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존재론적 교리교육 (Existential Catechetic)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06.06
38P 미리보기
존재론적 교리교육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가톨릭신학학회
    · 수록지 정보 : 가톨릭신학 / 8호 / 75 ~ 112페이지
    · 저자명 : 정신철

    초록

    복음 선포적 교리교육이 등장한 이후, 여러 국제회의가 1960년대에 각 지역에서 열렸다. 이 회의의 개최 순서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아시아의 방콕(1962)에서 열렸고, 이어 아프리카의 카티곤도(1964), 아시아의 마닐라(1967), 마지막으로 남미의 메델린(1968)에서 교리교육에 관한 국제회의가 개최되었다. 이렇게 여러 차례의 교리교육에 관한 국제회의가 열린 목적은 복음선포적 교리교육의 기본 원리를 알려주는 것이었다. 이를 통해 문답식 교리교육에서 벗어난 새로운 형태의 교리교육을 시키고자 하는 원의가 있었다. 또 다른 더욱 본질적인 목적은 복음 선포적 교리교육을 각 대륙에 적용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하지만 이런 목적은 교리교육에 관한 국제회의가 처음으로 열렸던 방콕 회의에서부터 수정되기 시작한다. 왜냐하면 참석자들은 회의가 진행되면서 복음 선포적 교리교육이 유일하고도 보편적인 방법이 아니라는 통찰을 하기 시작하였기 때문이었다.
    사실 아시아는 사회 주변적 환경이 복음선포적 교리교육이 탄생한 유럽과는 완전히 다르다. 아시아 대륙은 전통 종교가 살아 쉼 쉬는 곳이고, 전통 종교에 따른 문화적, 도덕적 규범이 있는 곳이며, 정치 경제적으로도 개발도상국이면서도 동시에, 민주화에 대한 갈망이 강하게 표출되는 지역이다. 이런 배경은 이미 그리스도교 문화 안에 살고 있는 유럽인들이 복음의 메시지를 듣는 것과 아시아인들이 복음의 메시지를 듣는 것에 있어 그 이해에서부터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음을 보여준다. 이는 곧 교리교육의 방법에 있어, 내용 중심적 교리교육을 하기 이전에, 먼저 교리를 받는 이들의 이해가 선행되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다. 즉 교리를 받는 이들에 대한 깊은 이해가 있을 때, 이에 맞는 효과적인 교리 내용이 전달 될 수 있고, 교리교육의 본질적인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교리를 받는 이들에 대한 이해를 선호하는 교리교육을 인간학적 교리교육이라 칭한다.
    인간학적 교리교육은 교리를 받는 이들에 대한 깊은 배려에서부터 교리교육이 시작된다. 그런데 교리를 받는 이들을 배려함에 있어 ‘그들이 누구인가’ 즉 인간을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그 교육 방법이 아주 다양하게 등장한다. 따라서 다양한 상황 속에 있는 인간을 바라봄에 있어, 어디에 교육 초점을 맞추느냐에 따라 교육의 방법도 다양하게 드러난다. 왜냐하면 아무리 훌륭한 교리교육 방법이라 하더라도, 모든 인간의 삶의 총체적 조건을 다 충족시키는 단일한 형태의 교육방법은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소고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존재론적 교리교육은 인간학적 교리교육 방법의 한 형태이다. 이 방법이 인간학적 방법의 한 형태인 이유는 이 교리교육 방법이 강조하고자 하는 것이 인간 존재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즉 복음의 메시지를 전달함에 있어 인간 존재는 그 심층에서 이 메시지를 어떻게 받아들이는지에 관심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존재론적 교리교육이 인간의 여러 삶의 조건과 환경 중에서 인간의 존재론적 문제에 해답을 주는 것으로서의 메시지를 알려주고 전달해 주고자 함을 그 목표로 두고 있음을 말한다. 이러한 교리교육 방법은 제 2차 바티칸 공의회의 계시 헌장에서 그 신학적 근거를 찾을 수 있다. 하느님의 자기 계시는 인간을 향해 다가오는 것이고, 이는 인간의 역사 안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표징을 통한 하느님의 자기 계시는 인간이 이 표징에 대한 반성과 성찰을 통해 그 뜻이 드러난다. 이는 인간이 하느님의 자기 계시를 인간의 삶의 한 중심에서 특별히 자신의 깊은 체험의 성찰을 통해 찾을 수 있는 것이며, 이를 통해 인간은 자기 존재의 심층을 울리고, 삶의 의미를 충만하게 하며, 그 근거를 제공하시는 하느님을 만나게 된다.
