物理元在極處說’로 요약할 수 있고, 우복은 손님을 청하면 손님이 오는 것과 같다는‘請客而客來說’로 요약할 수 있다. 한편 백호는 사계와 우복의 관점과는 다른 탈주자학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격물이란 성경과 사변에 의해 물리로 하여금 마음에 감통하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감통은 다름 아닌 자연스럽게 신령스러운 경계에 들어가는 것이다. 백호는 여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감통하는 객관적 대상을 명덕신민하는 일로 목표를 삼고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epistemology, of Neo-Confucianism. During 17 century, many arguments of study appear. The division of schools regularly begins. A tendency of non Chu-tzu hsueh comes out.
    The division of schools based on Epistemology is acute. The arguments of Kim, jang-Seng who leaded Yi, Yul-gok school, Yun, Hwo who studied non Chu-tzu hsueh and Jung, Kyung-Se who succeed Yi, T'oegye school are important.
    Kim, Jang-seng focuses main appreciation on human and defines the subject of human, the other side Jung, Kyung-se focuses main appreciation on the laws of nature and human and views objectively the subject appreciation, Yun, Hwo defines Ko Wu with impression on nature law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