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임스 콜만의 교육사회학: 학교효과론과 합리적 선택론 (James S. Coleman’s Sociology of Education: School Effects Research and Rational Choice Theory)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0.05
42P 미리보기
제임스 콜만의 교육사회학: 학교효과론과 합리적 선택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이론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와 이론 / 36호 / 7 ~ 48페이지
    · 저자명 : 안종석

    초록

    본 논문은 제임스 콜만(James S. Coleman)의 교육사회학에 대한 연구로서, 교육정책 및 사회이론 양차원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도모한다. Ⅰ장은 본 논문의 기획의도를 소개하며, Ⅱ장은 콜만 교육사회학의 주요문헌을 정리한다. Ⅲ장은 콜만 교육사회학의 교육정책적 의의를 논한다. 교육사회학에서 학교효과론(school effects research)이라는 접근을 태동시킨 배경, 학교교육의 상향평준화라는 지향, 커리큘럼⋅규율⋅공동체 등 면학풍토에 대한 관심을 설명한다. 또한 학교효과론이 미국교육의 패러다임에 대한 체계적인 반론으로서 갖는 비판적 성격을 조명한다. Ⅳ장은 콜만 교육사회학의 사회이론적 요소를 논한다. 콜만의 합리적 선택론(rational choice theory)이 학교효과론과 갖는 접점을 학교교육의 개혁이라는 실천적 관심에서 찾은 후, 합리적 선택론의 기본모형을 응용해 인센티브 문제을 모형화한다. 그리고는 강제버스통학, 공동체(‘사회자본’) 등의 문제를 해당 틀에 기초하여 살펴본다. Ⅴ장은 ‘콜만적’ 교육사회학의 현재성을 확인하면서 몇 가지 연구과제를 제안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s a review article on James S. Coleman's sociology of education, seeks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n the two dimensions of education policy and social theory. Chapter I introduces the whole plan of the paper, and Chapter II outlines the major literature of Coleman's sociology of education. Chapter III discusses the educational-policy-related implications of Coleman's sociology of education. It explains the socio-institutional backgrounds behind the approach of school effects research (SER), policy orientations toward the goal of upward equalization of academic achievement, and analytic interests in school climate factors like curriculum, discipline, and community. It also sheds light on the critical nature of school effects research as a systematic counter-argument against the paradigm of American education. Chapter IV discusses the social-theory-related elements of Coleman's sociology of education. After finding the interface of Coleman’s rational choice theory (RCT) with school effects research from the practical interest in reforming schooling, the incentive problem is modeled by applying the basic model of rational choice theory. It then looks at issues such as ‘busing’ and community (‘social capital’) on the basis of the incentive-problem framework. Chapter V proposes several research tasks while confirming the present significance of the ‘Colemanesque’ approach in sociology of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