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태극도설』 해석에 나타난 주자(朱子)와 장남헌(張南軒)의 공부론(工夫論) (The Theories of Shelf-Cultivation of Zhuxi and Zhangshi in their explanatory Notes of Taijitushuo)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8.08
29P 미리보기
『태극도설』 해석에 나타난 주자(朱子)와 장남헌(張南軒)의 공부론(工夫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유학연구 / 44권 / 393 ~ 421페이지
    · 저자명 : 전병욱

    초록

    남송(南宋)이 건국되고 얼마 되지 않아 주렴계(周濂溪)의 「태극도」와 「태극도설」이 주진(朱震)의 『한상역전(漢上易傳)』에 수록되어 황제를 비롯한 대중에게 소개되었다. 그 뒤로 주렴계의 『통서(通書)』가 여러 곳에서 출판되었는데 그 속에는 대부분 「태극도」와 「태극도설」이 포함되어 있었다. 주자(朱子)와 장남헌(張南軒)는 이 『통서』를 교정하고 편집하여 출판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고 나중에는 『태극도설』과 『통서』를 분리하여 유통시켰다. 주자와 장남헌은 처음에 ‘무극이태극(無極而太極)’에 대한 해석부터 동정(動靜)의 공부론에 이르기까지 여러 의견이 대립하였다. 주자가 ‘미발(未發)’의 문제로 고민하고 있을 때 장남헌은 세계의 본질은 ‘무극(無極)’이며 그 속에 세계의 이치가 모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태극이라고 부르는 것일 뿐이라고 설명하여 주자가 ‘미발’을 미지의 본체로 상정하는 중화구설(中和舊說)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도왔다. 이후 주자는 중화신설(中和新說) 시기에 『태극도설』의 ‘주정(主靜)’을 이정(二程)의 공부법인 ‘주정(主敬)’과 조화시킬 방법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太極이 動靜을 아우르는 것처럼 그 공부인 敬도 동정을 아우르고 주정은 전체 경(敬) 공부의 근간이라는 관점을 정립하였다. 장남헌은 ‘입인극(立人極)’을 처음에는 ‘성인이 다른 사람을 위해서 삶의 보편적인 표준을 세운다’라는 의미로 해석하다가 나중에는 ‘성인 스스로 자신의 인극(人極)을 정립(定立)한다’라는 의미로 고쳤다. 이 부분에 대한 주자의 설명은 모호한 감이 있는데 장남헌의 이 해석을 통해 그 의미가 한결 선명해진다. 이렇듯 『태극도설』에 대한 주자와 장남헌의 해석은 본체론뿐만이 아니라 성리학의 공부론을 입체적으로 조명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자료이다.

    영어초록

    Not long after the Southern Song Dynasty (1127-1279) was founded, Hanshanzhg's theory of Yi made Taijitu and the Annotations to Taijitu public. Since then, Zhoudunyi's Tongshu has been published in many places, and it contained Taijitu and Taijitushuo(the explanation to Taijitu). Zhuxi and Zhangshi made a lot of effort into correction, editing, and publishing of Tongshu to complete the common edition, and made annotations about it. They were odds with each other regarding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because the had differences in interpretation between Wuji and Taiji, however, they finally reached a consensus through discussion. Zhangshi insisted that jing靜 in zhujing主靜 meant wuji無極 at first, accepted Zhuxi's interpretation that this jing was tranquility of action's antonym. At a time when Zhuxi was agonizing over how to reconcile zhujing主靜 and zhujing主敬, he met Zhangshi to discuss the issue of taiji and found a clue to the solution.
    Zhangshi first interpreted lirenji立人極 as 'the sage sets the standard of life for others', and later changed it to 'the sage achieves his own virtue'. Zhuxi's explanation for this part was unclear, but Zhangshi's interpretation made the meaning clearer. When Zhuxi was concerned about weifa未發 issue, Zhangshi helped him establish the old theory of zhonghe中和, and taiji was an important topic they discussed at the time. Zhangshi explained, "The world's origin is wuji and it is also called taiji because wuji contains all kinds of principles. " This view led Zhuxi to assume weifa未發 was the unknown noumenon. At that time, Zhuxi only vaguely claimed that jing敬 was the key. Then, after establishing the new theory of zhonghe中和, Zhuxi considered zhujing主靜 as the basis for studying the jing敬. Zhangshi first thought that the moral standards were set up by Sage, but later he accepted Zhuxi's argument and established the theory that everyone should base their inherent nature on morality. As such, the interpretation of taijitu and the Annotations to Taijitu by Zhuxi and Zhangshi is a key not only to understanding their ontologies but also to the reinterpretation their theories of self-cultiv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