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芝峯 李睟光의 經學論에 대한 연구(Ⅰ) - 『詩經』을 중심으로 - (A Study on Jibong Lee Soo - kwang's Study of Confucianism(經學論) (Ⅰ) - Based on 『the Book of Odes(詩經)』)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6.12
46P 미리보기
芝峯 李睟光의 經學論에 대한 연구(Ⅰ) - 『詩經』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방한문학 / 69호 / 261 ~ 306페이지
    · 저자명 : 강민구

    초록

    『지봉유설』 권5의 <경서부1>_「詩」는 총 50則이며, 대체로 『시경』의 목차를 따르고 있지만, 다소 자유롭게 편차되어 있다. 『지봉유설』 <경서부>가 포괄하는 경서의 범주와 경서의 나열 방식이 일반적이지 않은 것도, 이수광이 비교적 자유로운 경학관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수광은 당대의 주류적 이론이 되었던 주자의 『시경』 해석이 갖는 문제점과 오류를 비판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그 내용은 자구․어휘․구절․시편 전체의 해석을 망라하며, 주자 시경학의 요체 중 하나인 淫詩說에 대해서도 의구심을 표명하였다.
    그는 주자가 『시경』 안에서 동일한 글자나 어휘에 대하여 상이한 주석을 하거나, 다른 경서에 인용된 詩의 주석이 『시경』의 주석과 상이한 것을 찾아 비판하였다. 또 전후 맥락과 맞지 않는 해석에 대해서도 비판하였다. 그는 주자의 해석을 비판하는데 그치지 않고 그 대안을 제시하였는데, 다양한 복수의 문헌을 근거로 제시함으로써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그가 활용한 문헌은 경서․운서․유서․총서․역사서․제자서․본초학서 등이다. 이와 같은 객관적 태도는 그가 楊愼의 경학 이론에서 많은 계발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문제점도 비판의 대상으로 삼았다는 것에서 선명히 드러난다. 또 이수광은 자신의 견해라는 사실을 그대로 표명하거나 ‘或者’의 말에 가탁하는 등의 형식으로 자신의 독자적인 『시경』 해석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이수광은 유서의 일부로 <경서부>를 집필하였지만, 기존의 경학 이론을 기록 전달하는 것이 집필의 목적은 아니었다. 그는 당시의 잘못된 주류적 경학 이론을 바로잡고 조선의 경학이 지향해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려는 욕구를 갖고 있었다.

    영어초록

    The 「Poem(詩)」 of <Gyeongseoboo 1>, the No.5 of 『Jibong Yuseol(Topical Discourses of Jibong)』, is comprised of 50 principles. It is mostly subject to the index of 『Shijing(the Book of Odes, 詩經)』, but compiled somewhat in a free way. The reason why the range of Confucian classics included in <Gyeongseoboo> of 『Jibong Yuseol』 and the way they are listed are uncommon is also because Lee Soo-kwang had the comparatively unconventional view of Confucian classics.
    Lee Soo-kwang pointed out the problems and errors existing in the interpretation of Zhu Xi's 『Shijing(the Book of Odes)』, which was the mainstream theory of the time and instead, suggested an alternative. It completely covered the entire interpretation, including the expressions, vocabulary, phrase, and poems, and also highlighted his doubt about Yinshi (Licentious poetry, 淫詩說), which was one of the main points of Zhu Xi's Hermeneutics of Shihjing(詩經學).
    Lee Soo-kwang criticized that Zhu Xi annotated the same words or vocabulary within Shihjing differently and also that the annotation of the poem cited in different Confucian classics was different from that of Shijing. He also criticized interpretation which doesn't correspond to the context. And beyond just the criticism levelled at Zhu Xi's interpretation, he suggested an alternative with various literatures, including Confucian classics, Yunshu(Chinese rhyme dictionaries), Leishu(Encyclopedias), Congshu(Collectanea), historical book, books of philosophers, and herbalism book, to underpin it in order to maintain objectivity as well. His efforts for an objective attitude was clearly shown in his strict criticism even against Yang Shen(楊愼)'s errors although he was highly inspired by Yang Shen's theory on the Confucian classics. Besides, Lee Soo-kwang also suggested his own interpretation about Shijing in the direct way to express his own opinion or with the pretext of someone's saying.
    Although he wrote <Gyeongseoboo> as a part of Leishu, it was not for the purpose of the delivery of the existing theory of the Confucian classics. Rather, he aimed to correct the wrong mainstream theory on Confucian classics of the time and suggest the new direction to head for the Confucian classics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한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