    이러한 신학적 근거를 지니는 존재론적 교리교육은 교리교육의 실천적 현장에 적용될 때 3단계의 구조를 지니게 된다. 첫 번째 단계는 인간의 경험을 상기시키고, 그의 종국적 의미를 찾는다. 이어 그 의미와 하느님 말씀과의 만남을 통해 자신의 경험을 하느님의 말씀 안에서 해석한다. 마지막으로 하느님 말씀을 통한 깊은 자기 경험의 의미를 발견하고, 그리스도인의 삶에로 나아간다. 이러한 구조를 지닌 이 교리교육 방법은 한국 천주교회에 많은 영향을 끼치지는 못하였다. 왜냐하면 한국의 시대 상황은 인간 존재의 의미를 묻기 보다는 정의와 평화를 위한 노력에 더 관심을 많이 가졌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 개의 교리서는 이러한 노선을 추구하였는데, 그 효과가 충분하지 못하였고, 아직 연구도 불충분하여 대중화되지 못한 방법으로 머물고 있다. 하지만 한국 사회가 점차 물질화를 통해 정신적 공허함을 느끼는 시대로 접어들고 있기 때문에, 한국 천주교회의 미래를 위해, 이 교리교육 방법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Après l'apparition de la catéchèse kérygmatique au début des années 60 dans le siècle dernier, les semaines internationales de catéchèse ont été ouvertes par les demandes des spécialistes de catéchèse, parce que ces derniers voulaient appliquer la méthode de la catéchèse kérygma- tique dans les autres continents : la semaine internationale de catéchèse à Bangkok en 1962, à Katigondo en 1964, à Manille en 1967 et à Medellin en 1968. Tout au long de ces semaines, les spécialistes de catéchèse europeen voulaient présenter la nouvelle méthode, la catéchès kérygmatique pour l'appliquer dans les situations asiatique, afrique et latine amérique. En effet, la session de Bangkok accepte en gros les principes fondementaux du renouveau kérygmatique, formulés à Eichstä̈tt en 1960. Mais la méthode de la catéchèse kérygmatique qui accentue l'aspect théologique, centré sur la Parole de Dieu, avait un peu oulbié que la Parole de Dieu est aussi parole de Dieu à l'homme, que la révélation de Dieu est aussi révélation de l'homme. En disant cela, on a commencé à se faire sentir, surtout dans les pays de mission, à l'égard de la catéchèse kérygmatique, parce que, malgré toute insistance que l'on mettait sur le kérygme en Europe, les missionnaires devaient tout d'abord prendre en conscience sur les traditions religieuses et sur les mentalites asiatiques. Comme on a déclaré dans la semaine interna- tionale de catéchèse à Bangkok que "la catéhcèse doit préparer le terrain en épurant les jugements, les sentiments et mê̂me les impressions subconscientes, afin de les rendre conformes à la doctrine du Christ", on devait sépcialement l'accent sur l'approche humaine, sur les problèmes que pose la catéchèse surtout dans sa première étape d'évangélisation et de conversion. Ainsi, on a commencé à parler pour la première fois de prendre en conscience de l'homme, lui-mê̂me, en disant symboliquement 'le terrain'. C'est pourquoi on dit que la semaine internationale de catéchèse à Bangkok s'ouvre un vent nouveau souffle, d'orientation nettement anthropologique.
