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 이통기국 뿐만 아니라 기통이국(氣通理局)도 성립됨을 보여주었다. 이기동실이란 ‘이’와 ‘기’가 모두 동등한 실(實)이라는 뜻이다. 이는 주자 이후의 조선 성리학이 ‘이’ 중심 ... )’ 중심적 조선 성리학의 풍토에서, 이황(李滉)의 이귀기천(理貴氣賤)과 이이(李珥)의 이통기국(理通氣局)과는 구별되는 이기관을 제시하였다. 그는 당시 호락논쟁(湖洛論爭)이 주자 ... issue of Likidongshil, Nokmoon proved that Kitonglikook(氣通理局) as well as Litongkikook exi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