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芬皇 元曉의 『十門和諍論』과 『判比量論』의 내용과 사상사적 의의 (A Study on Contents & Ideological Meaning of Simmunhwajaengnon and Panbiryang-ron of Bunhwang Wonhyo)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6.06
27P 미리보기
芬皇 元曉의 『十門和諍論』과 『判比量論』의 내용과 사상사적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미술사학 / 19호 / 127 ~ 153페이지
    · 저자명 : 고영섭

    초록

    이 논문은 분황 원효(芬皇 元曉, 617~686)의 논리사상을 담고 있는 『십문화쟁론』과 『판비량론』이 지니고 있는 철학사적 지위와 사상사적 의의에 대해 논구한 글이다. 원효는 7세기 동아시아 사상사가 안고 있던 空宗과 有宗의 대립, 구역[無相]유식과 신역[有相]유식의 갈등, 변계소집과 의타기성의 空有 문제, 아뢰야식과 여래장[불성]의 동이, 삼승과 일승의 대립, 皆成說과 各別說의 길항 등 동아시아인들의 철학적 공안과 사상적 화두를 안고 살았다. 그가 70평생 동안 103(105)부 208(214)여권에 이르는 많은 저술을 지은 것도 이러한 의단을 돌파하기 위해서였으며 대중교화를 위해 저자거리에 온몸을 던진 것도 이러한 문제를 온몸으로 실현하기 위해서였다.
    원효가 10문 혹은 그 이상을 통해 보여준 和諍 논리와 會通 논법은 ‘中’이라는 잣대로 모든 존재를 파악한 붓다의 ‘中觀’을 이은 용수의 空觀, 승랑의 正觀, 천태의 妙觀을 잇는 和觀에 입각한 것이었다. 화관은 非有非無의 공관과 無依無得의 정관과 空假中의 三諦와 三觀을 아우르는 묘관을 통섭하는 원효적 표현이었다. 그는 『십문화쟁론』의 십문 혹은 그 이상의 문을 화관을 통해 일심으로 나아가고자 하였다. 원효가 세운 화관의 ‘門’과 ‘論’의 확장된 표현인 십문 혹은 그 이상은 一心으로 나아가는 ‘관문’이자 ‘현관’의 수립이라는 점에서 철학사적 의의가 매우 크다.
    원효는 ‘불설’ 혹은 ‘성교’라는 敎證을 넘어 ‘正理’ 즉 ‘올바른 이치의 논증’이라는 理證의 논증식을 창안하였다. 그는 대승의 ‘불설’ 여부는 해당 경전이 ‘부처의 교설[佛說]’, 즉 성스러운 가르침[聖敎]에 속한다는 것을 논증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그 가르침이 ‘올바른 이치’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논증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것은 종래의 경전관이었던 교증을 넘어 새로운 경전관이라 할 리증의 활로를 열어준 것이었다는 점에서 사상사적 의의가 매우 크다.
    원효의 대표작인 『십문화쟁론』과 『판비량론』은 완본이 남아있지 않아 그의 화회논법과 논리사상을 온전히 재구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남아있는 것을 통해서나마 그의 저술이 지닌 철학사적 지위와 사상사적 의의를 가름해 볼 수 있었다. 그는 화회의 논법을 통해 일심의 철학을 구축하였고, 因明의 논리를 통해 일심의 사상을 제시하였다. 원효가 일심 – 화회 – 무애의 기호로 보여준 것은 우리들로 하여금 하나를 향한 그리움인 일심 혹은 一心之源으로 귀결시키기 위해서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philosophical status and ideological significance of Simmunhwa- jaengnon(Reconciliation of the Ten Gates Theory) and Panbiryang-ron(criticism of inference) which contain logical ideology of Bunhwang Wonhyo(芬皇 元曉, 617~686). Wonhyo was engrossed in philosophic viewpoint and ideological topics of East Asians, such as confrontation between gongjong(空宗) and yujong(有宗) upheld by ideologists of East Asia during the 7th century, conflict between Guyeok(無相) yusik and sinyeok(有相) yusik, issues of byeongyesojip and and euitagiseong void/existence(空有), Alaya-vijnana, Dongi of tathagatagarbha(buddha-dh tu), confrontation between Samseung and Ilseung, and antagonism between gaeseong theory(皆成說) and gakbyeol theory(各別說), etc.
    He wrote about 103(105) volumes and 208(214) books throughout his 70-year life to break out of euidan. He went around the streets for enlightenment of the public in order to resolve those issues in person.
    Hwajaeng(和諍) logics and Hoitong(會通) argumentation, which Wonhyo showed through ten or more gates, were founded on Hwagwan(和觀) encompassing Gonggwan(空觀) of Yongsu adopting middle viewpoint of Buddha who figured out all existences through the yardstick of middle, right viewpoint of Seungrang, and intriguing viewpoint(妙觀) of Cheontae. Hwagwan was an expression unique to Wonhyo, which is intriguing viewpoint(妙觀) of Jungje(中諦) blending the Gonggwan of non-being and non-existence(非有非無), right viewpoint of no meaning and no gain(無依無得), Gongje(空諦) and Gaje(假諦) harmoniously. He attempted to pursue one mind through ten or more gates of Simmunhwajaengnon(Reconciliation of the Ten Gates Theory) through Hwagwan. The gateway to Hwagwan, which was established by Wonhyo, and ten or more gates which represent expanded expression of theory, have very significant philosophical meaning in that they open up the way to one mind and pave the way for establishment of Hyeonwan.
    Wonhyo created argumentation formula called ‘reason-based substantiation’ which is argumentation based on correct reason or logic, going beyond teaching-based substantiation(敎證) known as Buddhist theory or holy teaching. Whether Mahayana corresponds to buddha-vacanatva cannot be substantiated by argumentation that concerned scripture constitutes Buddhist theory postulated by Buddha, i.e., holy teaching. Rather, it can be substantiated by argumentation proving such teaching conforms to correct reason or logic. That has very significant ideological meaning for paving the way for reason-based substantiation, anew viewpoint of scriptures which went beyond teaching-based substantiation which represented previous standpoint of scriptures.
    Complete works of Simmunhwajaengnon(Reconciliation of the Ten Gates Theory) and Panbiryang-ron(criticism of inference), the most prominent works of Wonhyo, was lost, making it difficult to reproduce his Hwahi logics and reasoning ideology in their entirety. However, we can fathom the philosophical status and ideological significance of his books through the works that remain. He established the philosophy of one mind through the reasoning of Hwahi and presented the ideology of one mind through the logic of Inmyeong(因明). What Wonhyo showed through the symbols of one mind, Hwahi, and Muaewas to lead us to reach one mind or origin of one mind (一心之源) which is the yearning for one th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