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반야중관 경론에서의 번뇌론 (Theory of Klese in Prajñāpāramitā and Madhyamaka Literatur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4.12
25P 미리보기
반야중관 경론에서의 번뇌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20호 / 341 ~ 365페이지
    · 저자명 : 윤종갑

    초록

    반야중관의 번뇌론은 기존의 번뇌론 교리 체계를 비판하거나 부정한 것이 아니라 실재론적․자성론적인 관점에서는 그러한 교리 체계가 성립하지 않음을 무자성 공관의 논리를 통하여 보여주고자 하였다. 이러한 무자성 공관의 논리는 단순히 이론적․논리적 측면에서 만이 아니라 실천적․수행적인 측면에서 함께 병행되었다. 그러한 역할을 수행하였던 이가 보살이다.
    반야중관은 붓다의 무아설에 입각하여 부파불교의 아공법유설을 아공법공설로 전환하고자 하였다. 아(我)의 존재는 부정하였지만 아(我)를 구성하는 소위 ‘5위 75법’이라는 존재를 인정하였던 아비다르마는 ‘삼세실유 법체항유’를 주장하며 법의 상속과 더불어 ‘번뇌’의 상속을 수용하였던 것이다. 그 결과 중생을 규정하는 가장 본질적인 속성으로서 번뇌가 상정되며, 깨달음의 최대의 장애가 되는 번뇌를 제거하기 위해 번뇌에 대한 분석과 연구가 아비다르마의 중요한 과제가 되었던 것이다.
    아비다르마와는 달리 반야중관은 번뇌가 결코 상속되거나 실재하는 것이 아님을 무자성 공관에 바탕하여 밝혀내고자 하였다. 번뇌는 중생의 망상과 분별심, 그리고 희론에 의해 발생한 아지랑이요, 무지개요, 환상이요, 꿈과 같은 실체가 없는 무자성한 공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반야의 지혜를 획득하고 공성을 체험함으로써 번뇌라고 할 만한 것이 없음을 깨달음으로써 열반을 성취할 수 있다는 것이 반야중관 번뇌론의 핵심이다.

    영어초록

    Mādhyamika has closely examined the intellectual processing situation of the ceaselessly and variably changing phenomenal world by means of Prasaṅga, a dialectical theory, to argue against it in the high-dimensional manner that reveals unconditional and unutterable nature of the ultimate reality, upgrading it, as a result, to the higher level than reason. The philosophical ideas of Mādhyamika are based on the fact that the conflicts inherent in reason are limitless.
    As all beings in the existing phenomenal world are the products ofsubjective design thanks to intellectual function, its processing situation is instinctive and unconscious. In fact, they lack the reality of being and, by thus, can not exist of their own accord but appear only through dependence. Mādhyamika do not set forth any of their own theses concerning reality but thoroughly analyze the theories or standpoints of other schools, negate(prasaj yapratiṣedha) their contradictions, if any, as they fear that the reality may be hidden by views or ignorance.
    All of the subjective and falsified views can only be removed through nonconceptual wisdom and Śūnyatā because, when the reality can not be comprehended as existence or nonexistence and all types of speculation(kalpanā) are ceased, the real nature of absoluteness then takes shape automatically. This is so-called non-duality wisdom or prajna-paramita, a concept freed from that of existence and non-existence. Mādhyamika philosophy does not deny the reality itself but just negates the views of other schools, using such negation just as a means to learn the 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