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에서는 삼제원융관의 중도에 의하여 모든 존재가 제법실상(諸法實相)임을 밝히고 있다. 삼제는 진제(眞諦)로서의 공(空), 속제(俗諦)인 가(假), 비유비공(非有非空)의 진리인 중 ... 이 실제는 거짓과 헛된 것에 불과하다는 것을 밝히는 것이다.중제는 중도제일의(中道第一義)의 입장에서 실상을 본 것으로, 제법의 실상을 공이나 가의 일면으로 관찰할 것이 아니라 중도 ... 중도는 팔정도라고 하는 구체적인 실천에 의해서 지탱되는 준엄한 도이며, 여기서는 나태·번뇌·노여움·어리석음으로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어떤 것에 집착하려고 하는 어떠한 일변도 모두
하는 중도(中道)의 의미이다.(3) 이제설(二諦說)이제설(二諦說)은 미혹과 깨달음의 문제와 관련해서 용수가 주장한 사상이다. 여기서 이제란 진제(眞諦)와 속제(俗諦)를 말하고, 이 ... ) 사상이란 자아의 아집으로부터 벗어나서 너와 나를 하나로 여기는 지혜를 얻기 위한 것이라 하겠다.1)(2) 중도(中道)사상용수는 자신의 반야공 사상을 중도실상(中道實相)이 ... 라고 부른다. 그는 이를 다음과 같은 삼제게(三帝偈)로 표현하였다.여러 인연(因緣)으로 생기는 것을 나는 공(空)이라 말한다. 또 이것을 가명(假名)이라고도 하고, 중도(中道)의 이치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