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田愚의 西學認識과 斥邪論 -「自西徂東辨」과 「梁集諸說辨」을 중심으로- (The thesis on Jun woo(田愚)’s recognition of western learning(西學) and expulsion theory(斥邪論))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7.03
32P 미리보기
田愚의 西學認識과 斥邪論 -「自西徂東辨」과 「梁集諸說辨」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80호 / 257 ~ 288페이지
    · 저자명 : 이종록

    초록

    본 논문은 조선 후기 유교지식인 艮齋 田愚(1841~1922)의 서학인식과 척사론을 검토 대상으로 삼고 있다. 명덕주기론자의 대표적 인물인 전우는 기호 낙론의 학통을 이은 인물이다. 전우는 이이가 제창한 性卽理, 心是氣의 명제를 性師心弟로 충실히 계승하여 명덕주기론을 견지하였다. 척사론에 대한 종래의 연구는 척사론의 실천 주체를 明德主理論者로 한정하였고, 이들의 위정척사운동이 이후 민족주의의 기원이 되었다는 것을 다루고 있다. 그러나 척사론은 주자학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 해석을 달리할 수 있다. 척사론의 본원적 의미로 이해한다면 명덕주기론자의 척사론 또한 독립적인 척사론으로 규정할 수 있게 되어 기존의 한정된 범주는 수정될 필요가 있다.
    전우가 위정척사운동을 시작한 것은 서교수용론과 유교개량론이 대두되면서 부터였다. 1896년 창간된 『독립신문』을 중심으로 문명개화론자들은 개신교를 믿는 나라는 부강해진다고 하여 西敎受容論을 주장하였다. 전우는 西敎受容을 적극 권고하는 漢譯西學書인 『自西徂東』을 논변하여 西敎受容論에 이론적으로 대응하였다. 『自西徂東』은 개신교 선교사 에른스트 파버(Ernst Faber)의 저서로 西敎, 西法, 西禮, 西俗 등 광범위한 서양의 문명을 소개하고, 西敎와 儒敎가 본질적으로 비슷하다고 주장하였다. 전우는 파버의 오류와 조선과 서양의 문화가 매우 이질적임을 논변하는 「自西徂東辨」을 서술하고 배포하였다. 한편 『황성신문』을 중심으로 서양 부강의 원인이 종교개혁에 있다고 하여 儒敎改良論을 주장하였다. 개신유림들은 양계초의 여러 논설 중에서 孔敎論을 조선에 소개하며 유교개량론을 확산시켜 나갔다. 전우는 新學이란 청나라 사람이 西法을 바꾸어 말해 놓은 것에 지나지 않다고 보았으며 「梁集諸說辨」을 통해 양계초의 공교론은 그저 여러 이단과 다를 바 없음을 고증하였다.
    이처럼 명덕주기론에 기반한 전우는 창의파의 위정척사운동에 참여하지 않고, 교학파의 독자적인 위정척사운동을 전개하였다. 전우는 교학파의 척사론인 「自西徂東辨」과 「梁集諸說辨」을 저술하였고, 國亡 이후에도 도를 보전하고자 일제와 타협하지 않고 계화도에 들어가 강학의 형태로 위정척사운동을 실천하였다. 명덕주기론자인 전우는 서학에 대한 구체적 인식을 통해 척사론을 저술하였고, 국망 이후 죽을 때까지 위정척사운동을 실천하였다.

    영어초록

    The earlier studies confined main agents of practicing expulsion theory(斥邪論) to Myungduckjurironja(明德主理) and therefore, covered that their Wijungchucksa Movement(衛正斥邪運動) later developed into nationalism. However, the whole concept of expulsion theory(斥邪論)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how we understand Neo-Confucianism(朱子學) so this limited scope needs to be modified. The reason why only Myunduckjurironja(明德主理論者)’s expulsion theory(斥邪論) received attention but Myunduckjugironja(明德主氣論者)’s didn’t in the existing studies was because the focus of the studies was not on he expulsion theory(斥邪論) itself but on Wijungchucksa Movement(衛正斥邪運動) triggered by the expulsion theory(斥邪論) of Myunduckjurironja(明德主理論者). In the late 19th century when Wijungchucksa Movement(衛正斥邪運動) was so active, he didn’t join the movement of Myunduckjurironjas(明德主理論者).
    This thesis examines 「Jaseojodongbyun(自西徂東辨)」 and 「Yangjipjesulbyun (梁集諸說辨)」 written as part of educational expulsion theory(敎育的 斥邪論). This educational expulsion theory(敎育的 斥邪論) was different from Myunduckjurironjas(明德主理論者)’ Wijungchucksa Movement(衛正斥邪運動) in that it changed Sino-centric worldview(華夷觀) for both sinocentrism and barbarism(夷狄) to discard greed and to follow human nature. Even after the fall of Chosun, this enabled Jun Woo to teach on an island to preserve Tao, never compromising with the Japanese Empire. His educational expulsion theory(敎育的 斥邪論) as social practice continued after the collapse of Chosu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