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기 불교에서 바라본 몸과 마음의 관계 - 일원론과 이원론 사이의 중도 (A Buddhist Approach to the Mind-Body Problem – The Middle Position between Monism and Dualism –)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3.07
29P 미리보기
초기 불교에서 바라본 몸과 마음의 관계 - 일원론과 이원론 사이의 중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보조사상 / 66호 / 109 ~ 137페이지
    · 저자명 : 김한상

    초록

    이 논문은 초기 불교의 몸과 마음 간의 관계를 명색(名色, nāma-rūpa)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초기 불교 텍스트(EBTs)는 몸과 마음을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식(識, viññāṇa)은 한 평생과 계속되는 재생을 통해 개인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식 흐름(viññāṇa-sotaṃ)이나 진행식(saṁvattanika-viññāṇa)으로 언급된다. 그래서 일부 사상가들은 초기 불교가 심신이원론을 지지한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초기 불교가 몸과 마음 간의 관계의 본질을 어떻게 이해하는가는 연기(緣起, paṭiccasamuppāda)에서 식과 명색의 상호의존성에서 알 수 있다. 붓다는 종종 “생명이 몸과 같은가?”, “생명이 몸과 다른가?”를 포함하는 ‘무기(無記, avyākata)’로 알려진 일련의 질문을 받았다. 그 질문은 육체의 죽음 이후에도 살아남는 영원한 자아가 존재하는지(상주론), 또는 실체적 자아가 존재의 완전한 종말인 죽음과 동시에 파괴되는지(단멸론)를 묻는 것과 같다. 붓다는 이러한 질문을 시간 낭비와 잘못된 구성으로 제쳐두었다. 이는 초기 불교가 몸과 마음이 엄밀히 분리된 실체라는 이원론을 피했음을 뜻한다. 또한 마음과 물질이 마침내 하나, 즉 정신(유심론)이나 물질(유물론)로 환원될 수 있다고 말하는 일원론도 피했음을 뜻한다. 초기 불교는 두 이론 모두에서 동등하게 초연하여 마음과 몸의 관계를 상호 의존으로 설명한다. 이것이 바로 사상에서의 양극단을 피하는 중도(中道, majjhimā-paṭipadā)이다.

    영어초록

    The present article investigates Early Buddhism’s mind-body relationship focused on nāma-rūpa. Early Buddhist texts (EBTs) make use of mind-body distinction, and consciousness (viññāṇa) sometimes refers to as evolving consciousness (saṁvattanika-viññāṇa) or stream of consciousness (viññāṇa-sotaṃ) that sustains personal continuity during life and through subsequent rebirths. This has led some thinkers to search for insight into the way Early Buddhism supports mind-body dualism. How Early Buddhism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mind-body relationship can be seen from interrelationship between nāma and rūpa in the formula of dependent origination (paṭiccasamuppāda). The Buddha was often asked a set of questions known as the ‘undermined (avyākata) questions’ which included “is the life-principle the same as the mortal body?”’ and “is the life-principle different from the mortal body?” The questions amount to asking whether there is an eternal Self which survives the death of the body (Eternalism) or whether a supposedly substantial Self is nevertheless destroyed at death, this being the total end of a being (Annihilationism). He set aside the questions as time-wasting and mis-constructed. This suggests that Early Buddhism avoids the dualistic theory, which says that mind and matter are strictly separate entities. Early Buddhism also avoids the monistic theory, which says that mind and matter are finally reducible to one, either to mind (idealism) or to matter (materialism). Keeping itself equally aloof from both theories, Early Buddhism explains the mind-body relationship as one of reciprocal dependence. This is the middle way (majjhimā-paṭipadā) avoiding two extremes in theory.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9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