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웹소설 창작론 연구 (A Study on the Methodology of Web Novel Cre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3.01
31P 미리보기
웹소설 창작론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77호 / 105 ~ 135페이지
    · 저자명 : 김명석

    초록

    서사학의 관심이 웹소설을 향하고 있다. 작가와 독자의 경계가 점차 사라지고, 독자들의 욕망은 구독을 넘어 창작을 통한 소득, 억대 연봉 추구로 커진다. 언제든 작가로 나설 채비가 된 독자들에게 필요한 것은 최소한의 창작 지침서이다. 본 연구는 현역 웹소설 작가들의 창작 지침서 비교를 통한 웹소설 창작론 특성 파악을 목표로 삼는다.
    본문에서는 웹소설 창작론의 핵심 요소로 캐릭터 설정법, 플롯 짜기와 코드 쓰기 및 시놉시스 작성법, 연재 기술 등을 비교 분석했다. 첫째, 웹소설만의 캐릭터 설정 원칙으로 윤재는 인물의 목표에 따른 캐릭터 설정에 집중했다. 코드를 강조한 진문은 라캉의 욕망 이론을 활용해 남성향 판타지의 주인공을 설계한 반면 정무늬는 코드 아닌 개성의 중요성을 주장했다. 다소 도식화된 방법론들은 작가 고유의 인간관으로 세상에 없던 캐릭터를 창조하는 데 한계가 있다. 둘째, 웹소설의 플롯 짜기와 코드 쓰기, 시놉시스 작성법을 살펴보았다. ‘플롯 짜기’ 전략의 핵심인 ‘코드’는 독자들의 취향 변화와 시대적 트랜드를 반영하며 작품 소재와 방향성을 결정한다. 회귀 코드를 활용한 진문의 판타지 창작법, 윤재의 프로그램으로 플롯 짜기, 시놉시스 노하우와 트리트먼트를 강조한 북마녀 간의 차별성을 발견할 수 있다. 셋째, 웹소설의 연재 기술이다. 작가 공통의 핵심 기술인 이른바 ‘절단신공’은 수용자인 독자의 호기심을 극대화하고, 대리만족을 추구하는 독자들의 욕망 충족을 지연시키며 구매를 결심하게 만드는 기술로서, 웹소설의 매체성과 서사성이 상호작용한다.
    현역 웹소설 작가들의 창작 경험을 바탕으로 독자들의 작가 진입을 위한 실제적 지침서 역할을 하고 있는 웹소설 창작법의 장점을 살리면서 매체성 및 서사성 이론과 접목시켜 발전시켜야 한다.

    영어초록

    The interest in epic literature is now directed at web novels. The boundaries between the writer and the reader are torn down, and the reader in the age of web fiction is ready to become the writer. Readers' desires have led to income through subscriptions and high incomes of hundreds of millions of won in annual salaries. There is no author qualification needed for readers' transformation. They only need the minimum creative guidelines to start creating immediately. The core of the guidebook is not about the artistry of writing but rather serves as a guide for debut web novelists.
    The text’s three elements of web novel creation theory were characters and background concepts, plot weaving and synopsis, serialization technology, and well-cut craftsmanship. The most outstanding feature of web novel creation, distinguished from general novel creation, is that web novelists’ work is based on their experiences and serves as practical guidelines for readers to enter as writ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