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주변 인식의 변화와 소통의 가능성 - 18세기 연행록과 북학파를 중심으로 - (Changes in the Recognizing of China and the Possibility of Mutual Understanding during the Eighteenth-Century Choson Period)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09.06
29P 미리보기
조선 후기 주변 인식의 변화와 소통의 가능성 - 18세기 연행록과 북학파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 수록지 정보 : 개념과 소통 / 3호 / 99 ~ 127페이지
    · 저자명 : 이경구

    초록

    18세기 사신들의 북경 연행기는 정보 전달 기능뿐만 아니라, 청에 대한 인식을 고정시키거나 반대로 인식 변화를 촉구하는 텍스트로도 독해될 수 있다. 이 논문은 18세기 연행기가 전하는 많은 정보를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기준으로 층위를 나누고, 고정성을강화하거나 선입견을 극복하는 과정을 계열화하여 살핀다.
    18세기 초 연행기는 대개 주관을 배제한 정보 전달, 정치 성과의 공(功)ㆍ과(過) 분석, 유민(遺民)의식의 확인 및 복식의 대비를 통한 조선의 자부심 확인 등의 경향이 강했다. 그것은 고정된 인상을 만들어 내고, 담론의 답습을 통해 선입견으로 굳어지는 양상을 낳기도 했다. 굳어진 선입견은 청의 변화에 조응하는 인식과 그를 통한 나와 타자의 재정의에 장애가 되었다.
    그러나 18세기 후반으로 갈수록 정보와 인상 전달을 넘어 새로운 사유의 틀과 주체(나-조선-인간) 인식을 촉구하는 수준의 연행기가 점차 늘어났다. 이른바 북학파로대표되는 연행 기자들은 청 지배의 안정성과 문물의 성과를 적극 평가하고, 역사적사실을 교정하거나 선입견에 안주한 조선 지식인의 반성을 요구하였다.
    반성적 사유의 선두를 형성했던 이들은 주지하듯이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였다. 그런데 그들은 화이관의 반성과 청에 대한 적극적 문물 수용이란 큰 테두리는 공유했지만, 북학을 강조하는 사고의 근저와 지향점에선 차이를 보였다. 홍대용은 절대기준의무화(無化)와 시각의 상대성에 따른 자기 선입견의 해체를 통해 만물의 차별 논리를부정하는 단계까지 나아갔지만, 박지원은 절대 기준과 시각의 상대성을 긍정하면서도궁극의 지향이 자기중심성의 해체로까지 나아가지 않았고 긴장관계를 유지하였다. 박제가는 기준의 절대성을 유지하였고, 그 기준을 외부〔古制, 청의 문물〕에 두었으므로실제 정책에선 가장 전투적인 문물 수용을 주장했지만 오히려 차별이 기존과 역전한채로 강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홍대용과 박지원의 타자 인식은 근대와 탈근대, 일원 가치와 다원 가치가 혼재하는현재에 나와 타자 사이의 소통에 대한 긍정적 전망을 보여 준다. 직접적인 대입은 어렵겠지만, 적어도 당시 상황에서 나와 타자의 관련을 우주, 자연, 인간, 개인을 포함한영역에서 진지하게 고민하고 상호 의존에 대한 사유를 정밀히 전개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Yonhaeng-gi(documentary literature of China)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Choson intellectual life besides the transferring of information. One example ofthis influence was in relation to the traditional recognition of China and theother, on the contrary, in changing this recognition by presenting thetransformation of China. Yonhaeng-gi, written in the early eighteenth century,had a tendency to introduce news objectively, to analyze political situations, tolook retrospectively at the Ming dynasty, and to assert a self-confident view thatwhile the Chinese under Manchurian control had changed their dress we hadnot. Many parts of Yonhaeng-gi followed previous ones and were discussedcontinuously, so they expressed a common notion—often prejudiced—aboutChina.
    But new styles in writing were gradually appearing in the late eighteenthcentury. ‘Bukhak-pa,’who wrote the masterpieces of Yonhaeng-gi, appreciatedthe political stability and the development of the Qing dynasty, his workscorrecting common prejudices, revealed historical facts, and insisted on the newparadigm of neighboring countries. The leaders of this new tendency are, as isgenerally known, Hong Tae-yong, Pak Chi-won and Pak Che-ga. Though theyshared the outline that we should accept the advanced civilization of Qing, theroots of their thought and the aims of their affirmation of Qing culture weredifferent.
    Hong Tae-yong believed that every being has its own sense if we look at it inthe universal way, so we should affirm a view of the otherness and avoidegocentrism. Pak Chi-won fundamentally agreed with Hong Tae-yong’s thought,but he eventually aimed at self-renov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PakChe-ga, the standard of superiority was clear, because he regarded the standard,not as Choson civilization but that of Qing. Though he insisted aggressively onthe need to accept Qing culture, discrimination between one and the otherremained unchanged.
    We need to re-appreciate the recognition of otherness in the thought of HongTae-yong and Pak Chi-won. Undoubtedly, it is difficult to substitute directly, buttheir meaning of otherness was so wide-ranging, from the individual to nature,that it now inspires us with the affirmative prospect of mutual understand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개념과 소통”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