    Bien qu'on commence à donner une attention spéciale à la culture, la mentalité et la réligiosité dans la catéchèse, la catéchèse antropologique s'avère difficile dans la pratique, parce que, étudier l'homme, prendre en compte de l'homme, c'est déjà compliquer : quel point de vue sur l'homme? quels aspect de l'homme : religieux, mentale, culturelle, politique ou pscycologique? Cela veut dire que la catéchèse anthropo- logique ne peut pas ê̂tre facillement appliquée dans la pratique, mais qu'elle a diverses méthodes d'appliquer, selon le point de vue sur l'homme, dans la pratique. La catéchèse existentielle que je veux présenter dans ce travail, est une sorte de la catéchèse anthropologique : cette première prend en compt du sens de la vie des hommes, parce que le message chrétien peut donner toutes réponses aux questions des hommes et qu'il donne aux hommes la raison de vivre et ses fondements. En effet, cette catéchèse a un fondement théologique qui vient de la constitution, Dei Verbum, du concile Vatican II. La Révélation est une relation inter-personnelle entre Dieu et l'homme ; le Dieu invisible découvre le mystère de sa personne, se manifeste à l'homme et Il ouvre un dialogue avec lui. En outre, cette Révélation s'accomplit graduellement au cours de l'histoire ; manifestée par les Prophètes, elle est ensuite promulguée par le Christ, et enfin, prê̂chée par les Apô̂tres. De nos jours, elle se manifeste par des signes en rapport avec les Ecritures, les enseignements de l'Eglise, les témognages des saints. C'est pourquoi elle prend place concrètement et actuellement dans les événements qui constituent l'histoire humaine, dans le contexte de l'expérience humaine. Si l'on suit cette théologie, on peut dire que les situations et les problèmes humaines d'aujourd'hui doivent ê̂tre éclairés et interprétés par des situations humaines similaires vécues dans la révélation passée, surtout dans l'histoire du salut. La vie tout entière et toute l'histoire humaine peuvent ê̂tre, et elles sont, milieu et signe de révélation. Elles doivent ê̂tre interprétées par la Parole de Dieu.
    Puisque la catéchèse existentielle met l'accent sur les conditions de vie des catéchisés, son point de départ est le vécu, et le message évangélique est au coeur de la démarche. Ainsi, sa méthode , est-elle inductive, alors que celle de la catéchèse kérygmatique est déductive. S. D. Amalorpavadass en a montrée le déroulement de la façon suivente : Dans un premier temps, il faut évoquer une expérience humaine, suivie de réflexions, et interpréter le sens de cette expérence au niveau humaine, jusqu'à épuiser ce sens. Dans un deuxième temps, il faut arriver à interpréter et à découvre ce sens plénier et ultime à la lumière de la Parole de Dieu. Dans un dernier temps, il faut mettre en relief le rapport entre la Parole et la vie pour que les catéchisés reprennent et revivent cette expérience humaine en plein accord avec la foi.
    Bien que la catéchèse kérygmatique aie eu une grande influence sur le catéchisme coréen, la catéchèse existentielle n'en a pas eu à cause de la situation sociale, économique et politique dans la Corée des années soixante aux quatre-vingt dans le siècle dernier. Pendant cette période, le développement rapide de l'économie a posé des problèmes politiques et sociaux, au point que les Coréens devaient combattre pour la justice et les droits de l'homme. Ainsi, l'Eglise a préféré la catéchèse historico-prophétique à la catéchèse existentielle. C'est pourquoi on n'a trouvé qu'un ou deux catéchismes, influencés par elle. A mon avis, cela vient de ne pas encore ê̂tre suffisamment étudié cette méthode pour l'appliquer au contexte coréen, de ne pas l'utiliser dans la pratique catéchétique. Ainsi, on a besoin de l'étudier profodément pour l'appliquer, afin du future de l'Eglise de Corée, qui est de plus en plus en face de la mentalité du matérialisme et de la vanité.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