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은유의 불교적, 전일론적 해석 (A Buddhistic and Holistic Interpretation of Metaphor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9.06
28P 미리보기
은유의 불교적, 전일론적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59권 / 27 ~ 54페이지
    · 저자명 : 홍성기

    초록

    불교 문헌에 등장하는 은유들은 매우 많고 또 교리의 이해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은유라는 언어 현상 자체에 대한 불교철학적 연구는 드물다. 그 이유는 불교가 언어에 대해 갖는 여러 가지 부정적인 견해와 연관이 있다고 생각된다. 다른 한편 은유에 대한 현대적 해석은 ‘한 언어적 표현이 기존의 의미로 사용되었음에도 사물의 새로운 측면을 일회성으로 비춘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세존이 설법한 십이연기에서 식과 명색의 상호의존 관계를 분석하면, 과거의 경험에서 집수된 제8식에 저장된 상, 즉 종자가 발화 행위를 통해 바다의 파도처럼 일회성으로 기립된 사물의 현실화(種子生現行)가 동시에 종자를 재조정하는 훈습으로 드러난다(現行熏種子). 즉 은유란 언어 행위를 매개로 이루어지는 식과 명색의 상호의존 관계 즉 연기의 한 현상이다.
    개체화가 일어나기 전의 구체적인 발화 행위와 현행은 모두 일회성 사건이므로 언어와 대상 간의 부정합, 왜곡은 있을 수 없다. 즉 언어의 정상적인 사용에 비해 부정적으로 이해되었던 은유는 현행의 일회성에 부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존재론적으로 은유에 의해 기립된 존재는 전체 세계와 분리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전일론적 언어 행위로서 긍정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십이연기의 후반부에 있는 ‘수-애-취-유’, 즉 정서적 집착을 통해 개체화된 세계에서는 언어가 존재 망상을 일으켜 실상을 왜곡한다. 따라서 언어 행위를 실상의 왜곡이 없는 은유의 세계로 돌리기 위해서는 욕망의 제어라는 과정이 불가피하며, 이는 불교가 이론과 수행의 양 측면을 갖는 이유이다.

    영어초록

    The metaphors in the Buddhist literature are numerous and play important roles in understanding the doctrine of Buddhism. However, the Buddhist philosophical studies on the language phenomenon ‘metaphor’ itself are hard to find. The reason is related to various negative attitudes of Buddhism toward language.
    In analyzing the interdependence between consciousness (vijnana, 識) and nameform (namarupa, 名色) in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十二緣起), it is clear that object schema (lakṣaṇa, 相), which was received from past experiences and stored in the alaya-vijnana (藏識), generates actualization of object schema through a current utterance (種子生現行). At the same time, this actualization (現行) perfumes the object schema (現行熏種子) as well.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objects is the pratītyasamutpāda (緣起), i.e., the core doctrine of Buddhism.
    At this time, language has a figurative meaning in which it generates an actualization as one aspect of the world, and language can not distort the reality because it is simultaneous as the one-time event. In other words, the metaphor was mistakenly understood comparing to the normal use of language, but is in conformity with the one-time actualization. And the latter is not ontologically separated from the whole world.
    On the other hand, the individuation through the ‘sensation-craving-grasping- being’ in the latter part of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distorts the reality by the non-metaphoric language use. The memory of pleasure and pain of the past covers the present object (actualization), and this process is required for the individuation. Therefore, a process called ‘control of desire’ is inevitable and this is why Buddhism holds the two horns of theory and pract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