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에밀 브루너의 정의론 연구 (A research on Emil Brunner’s Theory of Justic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5.02
24P 미리보기
에밀 브루너의 정의론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93호 / 711 ~ 734페이지
    · 저자명 : 홍순원

    초록

    정의는 제도와 법을 초월하는 궁극적 기준이며 그것들을 제정하고 폐기하는 근원적 규범이다. 법의 절대적 기준으로서 정의는 제도화되기 이전에 인간의 도덕성과 양심 안에 제정되어 있다. 법은 정의를 실현하기보다 불의를 억제한다. 사회적 불의는 제도적 차원이 아니라 인격적 차원에서 해결되어야 한다. 자유는 정의보다 원초적인 상위 개념이다. 자유의 한계가 인정되지 않으면 우리는 절대적 자유를 주장하게 되고 자유는 정의와 분리된다. 사회 질서는 공동체적이며 계층을 구성하기 때문에 개인을 전체에 종속시킨다. 그것은 개인의 자유권과 함께 평등권을 침해할 수 있다. 평등의 실현으로서 정의는 개인적 몫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평등한 권리의 실현을 요구한다. 평등은 정의를 위한 필요 조건을 형성하지만, 충분조건은 될 수 없다. 차등적으로 대우하는 것이 오히려 평등을 실현할 수도 있기에 모두를 똑같이 취급하는 것은 정의와 대립할 수 있다. 평등주의 이론이 비판받는 이유는 평등의 영역들 안에 유사성뿐만 아니라 본질적인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창조신학에서 인간의 평등은 하나님의 인격적 의지 위에 기초하고 있다. 개인적인 불평등은 평등과 같은 뿌리에서 나오며, 평등과 동일한 존엄성을 가지고 있다. 평등과 불평등은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성을 통하여 조화를 이룬다. 각자의 개성은 차별이 아니라 인간의 상호의존성과 상호 보완성을 의미한다. 개인적인 불평등은 개인적 차별을 위해서보다 유기체적 상호의존적 보완관계를 위해서 작용한다. 관계적 개념으로서 정의는 개인적으로 존재하는 인간과 관계하기보다 관계 속에 존재하는 인간에게 적용된다. 인격의 주체인 인간은 정의의 제도보다 상위질서이다. 인격이 사회 제도를 위하여 있지 않고 사회 제도가 인격을 위하여 있기에 사랑은 정의를 초월해 있다. 사랑과 정의는 하나님에게 함께 속해 있으며 그리스도인은 사랑의 질서와 정의의 질서에 함께 복종한다. 사랑은 제도와 타협하지 않으며 사랑의 행동은 제도적 현실 안에서 정의의 형태로 변화될 수밖에 없다. 사랑은 사회가 추구해야 할 최상의 원리이지만 정의는 사회를 유지하는 최소한의 원리이다. 정의는 사랑이 사회 질서와 제도에 적용된 형식이다. 정의의 궁극적 원리인 사랑이 작용할 때 현실적 정의의 불완전성이 해결될 수 있다.

    영어초록

    Justice is the ultimate standard which transcends institution and law, and is the fundamental norm that establishes and abolishes them. As an absolute standard of law, justice is established in human morality and conscience before its institutionalization. Law suppresses injustice rather than realizing justice. Social injustice should not be resolved at the institutional level but at the personal level. Freedom is a more primary and superior concept than justice. If the limits of freedom are not acknowledged, we would end up claiming absolute freedom, and freedom schould be separated from justice. As social order is communal and hierarchical, it can subordinate individuals to the whole and violate the right to equality along with the right to freedom of individuals. As the realization of equality, justice demands the realization of equal rights despite the differences in individual shares. Equality forms a necessary condition for justice, but it cannot be a sufficient condition. Treating everyone equivalently can be in conflict with justice, since treating them differentially can actually realize equality. The reason why the theory of egalitarianism comes uner criticism is due to the essential differences as well as the similarities within the domains of equality.
    Human equality in the theology of creation is based on God's personal will. Personal inequality comes from the same root as equality and has the same dignity as equality. Equality and inequality are harmonize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an. The individuality of each person does not mean discrimination, but rather the interdependence and mutual complementarity of man. Personal inequality militates for the organic interdependent complementarity rather than for the individual discrimination. As a relational concept, justice is applied to human being who exists in relationship rather than to him who exists individually. Human being as a subject of personality is higher order than the system of justice. Since the personality exists not for the social system, but the social system does for the person, love transcends justice. Love and justice belong together to God, and christian submits at once to the order of love and to the order of justice. Love does not compromise with the system and the action of love cannot help but be transformed into the form of justice within the institutional reality. While love is the highest principle that society should follow after, justice is the minimum principle that maintains society. Justice is the form in which love is applied to social order and institution. When love, the ultimate principle of justice, comes into play, the imperfection of realistic justice can be resolv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