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組織故意論’의 범죄체계론적 전개 (A Study on ‘System Intention’ in view of Criminal Syste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7.06
44P 미리보기
‘組織故意論’의 범죄체계론적 전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경희법학 / 52권 / 2호 / 285 ~ 328페이지
    · 저자명 : 이상천

    초록

    법인은 분명 자연인의 단순한 집적을 넘는 초월적 존재이고 그 실재적 존재양식이 법적으로 투영되어 법인 나름의 독자적 사법적・공법적 지위가 있게 된 것이라 할 것이다. 법인을 자연인과 구별하고 그 법적 지위도 구별하여야 하는 이상 법인에 대한 형사적 제재를 자연인에 대한 제재와 따로이 인식하지 않고 그 구성원인 자연인에 대한 것으로 만족하고 만다면 이것은 법인의 독자적 법적 지위에 상응하는 형사적 제재를 부과하지 않는 처벌의 흠결에 해댱되어 자기책임의 원칙에 어긋나는 것이며 형사법적으로는 자연인의 희생 하에 법인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할 것이다.
    법인처벌론상 과실범이나 의무위반형의 범죄와 관련하여서는 법인 그 자체의 범죄성립은 굳이 조직모델을 전제로 하지 않고서도 성립됨은 일본에서의 연구결과로 밝혀졌다 할 것이다. 그러나 법인이 고의범 그 중에서도 작위고의범을 범하기에 필요한 주관적 요건인 고의를 가질 수 있는지는 아직도 논의 중에 있다. 사실 법인은 고의를 가질 수 없다는 것이 선험적으로 증명된 것은 아니므로 법인이 작위고의범을 범할 수 있는지 여부는 법인 고의의 인식문제인 것이고 따라서 법인의 작위고의범의 성부는 앞으로 논구되어야 할 법리구성의 문제로 남아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법인처벌론으로 자연인을 매개로 하지 않고 법인 조직 그 자체를 그대로 인식하고자 하는 이론 중의 하나가 조직모델론이고 그 조직모델론을 전제로 하여 조직 그 자체에 범죄의 주관적 요건인 고의를 인정하자는 것이 조직고의론이다. 이러한 시도는 일본에서 주장되어 아직은 논의 중에 있는 것이지만 현대에서의 법인의 중요한 독자적 기능에서 볼 때 충분히 주의를 기울여 볼 만한 이론인 것 같다.
    법인의 고의를 파악하고자 하는 법인고의론은 범죄체계론과 직결된다. 일응 규범적 책임론에 의하면 법인의 조직적 활동에 대해 타행위가능성 내지 비난가능성이 책임요소로 되어 법인의 책임론을 완성할 수 있고, 또 행위론에 요구되는 주관적 요소도 객관화하여 이해하면 법인이 조직에 의해 움직이는 일련의 활동에서 법인의 고의를 추출해 낼 수 있다 할 것이다. 예컨대 법인이 해야 할 Compliance-program을 제대로 수행하지 않았을 경우 과실범에서의 주의의무 위반 등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임은 물론 더 나아가 그 법인의 태도가 방만 내지 방치를 넘어 더욱 악의적으로 평가될 수 있을 경우에는 충분히 고의라는 주관적 요건까지 갖춘 것으로 볼 여지가 있다 할 것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경제활동은 법인 차원에서 행해지고 그 기능도 엄청난 것이므로 그에 상응하는 법인처벌론이 되어야 할 것인데, 조직고의론이 종래 전통적 법인처벌론이 법인처벌을 포기해 왔던 법인의 작위고의범 분야에도 그 처벌가능성을 열어 그 처벌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함은 자기책임원칙의 일반화라는 측면에서 그 의미가 크다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corporate is not the simple accumulation of individuals. It has its own mental situation. It has its own significance apart from individuals in view of its legal status in private law and public law. But it works only through human behaviors.
    If it has no criminal sanction to its own social working, it is not consistent with principle of self-liability in criminal law. In present legislative situation, the corporate could be punished only by the Joint Penal Provision. This legislative situation could lead to distort our legal equity in criminal law.
    Thus it is needed for us to compose new ‘theory of corporate punishment’ according to the significance of the presence of corporate itself.
    In comparison with the crime of ‘criminal negligence or anti-duty violation’, the corporate could be punished without theory of system model or that of system intention according to Japanese study. But it is under discussion whether the corporate could have the ‘intention’ which is subjective element of intentional crime.
    As a theory of corporate punishment, the theory of system model says that we should see the corporate as it is. it is true that it is standing out as a juristic person. under the premise of the theory of system, the theory of system intention insists that the corporate has subjective element which is needed for composition of crime.
    According to the normative responsibility theory which exclude intention as subjective element, the probability of accusation or the probability of alternation leaves as the essence of criminal liability. By that the liability of the corporate could be composed reasonably. And by seeing the subjective element needed to theory of criminal behavior objectively. we could see collective knowledge of individuals as the intention of the corporate itself. And the compliance-program is not carried by the corporate, it could be seen as intention in corporate crime.
    The theory of system intention should be studied furthermore. But it is significant on the following reason. It gives a new horizon for the study of theory of corporate punish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희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