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실거래 시세조종 규정의 해석론상 쟁점과 입법론적 보완점 (A Research on a Stock Manipulation through Actual Trading: Interpretational Approach & Complementary Measures to the Act)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0.03
39P 미리보기
현실거래 시세조종 규정의 해석론상 쟁점과 입법론적 보완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사판례학회
    · 수록지 정보 : 상사판례연구 / 33권 / 1호 / 167 ~ 205페이지
    · 저자명 : 이정수

    초록

    현실거래시세조종은 객관적 구성요건인 시세변동매매와 주관적 구성요건인 매매유인목적의 두가지 구성요건으로 이루어지는데 법원은 시세변동매매에 대해서는 시세가 변동할 필요가 없고, 변동가능성만 있어도 인정될 수 있다고 하고, 매매유인목적에 대해서는 목적이 아닌 미필적 고의만 있어도 되고, 부차적이어도 된다고 하면서 이에 대해 자백을 하지 않더라도 간접사실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죄의 성립을 인정할 수 있다고 하고 있다. 이러한 판례의 태도는 매매유인목적의 입증부담을 통해 지나친 형사처벌화를 경계한 입법자의 의도를 몰각시키고, 시장거래자에게 언제든 현실거래시세조종으로 처단될 수 있는 위험을 부담시켜 시장을 위축시킬 수 있다.
    법원도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정상적인 수요・공급에 따라 자유경쟁시장에서 형성될 시세 및 거래량을 시장요인에 의하지 아니한 다른 요인으로 인위적으로 변동시킬 가능성이 있는 거래”라는 개념을 동원하여 소위 비정상거래만 문제삼겠다고 선언하고 있고, 비정상거래를 판단하는 거래수법으로 고가매수, 물량소진거래, 시종가거래 등을 열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가매수 등은 정작 정상거래와 구분이 어려운 점이 있어 시장거래자들에게 사전적인 행위기준이 되기 힘들기 때문에 허수성 주문이 비정상거래의 판단기준으로 중요하다. 이에 대해 판례가 주문양태, 취소율, 취소양태 및 시기를 통해 판례기준을 만들어 나가고 있고, 여기에 거래소의 허수성주문 적출기준이 하나의 참고가 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한편, 우리 자본시장법은 미국증권거래법 제9조를 계수한 일본 증권취인법(현재의 금융상품취인법)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인데 매매성황오인의 경우 객관적 구성요건으로 규정된 것은 입법의 오류로서 주관적 구성요건으로 규정하거나 삭제되어야 함을, 고정・안정거래의 경우 현실거래시세조종과 대등한 독립적인 규정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법규정에 따른 고정・안정거래를 허용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적용될 수 있도록 개정이 이루어져야 함을 검토하였다. 또한 표시등에 의한 시세조종의 경우 현실거래시세조종과는 위상이 다를 뿐만 아니라 사기적 부정거래규정과의 중첩성상 삭제함이 타당함을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There are two elements required to the stock manipulation through actual trading. The first one is an objective one: price change through actual trading and the other one is a subjective one: an intent to induce other trading. Regarding these two elements, the court has decided that it doesn’t need a real price change but a possibility of price change would be sufficient for the objective element, while willful negligence satisfies a subjective element. In addition, the court, in a case where the accused doesn’t confess, the court is able to judge through indirect facts for a guilty verdict. This kind of court decisions would neglect the purpose of an enactment which stipulates a subject element as a purpose, not a simple intent, and as a result, would wither a development of a capital market itself.
    In a recognition of this problem, the court mentioned a concept of “a trading which changes the price intentionally not through normal supply and demand in a free competitive market” and declared that only abnormal trading would be problematic for a stock manipulation. The court also mentioned bidding up trading, exhaustion of quantity order etc. as a signal of abnormal trading. However, such as a bidding up trading could be found in a normal process of trading where a market participant wants to buy or sell eagerly, so this signal cannot be a justifiable criteria to discern between normal and abnormal trading. In this regard, a fictitious order/trading would be important factor to judge an intent to induce because a fictitious order/trading has no intent to make a trading. For those reasons, the court has made some standard to decide which one is fictitious order/trading through a manner of order, a cancellation rate, a manner of cancellation etc.
    A regulation of stock manipulation through actual trading in the Korean Capital Market Law was enacted in an effect of Japanese Securities act which had inherited US Securities Exchange Act of 1934. However, in a succession of this enactment, there are some errors and mistakes. For example, an element of misconception of market prosperity as an objective element should be stipulated as a subjective one with an intent to induce or deleted at all. Likewise, a manipulation through expression should be eliminated in a consistency with a general clause of market fraud which has a similar regul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