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선도의 '삼원오행론' - ‘음양오행론’의 포괄 - (The doctrine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three-dimension(三元五行論) in Korean Sun-do(韓國仙道) - Inclusion of the doctrine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陰陽五行論) -)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08.06
24P 미리보기
한국선도의 '삼원오행론' - ‘음양오행론’의 포괄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48호 / 325 ~ 348페이지
    · 저자명 : 정경희

    초록

    한국선도를 대표하는 경전인 『천부경』·『삼일신고』에는 한국선도 존재론의 핵심인 ‘一·三·九論’의 구조가 드러나 있고 ‘三元造化論’의 교훈 또한 제시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특히 『천부경』·『삼일신고』의 ‘일·삼·구론’ 및 ‘삼원조화론’에 대한 일해석학으로서 선도사서의 하나인 『符都誌』에 담긴 ‘일·삼·구론’ 및 ‘氣·火·水·土·天符論’을 천착해 보았다. 『부도지』 속의 ‘일·삼·구론’ 및 ‘기·화·수·토·천부론’을 통하여 『천부경』·『삼일신고』에 대한 또 다른 접근법을 찾아본 것이다.
    일단 『천부경』·『삼일신고』의 존재론적 기초인 ‘일·삼·구론’에서 출발하여 『부도지』의 ‘일·삼·구론’을 살펴보았고 이를 ‘기·화·수·토·천부’의 측면으로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일·삼·구론’이 곧 ‘三元五行論’이기도 함을 증명해 보았다.
    또한 ‘일·삼·구론(三元五行論)’ 속에 ‘一·二·四·八論(陰陽五行論)’이 내포되어 있음을 고찰함으로써 ‘일·삼·구론(삼원오행론)’과 ‘일·이·사·팔론(음양오행론)’이 실상 같은 논리의 다른 표현임도 증명하였다.
    특히 ‘일·이·사·팔론(음양오행론)’ 보다는 ‘일·삼·구론(삼원오행론)’이 존재의 중심 조화점으로서 三元 중의 ‘人(氣에너지)’ 차원, 또 九元(五行) 중의 ‘天符’ 차원을 명확하게 드러내고 있다고 보고 ‘일·삼·구론(삼원오행론)’ 속에 담긴 교훈을 ‘삼원조화론’ 또는 ‘天符造化論’으로 명명해 보았다.
    ‘일·삼·구론(삼원오행론)’ 속에 ‘일·이·사·팔론(음양오행론)’이 포괄되어 있지만 ‘일·이·사·팔론(음양오행론)’보다는 ‘일·삼·구론(삼원오행론)’이 한국선도의 ’三元조화‘, 또는 ’天符조화‘라는 본질을 더욱 잘 설명해 주는 상위 개념으로 이해한 것이다.
    더하여 『부도지』에서 ‘木·火·土·金·水 五行論’중 중앙의 ‘土’가 ‘통제점’으로 이해되어온 점을 비판하고 이 자리가 ‘통제점’이 아닌 ‘조화점’의 자리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 내용을 통해서도 한국선도 ‘일·삼·구론(삼원오행론)’의 ‘천부조화론’적 복선을 재차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부도지』의 ‘일·삼·구론(삼원오행론)’은 ‘일·이·사·팔론(음양오행론)’의 논리 구조를 포괄하고 있을 뿐아니라 무엇보다도 한국선도의 최대 강점이자 특징인 ‘삼원조화론(또는 천부조화론)’을 선명하게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시 한번 그 의의를 평가해보게 된다. 『천부경』·『삼일신고』에 제시된 바 한국선도의 ‘일·삼·구론’은 『부도지』를 통하여 더욱 풍부한 생명력을 부여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the midst of the weakening trend of Korean Sun-do(韓國仙道)'s tradition since Korea antiquity, there was once a revival of Sun-do's tradition after the latter period of the 19th century, but it was not well handed down. Sun-do, in modern times, is being modernized in the manner of corresponding with circumstances of modern society by accessing the people, who are mentally, physically exhausted, in the method of mind & soul discipline.
    There exists a brilliant insight into substance of existence at the base of Korea Sundo's tenacious life force, still radiating brilliantly by jumping over the intervals from time immemorial to the present even in modern times. Particularly, the topmost Scripture-Cheonbukyeong contains the ‘Three-Dimension Harmony Theory’ expressed in the most substantial, explicit insight.
