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배위의 숭유론 고찰 (Study on Chongyoulun of Peiwe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3.03
33P 미리보기
배위의 숭유론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철학논집 / 36호 / 259 ~ 291페이지
    · 저자명 : 김태용

    초록

    이 글은 배위의 「숭유론」을 문제의식과 철학사상 두 부분으로 나누어, 그것이 갖는 목적과 의미를 고찰한다. 「숭유론」의 문제의식은 다음 세 가지이다. 첫째, 노자의 중심사상을 ‘허무’로 규정하는 것은 오해이다. 둘째, 과거의 사상가들이 ‘허무론’을 제대로 비판하지 못하여 그것의 확산을 억제하지 못했다. 셋째, 귀무론의 유행은 생활풍속의 문란과 사회질서의 붕괴를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배위는 ‘유’를 천지만물의 존재와 운동의 근거로 하는 다음과 같은 철학사상을 건립한다. 첫째, ‘도’는 ‘만유’의 종합일 뿐이고, ‘만유’ 밖에 있는 추상적 실체가 아니다. 둘째, ‘무’는 ‘유’가 없어진 상태일 뿐이고, ‘유’는 오로지 ‘유’로부터 말미암아 이루어진다. 셋째, ‘유’는 독립적 실체가 아니기 때문에 외재의 ‘유’에 의존해 생존한다. 그러므로 외재의 ‘유’를 파악하는 것이 존망의 관건이다. 넷째, ‘만유’는 상호 의존하는 관계에 있기 때문에 ‘만유’는 함께 있어도 서로 해하지 않는다. 인류도 상호의존적 관계를 맺어야만 살아갈 수 있는 존재이다. 그러므로 존재론적으로 사회제도와 윤리는 인간세계에 반드시 필요하다. 이처럼 배위는 ‘만유’의 ‘상호의존’이라는 존재론적 특성을 기초로 ‘도덕질서’의 정당성을 확보하여 무너진 생활풍속과 사회질서를 다시 세우려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Chongyoulun of Peiwei, and it is composed of the two parts of philosophy and critical mind. The critical mind on Chongyoulun is as follows: first, it is mis-interpretative to define the main thought of Laozi as Xuwu. Next, the old philosophers did not criticize Xuwuism properly; as a result, they failed to stop spreading Xuwuism. Last, Guiwulun brought about the disorder of the way of life and the collapse of the public order. Based on this critical mind, Peiwei built up the following philosophy based on You as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the existence and the movement of universal nature. First, Tao is the combined Wanyou, not abstract substance which is outside of Wanyou. Second, Wu is the state of being without You, and You only comes from You. Third, You can survive depending on external You because You is not the independent substance. Therefore, understanding the external You is the main factor of its existence. Fourth, Wanyou do not harm each other as they get together since Wanyous are interdependent. People are the being who can live through the mutual dependent relationships; hence, social system and morals (ethics) are key factors of the world in the oncological point of view. Wanyou had tried to rebuild the corrupted way of life and public order by recovering the justification of moral orders based on the mutual dependence of Wanyou which is the substance charac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