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바슐라르와 푸코의 인식론 비교 -과학적 인식론과 고고학을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Epistemology of Bachelard and Foucault -Focusing on the Scientific Epistemology and the Archeology-)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0.11
36P 미리보기
바슐라르와 푸코의 인식론 비교 -과학적 인식론과 고고학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41호 / 279 ~ 314페이지
    · 저자명 : 김윤재

    초록

    본 연구는 푸코의 고고학과 바슐라르의 과학적 인식론을 대비를 목적으로 한다. 바슐라르와 푸코를 이론적으로 연결시키고자 하는 시도는 전혀 근거 없는 것도, 낯선 것도 아니다. 양자의 연관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논문들에서 언급된 바 있으며, 이런 점에서 그들을 이론적으로 연결해 검토하는 것은 터무니없는 작업이 아니다. 양자의 관계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현대 프랑스 인식론이라는 고유한 지반에서 개진될 것이다.
    우리는 양자를 세 가지 측면에서 대비하고자 한다. 우선 과학과 지식과의 상이함을 검토했다. 바슐라르는 인식을 과학과 비-과학이라는 이분법적 모델로 파악한다. 바슐라르에게 비과학이란 과학으로 정화되어야 할 주관적인 대상이다. 그에 반해 푸코는 과학으로 규정되기 이전의 지식에 주안점을 둔다. 이들은 과학과 지식이라는 서로 다른 항에 서 있으면서도 분할이라는 점에서는 같은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바슐라르는 단절이라는 용어를 통해, 푸코는 문턱이라는 용어를 통해서 말이다.
    다음으로 각 영역들에서 고유하게 드러내는 특징으로서 응용 합리주의-기술적 물질주의와 실증성을 맞세웠다. 고전적 합리주의를 넘어서 늘 적용되는 합리주의와 기술적 고안을 통해 물질적 현상을 창안하는 기술적 물질주의 사이의 교환은 새로운 과학 정신의 시대에 두드러진 특징이었다. 푸코는 합리성들의 구성 조건들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전-합리적이라 할 수 있는 실증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실증성은 모든 경험들이 언어화되기 위해 거쳐야만 하는 장이라는 측면에서 기존의 경험 개념을 넘어선다. 우리는 양자가 각자의 방식으로 합리주의와 경험주의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동일한 모델을 추론할 수 있음을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체계의 측면에서 영역적 합리주의-총체적 합리주의와 분산의 체계를 대비했다. 과학의 진보와 함께 분기되는 영역적 합리주의들은 선험적 체계가 아니다. 그들은 그때마다 구성되는 총체적 합리주의를 통해 설명된다. 고고학이 기술하는 담론의 체계는 분산된 영역들이 고유한 연대기만을 보인다. 따라서 이들은 실증적인 접근을 통해서만 설명 가능할 뿐이다. 과학에 있어서든 고고학에 있어서든 하나의 체계를 설명하거나 기술하는 방식은 제한적이다. 그리고 그 결과들은 영구히 효력을 갖는 것이 아니라, 잠정적인 결론이며, 새로운 충격의 가능성에 열려 있다.
    이와 같이 바슐라르와 푸코의 사유의 영역에서 드러나는 차이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들을 대비할 수 있을 만한 실마리를 드러내고자 했다. 과학과 고고학의 표면적인 차이에도 불구하고 우리들은 분할의 방식, 그 체계의 특징, 그리고 체계의 구조에서 분명 하나의 동일한 모델을 목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we are going to compare Foucault’s archeology to Bachelard’s scientific epistemology. This trial, ie. a trial to connect in its theory, is not a new or strange thing. Such kind of studies of the relation between Foucault’s theory and Bachelard’s, has been made in the past. This study will be based on the peculiar foundation, named the contemporary french epistemology. But we should be careful not to confuse the territory of each study, as there has been a obvious difference.
    We compare two studies, focusing on three aspects. The first one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cience and the “la savoir”. To Bachelard, “la connaissance” is constructed a model of dichotomy. This model divides into the science and non-science. On the contrary, Foucault emphasizes “la savoir” that comes before the science. Though both theories are not based on same position, but they have shown the same model that called the division. The former named “the rupture”, the latter named “the threshold”.
    Second, Secondly we have compared the applicable rationalism-the technical materialism and the positivity against to each other. The unique character in the age of new scientific mind is the exchange of the applicable rationalism, that is over the classic rationalism, for the technical materialism, that creates the material phenomenon by technical devices. Foucault presents the positivity that is pre-rational, because it shows compositive conditions of rationalities. The positivity is the field that every experience has to go through to be the linguistic form. In this sense, the positivity exceeds the existing concept of the experience. We point out both theories can be expressed by same model, because they bring up a new position about the rationalism and the empiricism.
    At last, on the aspect of system, we have compared the regional rationalism-the integral rationalism and the system of dispersion. All diverged rationalism with the progress of contemporary science are not a priori system. It can be explained by the integral rationalism that is constructed at that time. The system of discours, what the archeology describing, shows only proper periods of dispersive regions. So that it can only be explained by positive approach. Either the science or the archeology, they have limited approach to explain or describe a system. And the result is not permanent, but temporary. A system is open to the new impact.
    Thus, we want to show the first step to contrast between Bachelard’s theory and Foucault’s theory. Despite the superficial difference, we can observe the same model on the mode of division, the character of system, the structure of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