    The ‘Three-Dimension Harmony Theory’ include the Heaven(天), Earth(地), and Man(人) as the three dimensions of existence in which the ideas suggest a dimension of the phenomenon[地, material elements], a dimension of the superintends[天, Naught(無·空) or Information], and a dimension of the main body[人, ki(氣), Energy] which links the world of substance and phenomenon, superintends at a position of a master and helps man understand the mechanism in harmony with these three dimensions, finally causing Man to realize the fact that the three dimensions are basically oneness indivisible.
    The ‘Three-Dimension Harmony Theory’ think much of creativity in which the dimension of Man[Ki, energy], and suggests creation grasping the existence as unified whole, and a world view of integration. Particularly, ‘Three-Dimension Harmony Theory’ have a meaning and value of all ages in that they represent the idea of creation and peace that can overcome confrontation and conflict contained in two-dimensional thinking system such as "the logic of black and white."
    This writer has chased after 'the theory of One-Three-Nine' before as the ‘Three-Dimension Harmony Theory’s ontological base in order to have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Three-Dimension Harmony Theory’ expressed in Cheonbukyeong and further intended to portray the whole image of Korea Sun-do's ‘Three-Dimension Harmony Theory’ by pursuing even the ‘Three-Dimension Harmony Theory’ contained in other key data related to Sun-do.
    In this research, this writer specially tried to pursue the ‘Three-Dimension Harmony Theory’ contained in Budoji- one of history books on Sun-do. Through "the Theory of One-Three-Nine" and "the theory of Five Elements - Ki(氣), fire, water, earth, and Chunbu(天符)', this writer tried to access ‘Three-Dimension Harmony Theory’ of Cheonbukyeong; in other words, this writer made an access to the Budoji as analytics of the Cheonbukyeong's ‘Three-Dimension Harmony Theory’.
    Started from "the theory of One-Three-Nine" which is the basis of Cheonbukyeong's ‘Three-Dimension Harmony Theory’, This writer considered Budoji's 'the theory of One-Three-Nine' and "the theory of Five Elements - Ki(氣), fire, water, earth, and Chunbu(天符)'.
    As a result, this writer considered that 'the theory of One-Three-Nine' contains 'the theory of One-Two--Eight-Nine' and 'the theory of One-Three-Nine' reveals more distinctly a dimension of the main body[人, ki(氣), Energy] among three dimensions and Chunbu(天符) among three dimensions, which is the central harmony point, than 'the theory of One-Two--Eight-Nine'. This writer named this considerations as ‘Three-Dimension Harmony Theory’ and ‘Chunbu Harmony Theory’
    Through the Budoji's criticism that a earth element(土) among Five Elements(three, fire, earth, iron, water) has been interpreted not as harmony point but as control(suppression) point, the underplot of ‘Chunbu Harmony Theory’ can be found. Like this, 'the theory of One-Three-Nine' contains ‘Three-Dimension Harmony Theory’(or ‘Chunbu Harmony Theory’), which is the strong point of Korean Sun-do. With these theories, we can understand the message of 'Harmony' of Korean Sun-do.
    As specified above, this writer took a look at Budoji-contained ‘Three-Dimension Harmony Theory’(or ‘Chunbu Harmony Theory’) as analytics for Cheonbukyeong's ‘Three-Dimension Harmony Theory’. If Cheonbukyeong should suggest the prototype of the ‘Three-Dimension Harmony Theory’, the analytics-based possibility subsequent to the transition of the periods in the succeeding generations would be perpetual and so would it be from now on.
    We cannot be sure that ‘Three-Dimension Harmony Theory’ contained in Budoji which is known as Park, Jei-sang's[in the period of Silla] book written in the 5th century corresponds completely with Cheonbukyeong's ‘Three-Dimension Harmony Theory’, but ‘Three-Dimension Harmony Theory’ is fully worthy to be one of analytics of Cheonbukyeong's ‘Three-Dimension Harmony Theory’ for the succeeding generations. For now, I am looking forward to the revelation of the ‘Three-Dimension Harmony Theory’ true character through the pickout of much more data and various methods of access.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