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론(肇論)』의 성속불이(聖俗不二) 사상과 혜공의 대중교화 (Hye-Gong(惠空)’s Popularization of Buddhism and integrating secularrism and religiosity theory(聖俗不二) of “Joron(『肇論』)”)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8.12
31P 미리보기
『조론(肇論)』의 성속불이(聖俗不二) 사상과 혜공의 대중교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사학 / 60호 / 127 ~ 157페이지
    · 저자명 : 이병학

    초록

    『삼국유사』의 『이혜동진』조에서는, 신라 승려 혜공이 승조의 저술, 『조론』을 자신의 것으로 보았다. 그렇다면 혜공은 『조론』을 매우 중시한 것이며, 승조를 삶의 모범으로 여긴 것이 분명하다. 승조는 ‘유’와 ‘무’ 어느 쪽에도 치중하지 않는 포용적 경향의 교학을 지녔다. 그는 ‘양 극단(유・무)’의 논리를 자제하면서 세속인과 친숙하여야 한다는 점(‘화광동진’)을 강조하고 있기도 하다. 즉 혜공이 『조론』을 중시했다면, 이러한 실천적 측면의 교학에 착안하였을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고승전』에 나타난 기록과 같이, 승조는 『유마경』을 중시한다는 사실을 『조론』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유마경』에서는 주인공 ‘유마힐’이 자신의 ‘질병’을 ‘중생의 번민’과 동일시하면서 적극적인 대중교화를 강조하고 있다. 승조 역시 『유마경』을 통해 ‘성속불이’의 태도를 일관되게 중시하였다. 따라서 그는 ‘유’와 ‘무’, 양자를 포용적으로 보면서, ‘진제’와 ‘속제’의 원융을 주장했던 것으로 인식된다.
    서민의 지위로 보이는 승조와 그의 독자적인 입신과정은 신라의 대중교화승들의 생애와 닮아있다. 혜공은 노비 소생이었으며, 사복 역시 기층민 과부의 아들이었다. 이들은 스스로 종교적 성취를 거둔 뒤, 원효를 능가하기도 했으며, 귀족세력을 교화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는 당시의 철저한 신분의식과는 거리가 있다. 어쩌면 자신의 종교적 능력을 통해 사회적 신분을 넘어선 것으로 볼 수 있다. 아마도 혜공을 비롯한 신라의 대중교화승들은 승조의 사회적 처지와 성공을 모범으로 삼아 대중교화에 더욱 매진했을 것이다.
    승조의 통합적 교학논리는 원효가 중시한 『대승기신론』의 구조와 유사하다. 극단적인 이원론을 극복한 승조의 교학은 현상 세계(‘心生滅門’)와 종교적 진리 영역(‘心眞如門’)을 모두 ‘일심(一心)’의 범주로 포섭하려 했던 『대승기신론』의 논리와 가깝기 때문이다. 이는 승조의 사상이 원효에 영향을 주었음을 암시한다. 무엇보다 원효는 『대승기신론』논리를 통해 저술한 『금강삼매경론』에 승조의 ‘성속불이’ 사상을 강조하기도 했다. 요컨대 승조의 교학은 『대승기신론』을 바탕으로 교리를 통합적으로 인식한 원효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며, 원효의 대중교화 논리에도 영향을 주었음이 확실하다고 보인다.

    영어초록

    In “SamgukYusa(三國遺事)”, Hyegong(惠空), the Buddhist monk of the Silla(新羅) Dynasty, thought that “the Joron(肇論)”, written by Seungjo(僧肇), is his own writings. In addition, he considered Seungjo was like himself. Seungjo had a comprehensive logic that he did not bias either '有(Image, Illusion)' or '無(Source, Voidness)'. Hyegong(惠空) emphasized on <Joron>, this practical aspect was considered important.
    Seungjo(僧肇) highly regarded the “Yumagyoung(維摩經)” as significant doctrine in his life. This can be found in the mention ; The main character, Yuma-Hill(維摩詰), regarded that his illness was like suffering people. In the book(commentary, 肇論), Seungjo(僧肇) also considered the sacred(聖) and secular(俗) equally.
    Seungjo(僧肇), as a commoner, his rise to fame was similar to the life of a commoner of Silla(新羅) monk. Hyegong(惠空), Hyesook(惠宿) and Sabok(蛇福), were also a farmer and the son of a widow. Perhaps Monks ,origin of ordinary person, had strong sense of kinship toward Seungjo in social position. After their religious success, they surpassed Wonhyo(元曉, 誓幢) to his astonishment.
    The Buddhist doctrine of Seungjo(僧肇), in his book(肇論), is similar to the structure of “Daeseunggisinron(大乘起信論)”. This can be confirmed by referring to the idea of the "和光同塵(enlightenment for people in human society)." in his literary works(肇論). In short, Seungjo(僧肇)'s ideas influenced on Wonhyo(元曉)’theory exactly, GeumgangSammaegyeongron(金剛三昧經論) for instance, and helped Wonhyo's Buddhist activ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