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녹문 임성주 이기론 연구 (A Study on Likikwan of Nokmoon, Lim Seungju)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09.04
16P 미리보기
녹문 임성주 이기론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윤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윤리교육연구 / 18호 / 107 ~ 122페이지
    · 저자명 : 배문규

    초록

    본 연구는 녹문 임성주의 이기동실론(理氣同實論)을 통해서 그의 이기관(理氣觀)을 검토 하고, 이기동실론에 나타난 사상적 의의를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녹문은 ‘이(理)’ 중심적 조선 성리학의 풍토에서, 이황(李滉)의 이귀기천(理貴氣賤)과 이이(李珥)의 이통기국(理通氣局)과는 구별되는 이기관을 제시하였다. 그는 당시 호락논쟁(湖洛論爭)이 주자(朱子)가 말한 결시이물(決是二物)이라는 말의 의미를 잘못 해석하여 발생하였다고 보았다. 그래서 이기동실론을 통하여 당시의 호락논쟁과, 호락논쟁의 또 다른 이론적 근거인 이통기국론(理通氣局論)을 비판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기일분수(氣一分殊)라는 그의 사상적 견해를 표명한다.
    기일분수라는 성리학적 명제는 이일분수(理一分殊)와 이통기국이라는 명제에만 치우쳐져 있는 당시의 성리학적 풍토를 나름대로 극복하려 한 것이었다. 이것은 이기동실이라는 그의 이기관이 전제하지 않고서는 성립할 수 없는 것이다. 그래서 녹문은 이기동실이라는 명제를 통하여, 이통기국 뿐만 아니라 기통이국(氣通理局)도 성립됨을 보여주었다.
    이기동실이란 ‘이’와 ‘기’가 모두 동등한 실(實)이라는 뜻이다. 이는 주자 이후의 조선 성리학이 ‘이’ 중심의 이기관이 주류였음을 볼 때, 매우 진보적인 생각이 아닐 수 없다. 성리학자에게 ‘이’와 ‘기’는 세상과 인간을 바라보는 중요한 도구적 개념이다. 그래서 한 성리학자의 이기관은 곧 그의 세계관이자 인간관인 것이다.
    녹문의 이기동실론은 ‘이’와 ‘기’를 동등하게 파악하고자 한 이기관이다. 이것은 ‘이’와 ‘기’ 중에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견해가 아니다. 우리가 현실과 이상을 염두해 두고 판단 할 때, 둘 모두의 가치를 인정한 것이다. 이러한 견해를 좀더 넓게 해석하면 서로의 다른 이질적인 실체가 좀 더 큰 하나로 통합 될 수 있다는 ‘화(和)’의 윤리와 깊은 관련성이 있다고 본다. 녹문의 이기동실의 의미를 다시 되새겨 본다면, 현대 사회의 대립과 갈등을 해결 하는데 많은 시사점을 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review the Likikwan(理氣觀) of Nokmoon, Lim Seungju through his Likidongshil(理氣同實) Theory and to give a brief overview of the important meaning shown in it. In the atmosphere of Chosun Neo-Confucianism focusing on Li(理), Nokmoon proposed Likikwan against Likwikichon(理貴氣賤) by Lee Hwang and Litongkikook(理通氣局) by Lee Yi. He thought the Ho-Rak Controversy(湖洛論爭) had been caused by wrong comprehension of the meaning of the word, Kyulsiemul(決是二物) elucidated by Chu-tz. Therefore, he criticized, with his Likidongshil Theory, the Ho-Rak Controversy and Litongkikook Theory, another theoretical root of the Ho-Rak Controversy. In the process, he expressed his ideological thought, Kiilboonsoo(氣一分殊).
    The Neo-Confucianism issue of Kiilboonsoo was meant to overcome the climate of Neo-Confucianism of the time that was biased to issues of Liilboonsoo(理一分殊) and Litongkikook. This couldn't be possible without the assumption of Nokmoon's Likikwan, the Likidongshil Theory. Therefore, through the issue of Likidongshil, Nokmoon proved that Kitonglikook(氣通理局) as well as Litongkikook exists.
    Likidongshil means Li and Ki are of equal value. This was a very radical thought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main stream of Chosun Neo-Confucianism after Chu-tz was Likikwan based on Li. For neo-confusianists, Li and Ki are an important instrumental concept to define the world and human. Likikwan of a neo-confucianist, therefore, is the way he defines the world and human-beings.
    Nokmoon's Likidongshil Theory is a Likikwan to equally study Li and Ki. This is not the opinion that inclines too heavily toward the one side. Considering both the reality and the ideal, we can know this opinion acknowledges either value. To define it more broadly, that is more densely associated with ‘harmony’ ethics that several heterogenous entities can converge into the same one. If we look into the meaning of Likidongshil, it will help us resolve various antagonism and conflict of modern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