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물불천론」(物不遷論) 연구(2) - 상견론(常見論)인가 성공론(性空論)인가 - (A Study on the Wu Bu Qian Lun (Ⅱ) - Is it the theory of Eternalism or the theory of Emptiness-in-nature? -)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1.05
35P 미리보기
「물불천론」(物不遷論) 연구(2) - 상견론(常見論)인가 성공론(性空論)인가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98호 / 37 ~ 71페이지
    · 저자명 : 조병활

    초록

    승조가 쓴 「물불천론」(物不遷論)은 짧은 글임에도 적지 않은 학승·학자들이 주석(注釋)을 달고 자신들의 견해를 밝혔다. 「물불천론」에 대한 학설은 대략 네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는 대승 공종의 사상을 표명한 글로 보는 견해다. 당나라 원강(元康) 등이 대표적이다. 두 번째는 현학(玄學)으로 보는 입장이다. 현대 중국을 대표하는 학자들인 탕용통(湯用彤)과 펑유란(馮友蘭) 등이 주장했다. 세 번째는 궤변론(詭辯論)이라는 해석이다. 중국학자 런지위(任繼愈)와 팡리티엔(方立天) 등이 이런 견해를 밝혔다. 네 번째는 단멸론(斷滅論) 혹은 상견론(常見論)으로 파악하는 관점이다. 명나라 말기의 사문 진징(鎭澄)이 『물불천정량론』(物不遷正量論)에서 제기했다. 본고는 이러한 견해나 주장을 검토하고 「물불천론」이 과연 어떤 성격의 글인지를 조명했다. 「물불천론」의 단락을 구분하고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을 확인했다. 승조는 비량(比量)의 방식으로 옛 사물과 지금 사물이 움직이지 않는다는 점을 논증했다. 상견[常想]과 무상[往]으로 움직이지 않음을 예증했다. 옛날[古]과 지금[今]으로 움직이지 않음을 증명했다. 원인[因]과 결과[果]로 움직이지 않음을 설명했다. 따라서 「물불천론」은 궁극적으로 ‘사물의 본성은 움직이지 않는 것’임을 주장한 성공론(性空論)이라고 파악했다. 「물불천론」은 현학도, 궤변론도, 단멸론도, 상견론도, 실재론도 아니라는 것이다.

    영어초록

    Although it is a short work, many scholars have commented on the Wu Bu Qian Lun (物不遷論), which was written by Seng Zhao (僧肇). There are roughly four theories concerning the Wu Bu Qian Lun. The first considers the work to be an expression of the ideas of the Madhyamaka school, which is representative of the Tang Dynasty and the Yuan Kang (元康), among others. The second is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ofound teachings (玄學). Tang Yong Tong (湯用彤) and Feng You Lan (馮友蘭), who were leading scholars in modern China, held such a position. The third theory regards the interpretation of sophistry (詭辯論). Chinese scholars Ren Ji Yu (任繼愈) and Pang Li Tien (方立天) expressed this view. Finally, the fourth theory seeks to identify and understand the theories of annihilationism (斷滅論) and eternalism (常見論). The monk Zhen Cheng (鎭澄) of the late Ming Dynasty covered this in the Wu Bu Qian Zheng Liang Lun (物不遷正量論). This paper reviews these opinions and arguments to shed light on the details of Wu Bu Qian Lun and determine its actual content.
    The following was confirmed as a result of analyzing and classifying the Wu Bu Qian Lun. Seng Zhao argued by means of inferential reason (比量) that the ancient (昔物) and the current (今物) do not move. The inability to move according to the concept of permanence (常想) and everlasting change (往) was exemplified. It was proven that there is no moving in the past (古) nor the present (今). It was also explained that there is no moving by means of cause (因) and effect (果). Therefore, the Wu Bu Qian Lun is ultimately a theory of emptiness-in-nature (性空論) that insists that the nature of things do not move. The Wu Bu Qian Lun is not a teaching of the profound, nor of sophistry. It is not a theory of annihilation, nor of eternalism, nor is it a theory of substantial being (實在論).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