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儒家美學으로 본 畵家人品論 (The Theory of Artist Personality Based on Confucian Aesthetic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8.02
29P 미리보기
儒家美學으로 본 畵家人品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사연구 / 112호 / 1 ~ 29페이지
    · 저자명 : 이지연

    초록

    본 논문은 孔子의 ‘繪事後素’의 내재된 의미를 美學的 사유라 보고, ‘畵家人品論’에 대하여 硏究하였다. 孔子는 ‘繪事後素’를 통해 修身을 강조하였고, 讀書, 音樂, 旅行을 통한 修養을 요구하였다. 畫家는 이러한 방법적 修養을 통하여 修身한 후 神을 표현하였으며, 神의 표현에 따라 人品의 高下를 결정짓는 批評의 기준이 되었다. 따라서 東洋의 畵家들이 추구하는 品格은 人品이라 할 수 있다. 文人畵家들이 각 시대마다 등장했지만, 그들이 추구하는 人品은 相異하며, 그 속에 내재된 공통적 사유는 孔子의 ‘繪事後素’를 통하여 修養된 人品이었다. 文人들은 孔子의 ‘繪事後素’를 根源으로 삼아 그림과 學文을 같은 格으로 보았고, 그것은 顧愷之의 ‘傳神論’에서부터 蘇軾의 ‘形神論’에 이르기까지 形보다는 ‘神’을 강조하고, 淸代의 文人畵家에게 적용되었다. 따라서 ‘畵家人品論’과 ‘繪事後素’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文人畵家들은 人品을 격상시키기 위한 도구로써 그림을 氣韻이나 寫意, 拙朴으로 발현하여 ‘神’을 표출시켰다. 神으로 표출된 文人畵家들의 조형표현의 방식은 각각의 방법적 특성을 지니고 있지만, 그들이 추구하는 사유는 人品의 格調를 높이기 위한 ‘神’의 표출이었으므로 修身과 神이 서로 긴밀한 연결고리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修養을 통해서만이 作家의 격조가 높아지고 통찰력이 생겨 결국 意境의 경지에 이르러 人品의 格을 上向시킨다. 따라서 孔子의 儒家思想은 文人들에게 藝術의 美學的 범주에 적용되어 자아 省察의 경지를 표출시키는 것이 人品決定論으로 귀결되며, 格調를 높이는 것은 그들이 겸비해야 할 必然的 조건이 되었다. 또한 東洋繪畵史에 있어서 儒家美學을 통한 ‘人品論’과 畵家의 관계성은 不可分의 관계를 가지게 되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studied the 'theory of artist personality' as an aesthetic thinking based on Confucius' ‘Huishihousu: Drawing a painting should be done after the foundation is established’. Confucius discussed reading, music, and travel for moral training, which became the standard of criticism deciding the level of scholar painters' personality.
    Even though scholar painters appeared in each time, the personality pursued by them was different. The common thinking inherent in it could be the personality learnt/cultivated through Confucius' 'Huishihousu' because Su shi's ‘Hyungshinlun’ of Song Dynasty, emphasizing 'shin(mind)' more than 'hyung(form)' was even applied to scholar artists of Qing Dynasty, and the ‘theory of artist personality’ and ‘Huishihousu’ had close relationship to each other. For this, as a tool to upgrade personality, scholar painters discriminated 'shin' shown in works as mind or energy, and Jolbag. Even though scholar painters' formative expression methods shown as personality had their own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close link to each other as the thinking pursued by them was the expression of 'shin' to attain personality. Therefore, the class pursued by Oriental painters is the personality. Only through the cultivation, artists could improve their tone and insight eventually to reach the artistic stage, and the stage to reach the yardstick of cultivation is the personality. Also as Confucian thinking is applied to the category of artistic aesthetics of scholars, expressing the stage of introspection is concluded in the determination of personality, so that the increase of class could be an inevitable condition for them.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