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朝鮮性理學에서 理氣一元論의 특성과 전개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the the monism of Li Qi(理氣一元論)’ in Joseon Dynasty’s Neo-Confucianism)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3.12
40P 미리보기
朝鮮性理學에서 理氣一元論의 특성과 전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율곡학회
    · 수록지 정보 : 율곡학연구 / 54권 / 143 ~ 182페이지
    · 저자명 : 손흥철, 박용석

    초록

    필자는 이 연구에서 조선성리학을 연구함에 주리(主理)·주기(主氣)라는 단순한 이분법적 시각을 지양하고, 리기일원론(理氣一元論)이 성리학의 본체론(本體論)·격물론(格物論. 認識論)·심성론(心性論) 등에서 중심이론이 되어야 하는 까닭을 설명하고자 한다.
    제2장에서 나흠순(羅欽順. 1465~1547)과 이항(李恒, 1499~1576)의 리기일원론의 주요 내용과 장단점을 살펴보았다. 여기서 이항의 리기일물설은 기(氣)를 통하여 리(理)를 인식한다는 점에서는 나흠순과 비슷하지만, 구체적 사물에서 리와 기는 혼연히 합하여 하나로 된다고는 보지 않고, 분명하게 리는 리의 원리로, 기는 기의 원리로 존재한다고 본 점에서는 나흠순과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3장에서는 율곡(栗谷) 이이(李珥, 1536~1584)의 리기론의 핵심적 내용을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이이와 다른 이론과의 비교 분석적인 관점을 배제하였다. 특히 이이의 리일분수론, 리통기국론, 그리고 리기지묘와 같은 이론은 성리학사의 전반적 과정에서 한 획을 그을 만큼 많은 발전적 요소가 있음을 논증하였다.
    제4장에서는 녹문(鹿門) 임성주(任聖周, 1711~1788)의 리기론을 리기일원론의 관점으로 요약 정리하였다. 여기서 임성주의 리기동실(理氣同實)의 리기론과 리·기의 개념을 자세하게 분석하였다. 특히 ‘리와 기는 동시동소(同時同所)로 존재한다’, ‘리일분수와 기일분수의 명제가 동시에 가능하다’라는 이론은 성리학사의 새로운 장을 연 획기적 이론임을 논증하였다.
    따라서 이항(李恒) – 이이(李珥) – 임성주(任聖周)로 이어지는 리기일원론은 변증법적 발전의 귀결점(歸結點)이라고 생각된다.
    이상의 논의를 통하여 필자는 성리학의 리기론을 이제는 새로운 관점으로 재해석해야 할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노력이 그동안 주리·주기라는 치우친 관점으로 진행되어 오는 조선성리학 연구의 방법을 바로잡고 사실적이고 객관적으로 새롭게 연구하는 전환점이 되리라고 생각된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I avoid the simple dichotomous view of ‘Qi(氣, the vital force)-centered theory(主氣論)’ and ‘Li(理, the principle)-centered theory(主理論)’ in studying Joseon Neo-Confucianism, and I would like to explain why ‘the monism of Li Qi(理氣一元論)’ should be a key theory in the Cosmology, the theory of studying phenomena of nature(Epistemology), and the theory of mind and nature of Neo-Confucianism.
    In Chapter 2, I looked at the main contents an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Luo Qin-shun(羅欽順. 1465~1547) and Yi Hang(李恒, 1499~1576)’s ‘the monism of Li Qi’. Here, Lee hang's ‘the monism of Li Qi’ is similar to Luo Qinshun in that it recognizes Li through Qi, but it was confirmed that it is different from Luo Qinshun in that Li exists as Li's principle and Qi as the principle of Qi.
    In chapter 3, outlined the core contents of ‘the LiQi theory’ of Yi I(李珥, 1536-1584). In this process, a comparative analysis perspective with Yi I and other theories was excluded. In particular, theories such as Yi I’s ‘theory of the one principle(Li) and its diversity of manifestations(理一分殊)’, ‘the theory of all penetrating Li and defining Qi(理通氣局論)’, and the ‘Wonder of Regulating Qi(理氣之妙)’ that there are many developmental elements that make a mark in the overall process of Neo-Confucianism.
    In chapter 4, summarizes the overall ‘Li Qi theory’ of Im Seong-ju(任聖周, 1711-1788)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onism of Li Qi’. Here, Im Seong-ju's ‘Li Qi theory’ of ‘Li(Principle) and Qi(vital force) working equally in real(理氣同實)‘ and the concept of Li Qi were analyzed in detail. In particular, the theories ‘Li and Qi exist at the same time and place’, ‘theory of the one principle(Li) and its diversity of manifestations(理一分殊) and the unity of Qi and its diversity of manifestations(氣一分殊)’ is possible at the same time’ argued that they were groundbreaking theories that opened a new chapter in the history of Neo-Confucianism.
    Therefore, ‘the monism of Li Qi’, which leads to Yi Hang - Yi I - Im Seong-ju, is considered to be the consequential point of dialectical development.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I have confirmed the need to reinterpret the Li Qi theory of Neo-Confucianism from a new perspective, and I think this effort will be a turning point in correcting the method of Chosun Neo-Confucianism research, which has been progressing from a biased perspective of ‘Qi-centered theory’ and ‘Li-centered theory’, and will be a turning point for new research realistically and objective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율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