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금강삼매경론』의 無二中道 사상 연구 (The Thought of the Middle Way Free From Dualistic Extremes in the Exposition of the Vajrasamādhi Sūtra of Wonhyo)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7.06
34P 미리보기
『금강삼매경론』의 無二中道 사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30호 / 123 ~ 156페이지
    · 저자명 : 김영미

    초록

    원효는 『금강삼매경론』에서 속제를 변계소집성으로, 진제를 [始覺의] 원성실성으로, 속제중도는 의타기성으로, 진제중도는 [本覺의] 원성실성으로, 속제중도와 진제중도가 둘이 아님을 無二中道라고 상정한다. 「무상법품」에서 1회, 「여래장품」에서 2회, 총 3회 無二中道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입실제품」에서 眞諦, 俗諦, 眞諦中道, 俗諦中道를 사용하며 非眞非俗 無邊無中을 無二中道의 뜻이라고 한다. 진제중도로부터 교화행이 가능한 속제중도를 상정하여, 두 중도[진제중도ㆍ속제중도]가 ‘원과 같이 순환’하는 구조로 무이중도를 보인다. 무이중도는 원효의 깨침 경지로 진제중도는 진여의 근본인 체상이고, 속제중도는 진여를 근본으로 한 작용이다.
    『금강삼매경론』의 핵심내용은 첫째, 선의 실천을 나타낸 一味觀行이다. 둘째, 중관의 이제설과 유식의 삼성설을 융합하여 무이중도의 체계를 보인 三空이다. 셋째, 生即滅 滅即生의 生滅無二의 一四句偈이다. 『금강삼매경 론』에서는 시각 즉 본각인 一覺에 이르는 관법으로 無相觀을 제시한다. 무상관에는 方便觀과 正觀으로 나뉘는데 방편관으로 무이중도에 이르고, 정관으로 일각에 도달한다. 원효는 『금강삼매경』의 大意로서 일심의 근원과 삼공의 바다를 설명할 때 둘은 아니지만 하나를 지키는 것도 아니며, 眞도 俗도 아니라고 하여 ‘빗겨나는 논법’으로 무이중도를 보인다. 이론적인 理入의 경지를 넘어서 구체적인 실천의 단계인 行入의 경지에 있었으므로, 중생을 교화하기 위한 무이중도의 상정이 가능한 것이다. 원효의 계위가 초지이상임은 실천행과 교화를 할 수 있었던 당연성이 입증되고, 무이중도를 상정한 필연성이 이해된다.

    영어초록

    Wonhyo systematized his original philosophy of the middle way that is free from dualistic extremes(無二中道) in the Exposition of the Vajrasamādhi Sūtra(金剛三昧經論). He specifically employed the term the middle way free from dualistic extremes, for three times; once in the first article of 「The Signless Dharma chapter」, twice in the last article of 「The Tathāgatagarbha chapter」. He additionally used the terms, the absolute truth(眞諦), the conventional truth(俗諦),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absolute truth(眞諦中道), and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conventional truth(俗諦中道), aiming at the middle way free from dualistic extremes(無二中道)[非眞非俗 無邊無中] in 「The Accessing the Edge of Reality chapter」.
    Wonhyo introduced five stages: the conventional truth is parikalpita-svabhāva(遍計所執性), that is, all teaching of the conventional truth(一切世諦法), the absolute truth is pariniṣpanna-svabhāva(圓成實性), that is, initial enlightenment(始覺),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conventional truth[俗諦中道] is paratantra-svabhāva(依他起性),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absolute truth is pariniṣpanna-svabhāva, that is, original enlightenment(本覺) and the middle way free from dualistic extremes is the stage at which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conventional truth and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absolute truth coexist. Wonhyo accommodated the twofold truth of the absolute truth and the conventional truth, merged Madhyamaka(中觀) and Yogâcāra(唯識) and exploited the unique logic of the middle way free from dualistic extremes as ‘the circulation like a circle’ in which the exchange of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absolute truth and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conventional truth free is unrestrained.
    Three key points of the Exposition of the Vajrasamādhi Sūtra Wonhyo are as follows. First, it is the contemplation practice that has but a single taste in which we practice dhyāna[禪]. Second, it is the three voidnesses that converges the twofold truth(二諦說) in Madhyamaka and the three natures of cognition(三性說) in Yogâcāra and are concluded into the middle way free from dualistic extremes. Third, it is a four-character line of a gāthā articulating the fact that arising and ceasing are not two separate things. The middle way free from dualistic extremes in the Exposition of the Vajrasamādhi Sūtra systematized the foundation of his practices and ultimately made it possible to bestow benefits to all beings by returning to the fountainhead of the one mi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