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어거스틴의 감정론 (Augustine's Theory of Emo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5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1.12
51P 미리보기
어거스틴의 감정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철학회
    · 수록지 정보 : 기독교철학 / 32호 / 61 ~ 111페이지
    · 저자명 : 양성만

    초록

    어거스틴은 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의 감정론과 스토아 철학의 감정론을 받아들여 이를 기독교 교리를 따라 비판하고 재해석, 재구성하여 자신의 감정론을 구축했다. 그런데 그의 감정론을 두고 여러 가지 해석상의 논쟁이 일어난다. 저급한 감정과 고차원적인 감정을 구분하고, 이를 affectio와 passio의 용어로 구별하여 표현했다는 해석과 그런 구분이 없다는 해석이 충돌한다. 스토아는 예비적 움직임만으로는 감정이 아니고, 거기에 대한 동의가 있어야 감정이라고 주장하는데, 어거스틴은 몇 가지 이유로 이를 오해하여 예비적 움직임 자체를 감정으로 간주하였다고 Sorabji는 해석한다. 어거스틴은 감정이 의지의 동의와 상관없이 일어난다고 주장하는가 하면 다른 곳에서는 의지가 감정을 결정한다고 발언하여 모순을 일으킨다는 불만을 일으킨다. 어거스틴의 감정론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런 논쟁들을 정리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 논문은 앞부분에서 이 문제를 다룬다. 그래서 도달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어거스틴이 affectio와 passio를 구분해서 사용하는 것처럼 보이는 곳도 있지만 전반적으로는 체계적으로 엄격하게 이 구분법을 따르지 않고 유연하게 사용하였다. 예비적 움직임과 감정을 구분하는 스토아의 감정 개념을 어거스틴은 초기에는 따랐지만 후기에 포기하였으므로 어거스틴이 스토아의 예비적 움직임을 오해했다기보다는 의도적으로 기독교적 관점에 따라 재구성하였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어거스틴은 두 감정을 인정하는 것처럼 보인다. 의지와 상관없이 발생하는 감정이 있고, 사랑과 의지에 의해서 발생하는 감정이 있다. 어거스틴이 감정과 의지를 이렇게 연결시키는 것은 의지의 왜곡된 선택을 악의 기원을 보는 어거스틴의 신학적 입장과 관련되어 있다. 어거스틴은 기독교 신학을 따라 타락 이전의 시조의 감정 상태, 타락 이후 현세에서 인류가 경험하는 징벌로서의 감정 상태, 그리고 감정의 구원 및 구원이 완성된 천상에서의 감정 상태를 구분하여 기술한다. 어거스틴이 처음에는 스토아의 감정론을 수용하고 이를 따라 감정론을 펼쳤지만 후기에 갈수록 기독교적 신학의 입장에서 이를 비판하고 재구성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Augustine accepted Plato-Aristotle's theory of emotion and Stoic's theory of emotion and criticized, reinterpreted, and reconstructed it according to Christian doctrine to build his own theory of emotion. However, various interpretations of his theory of emotion arise. The interpretation of distinguishing between low-level emotions and high-order emotions and expressing them in terms of affectio and passio collides with the interpretation that there is no such distinction. Stoicism argues that propatheia (a preliminary movement) alone is not an emotion, but only with consent it becomes an emotion. Augustine argues that emotions can arise without the consent of the will, while elsewhere he argues that the will determines emotions. It makes some scholars suspect that there is a contradiction. In order to properly understand Augustine's theory of emotion, it is necessary to make an order between these arguments, so this paper deals with these issues in the first part. So the conclusion reached is as follows. There are places where Augustine seems to use affectio and passio separately, but overall, he did not strictly follow this distinction systematically but used those words flexibly. Augustine followed the Stoic concept of emotion that distinguishes preliminary movements from emotions, but gave up later. Augustine seems to acknowledge two kinds of emotions. There are emotions that arise irrespective of the will, and there are emotions that arise out of love and will. Augustine's connection of emotion and will in this way is related to Augustine's theological position that the distorted choice of the will is the origin of evil. According to Christian theology, Augustine divides and describes the emotional state of the first parents before the Fall, the emotional state as a punishment experienced by mankind in this world after the fall, and the emotional state in heaven where the salvation of emotions is completed. It can be confirmed that Augustine initially accepted Stoic's theory of emotion and followed it, but later criticized and reconstructed it from the standpoint of Christian the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독교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