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애인의 존재론적 정체성에 관한 기독교 철학의 인간론적 해석 (A Found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Ontological Identity of the Disabled from a Perspective of Christian Philosophical Anthropology)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1.04
33P 미리보기
장애인의 존재론적 정체성에 관한 기독교 철학의 인간론적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새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총 / 64권 / 2호 / 71 ~ 103페이지
    · 저자명 : 김성원

    초록

    본 논문의 핵심주제는 장애의 정체성 이해와 장애인 복지의 당위성에 대한 종교철학적 혹은 철학적 신학 해석을 시도하는 것이다. 그동안 장애인의 복지에 대한 신학적 접근은 15년 전부터 낸시 아이스렌드(Nancy Eiesland)가 해방신학적 방법을 도구로 해서 힘겹게 장애신학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장애신학은 해방신학과 유사한 맥락에서 이원화의 문제와 기반이론의 부족이 지적되면서 학문적 지평을 넓혀가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해방신학은 누르는 자와 눌린 자에 대한 이원화 문제와 해방신학의 이론적 기반의 취약성에 대한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결국 해방신학은 불과 반세기도 채우지 못하고 쇠잔의 일로를 걷기 시작하고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지적되어온 해방신학의 이원화의 문제와 기반이론의 취약성을 보완하는 차원에서 장애인의 복지의 기반이론 정립을 위한 철학적 장애신학의 서곡을 제시한 것이다.
    연구목적은 장애인의 복지에 대한 실천은 기독교뿐만 아니라, 사회복지와 일반 분야에서도 당위적인 것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화이트헤드가 철학연구의 목적은 보다 광범위한 보편성을 찾는 여정이라고 하였는데, 장애인의 복지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보편적 기반이론을 모색하는 것이다. 특히 기독교 철학신학에서 그 동안 다루지 못했던 것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도록 학문적 논의의 장이 열려지기를 기대하면서,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 장애인의 복지에 대한 이해와 당위성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접근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내용의 구조는 먼저 장애인에 대한 기독교 신학적 해석의 유형들을 살폈고, 철학적 신학 혹은 종교철학적 차원에서 장애인의 정체성 이해와 복지의 당위성 문제를 다루었다. 장애의 정체성은 인간의 존재양식과 창조질서 혹은 우주질서의 근본적인 원리에 의한 해석을 시도하였다. 복지의 본질과 당위성 문제는 기독교 철학에서 언급되고 있는 초월적인 보편적 로고스 즉 보편적인 도덕적 원리의 초월적인 정언명령적 이해를 통해서 해석을 시도하였다. 장애인의 정체성은 우주-존재론적 현상이며, 장애인에 대한 복지는 자선의 대상이 아니라 비장애인들이 서로 실천하는 같은 차원의 사랑의 대상이라는 사실을 언급하였다.

    영어초록

    The primary issue of this essay is to interpret the identity of the disabled from a perspective of Christian philosophical anthropology with welfare for the disabled in question. Subsequently, a validity of the aspect of welfare for the disabled was edified through found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theory of Christian transcendental logos, which has an affinity with Kantian transcendental categorical imperative. The reason why this essay was attempted on this subject is to promote a research of foundational theology on the disability matters by laying down some critical ideas of the disability, as Christian philosophical anthropology has not done much on the interpretations of the disabled.
    Also, so far Christian liberation theologies have failed in understanding the wholistic mode of human being as they interpreted human with dualistic method, which is one of the conspicuous and fatal mistakes in modernity. Even the frontier in the theology of the disabled, Nancy Iceland, made similar mistakes, as she took dualistic method of modernity. This essay attempted to provide wholistic understanding of the disabled from a perspective of Christian anthropology in correlation with Whiteheadian process philosophical theology. Accordingly, this essay insists that the disabled is not a mode of lacking something but a mode of "the differently abled." "The differently abled" does not imply no-need of love and care. Indeed, everyone need love and care in different dimensions for harmony of the society and universe. The welfare for the disbled is not a choice but obligatory dimension to implement of love, which was evidenced by the cosmological harmony with transcendental manda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