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치진의 『척사론(斥邪論)』 역주본 해제 (Review of Translation and Annotation Version of Theory of Wickedness Expulsion(斥邪論) by Kim Chijin)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3.02
34P 미리보기
김치진의 『척사론(斥邪論)』 역주본 해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철학논집 / 76호 / 105 ~ 138페이지
    · 저자명 : 최정연

    초록

    김치진(金致振, 1822~1869)의 『척사론(斥邪論)』은 현존하는 조선의 서학비판서 중 유일하게 서교(西敎)를 체계적으로 연구한 단일 저작으로, 전체 분량은 240쪽에 달한다. 그것은 총 30여 항목에 걸쳐 서학의 주요 쟁점을 조목별로 분석하고 비판하는데, 분량과 구성, 주제의 다양성 측면에서 가장 완성도 높은 저작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럼에도 현재까지 『척사론』은 필사본 형태로만 존재하고 있으며 저자와 저술 목적, 편집 구성의 특징을 소개한 연구로는 차기진의 짧은 해제 이후 노대환의 논문이 거의 유일하다.
    서학서의 열람이 금지되고 교인이 산간벽지로 숨어들어 외부인이 서교의 실체를 파악하기 어려워진 상황에서, 김치진은 서학서를 연구하여 그 허점을 드러내야만 교인을 설득하여 정도(正道)로 계도할 수 있다고 믿었다. 이러한 믿음 위에서 그는 천주교 공동체에 잠입한 뒤 정보를 수집하여 『척사론』을 저술하였고, 주변에서 자신에게 쏟아내는 이단의 혐의와 비방에 맞서 그 당위성을 주장하였다. 실제로 그는 서학서의 열람과 교인과의 대화를 통해 그 내용과 실정을 파악하였고, 수집한 정보를 토대로 효과적인 근본책과 보완책을 다각도에서 마련하였다.
    본고는 금년 상반기에 출간될 역주본 『척사론』을 열람할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된 것으로, 본문은 총 네 장으로 구성되었다. 2장에서는 국내에서 확인된 판본의 서지를 소개하고 그들 사이의 구성과 내용상의 동이(同異)를 점검한 다음, 그 완성도를 기준으로 저본과 대조본으로 구별했음을 논의하였다. 3장에서는 『척사론』의 저술 시기와 목적을 분석하고, 4장에서는 기존 연구성과에 기초하여 『척사론』의 구성과 항목의 주요 내용을 설명·보완하였다. 이어서 5장에서는 『척사론』이 조선 후기의 지식계에 미친 영향과 그 의의를 간략히 정리하였다. 마지막 6장에서는 결론을 대신하여 남은 후속 과제를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Kim Chijin(1822-1869)'s Theory of Wickedness Expulsion is the only book that has been written in the book of Catholicism that has systematically studied Catholicism, and its total volume is almost 240 pages. It analyzes and criticizes major Catholic issues in a total of nearly 30 chapters, but it is the most complete work in terms of volume, composition, and diversity of subjects. Despite its completeness in terms of volume, composition, and diversity of subjects, the Theory of Wickedness Expulsion exists only in the form of a transcript. No Daehwan's thesis is one of the few studies that introduces the author, the purpose of writing, and the composition of editing.
    This paper was designed to deepen the reader's understanding of translation and annotation version of Theory of Wickedness Expulsion, which will be published in the first half of next year. This paper consists of four main chapters. Chapter 2 introduces the bibliography of manuscripts identified in Korea, examines the same points and differences in composition and content between them, and discusses the distinction between bottom manuscript comparative manuscripts based on their completeness.
    Chapter 3 analyzed the period of writing and the purpose of writing. Chapter 4 explained and supplemented the composition and main contents of the topic based on existing research results. Subsequently, and Chapter 5 briefly summarized the influence and significance of Theory of Wickedness Expulsion on Confucian intellectuals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last Chapter 6 introduced the remaining follow-up tasks instead of conclus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