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朱子語類』 <독서법>에 나타난 新意論 (The Shin-ui Theory(新意論) in Reading Method of Juja-eolyu (朱子語類) and Its Significance in a Reading Theory History)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0.09
36P 미리보기
『朱子語類』 &lt;독서법&gt;에 나타난 新意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연구 / 59호 / 1 ~ 36페이지
    · 저자명 : 김기호

    초록

    본고는 주자가 『주자어류』 <독서법>에서 밝힌 新意 탐색 방법, 新意의 수용과 실천의 내용을 분석하고, 분석의 내용을 토대로 주자의 新意論이 한국 고전 독서론사 전개에 기여한 역할을 논의하였다. 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주자는 도리를 탐색하는 과정을 설명하면서 세 가지 新意 탐색 방법을 제시하였다. ‘熟讀을 통한 신의 탐색 방법’, ‘討論을 통한 신의 탐색 방법’, 그리고 ‘講解를 통한 신의 탐색 방법’이 그것이다. 이 세 가지 방법 중 ‘熟讀을 통한 신의 탐색 방법’만 그 자체 독자적 완결성을 띠고 나머지는 독자성이 없다. 도리의 확인을 위한 신의 탐색 활동은 어떠한 경우에도 ‘熟讀을 통한 신의 탐색 활동’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熟讀을 통한 신의 탐색’ 활동을 전제한 신의 탐색 활동은 어떠한 경우의 수라도 가능하다. 둘째 주자는 신의 탐색 활동 그 자체는 도리의 발견 과정이면서도 살아 움직이지 않는 도리[不活 道理]를 살아 움직이는 도리[會活 道理]로 만드는 활동도 된다고 보았다. 그렇기 때문에 신의 탐색 활동은 독자가 도리를 내면화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 된다. 셋째 독서를 통해 신의를 왜 탐색하느냐는 물음에 대해 ‘신의 탐색 활동은 도리의 수용과 실천을 위해서이다’라고 할 수 있다. 신의가 없는 수용과 실천 그 자체는 성립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볼 때 신의 탐색을 통한 도리의 발견이 없으면, 도리의 내면화도 불가능하며, 도리의 실천도 이루어질 수 없다. 또한 도리의 발견이라는 것도 신의 탐색의 활동이 없으면 달성될 수 없는 것이다. 이것은 신의 탐색 활동이 주자의 독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인식론적 토대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한국 고전 독서론에서 차지하는 주자 신의론의 의의는 두 가지로 대별된다. 하나는 계승의 면에서 주자의 신의론이 도리의 발견을 위한 인식론적 방법과 절차를 한국 고전 독서론에 제공했다는 점이다. 이 점은 퇴계와 형암의 독서론에서 확인되었다. 다른 하나는 창조적 변용의 면에서 주자의 신의론이 새로운 신의론의 꽃을 피우 데 토대 역할을 했다는 점이다. 이 점은 다산의 독서론에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한국 고전 독서론 전개에서 주자의 신의론은 긍정적 영향의 면에서 그 의의가 인정된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inquiring method for Shin-ui, and to the contents of acceptance and practice of Shin-ui clarified by Juja in Reading method of Juja-eolyu(朱子語類). And also, this thesis is to discuss the effect of the Shin-ui theory of Juja on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reading theory, based on the contents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Juja suggested three inquiring methods for Shin-ui in explaining the course of pursuit for Dori(道理), which are the inquiring method for Shin-ui through a careful perusal, through discussion, and through a lecturing explanation. Among the three methods, the first method itself shows an independent completeness, but the others do not. In this respect, it is possible to say that in the inquiring activity for Shin-ui for the identification of Dori, the inquiring activity for Shin-ui through a careful perusal should be followed first under any circumstances. And the inquiring activity for Shin-ui under the premise of the inquiring activity of Shin-ui through a careful perusal is possible in any cases.
    Secondly, Juja mentioned that, though the inquiring activity for Shin-ui is mainly for finding Dori, the activity is also a premise for the acceptance of Dori. He sorted the Dori found through the inquiring activity into two things: Hwaehwal Dori(會活 道理) which moves lively and Bulhwal Dori(不活 道理) which does not move lively. He also suggested that the Bulhwal Dori(不活 道理) found should be Hwaehwal Dori(會活 道理) in order that the Dori found may be accepted into the heart of reader. As he said that the inquiring activity for Shin-ui was in itself not only the course of finding Dori, but also an activity of making the Bulhwal Dori(不活 道理) as the Hwaehwal Dori(會活 道理),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 inquiring activity for Shin-ui becomes a premise for the acceptance of Dori.
    Thirdly, Juja mentioned that the inquiring activity for Shin-ui had a significance for the acceptance and practice of Dori, as the Dori was found by the inquiring activity for Shin-ui. Without the finding of Dori through the inquiring activity for Shin-ui, the internalization of Dori is not possible, and also the practice of Dori can not be performed. Additionally, the finding of Dori can not be accomplished without the inquiring activity for Shin-ui. It means that the inquiring activity for Shin-ui can be a cognitive foundation to accomplish the Juja's goal of reading.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Shin-ui theory in Korean classical reading theory is classified into two things. One is that Juja's Shin-ui theory provided a cognitive method and procedure for the finding of Dori for Korean classical reading theory, which can be identified in the reading theory of Toegye and Hyungam. The other is that the Shin-ui theory played a role of foundation for the blossom of new shin-ui theory, which can be identified in the reading theory of Das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