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현성록>과 <현몽쌍룡기>에 나타난 여성 인물 형상화의 계승과 변이 양상 (Study on Succession and Modification of Female Character Embodiment in and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5.04
28P 미리보기
&lt;소현성록&gt;과 &lt;현몽쌍룡기&gt;에 나타난 여성 인물 형상화의 계승과 변이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학교육학 / 46호 / 283 ~ 310페이지
    · 저자명 : 홍정원

    초록

    <소현성록>은 비교적 이른 시기에 창작된 국문장편소설이면서도 완성도 높은 인물의 형상화 및 서사 전개를 이루어냈으며 <현몽쌍룡기> 또한 빠른 속도의 서사 전개와 흡인력 있는 내용 구성으로 당대에 많은 독자층을 형성한 작품으로서 이미 두 작품에 대한 기존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기존 연구에서는 두 작품을 가문 내 여성의 위치와 관련하여 여성주의적 시각으로 바라보거나 가부장제 하에서 수난당하는 여성들의 모습을 형상화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논의를 전개하여 왔으나 본 논의에서는 유사한 화소를 가진 두 작품에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여성 인물의 형상화를 비교하여 차별 지점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소현성록>과 <현몽쌍룡기>의 남성 인물들은 분량이 길어짐에 따라 서술이 구체화되거나 반복적인 화소가 확장, 반복되는 정도의 유형상 변이가 나타나는 것에 비해 여성 인물은 성장 환경이나 겪는 고난의 정도에서 큰 차이를 드러냄으로써 여성 인물 형상화에 의해 두 작품의 성격이 달라지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이는 두 작품이 동일한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로 분류되지만 17세기에 창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소현성록>과 이보다 후대에 창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현몽쌍룡기>의 차별 지점을 드러내는 하나의 요소가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두 작품에서 여성 인물의 형상화를 중심인물과 주변인물의 관계 및 주된 갈등 양상에 따라 분석하여, 중심인물들의 어머니가 가지는 가권(家權)이 두 작품 안에 어떻게 형상화되어 있으며 일부다처가 용납되는 가부장제 사회제도 안에서 여성들은 어떤 모습으로 형상화되어 있는지, 그리고 두 작품 간 열녀 유형의 변이 양상과 악녀에 대한 징치 정도의 변화에 국문장편소설 향유계층의 욕구가 어떻게 드러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가권(家權)과 관련하여 제1대인 <소현성록>의 양부인과 <현몽쌍룡기>의 태부인은 조선후기로 가면서 유교적 가부장제가 강화되어 정착되고 여성의 지위가 점차 남성에게 종속되는 현상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또한 부인이 다른 여성을 투기하는 것은 집안을 망치는 재앙이라 평하며 경계할 것을 강조하였던 조선후기의 사회적 분위기 안에서 <소현성록>과 <현몽쌍룡기>의 중심 여성인물들은 가부장적 여성 윤리와 함께 열녀에 대한 숭상과 열(烈) 의식의 고취가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널리 퍼져 나갔음을 드러낸다. 그리고 조선 후기 국문장편소설 속 인물의 유형이 다양화되고 소설이 널리 읽히면서 가부장적 윤리의식과 유교적 여성상에 대한 시각은 크게 변화하지 않았으나 악녀형 인물에 대한 시각은 전대에 비해 너그러워져 <소현성록>에 비해 <현몽쌍룡기>가 보다 인간적인 감정을 폭넓게 수용한 일면을 읽어낼 수 있다. 이렇듯 가문의 질서에 순종하며 정절 이데올로기를 부녀자가 갖추어야 할 최고의 가치로 교육받으며 살아 온 전 세대 여성들의 삶의 모습이 관념화되어 <소현성록>에서 <현몽쌍룡기>로 계승되었으나, <소현성록>에 비해 <현몽쌍룡기>가 유교적 이데올로기가 강화되는 조선후기를 배경으로 하면서도 작품 안에 달라진 세태와 보다 대중화된 독자층의 욕구를 드러내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영어초록

    <Sohyunjseongrok> is a Korean full-length novel, created in relatively early period, which created embodiment of character with high degree of completion and narrative development, and <Hyunmongssangryonggi>, also, is a work which formed many readers of the time due to rapid narrative development and content composition with drawing power, research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on the two works. In the existing researches, the discussion has been progressed by viewing the work from the feminist viewpoint in respect of the position of women in the family, or focusing on the embodiment of the females who are suffering under the patriarchal system. However, this discussion aimed at comprehending the discrimination point by comparing the female characters which take the absolute part of the two works with similar narration unit structure. While the male characters in <Sohyunseongrok> and <Hyunmongssangryonggi> display the type change in a degree of concretizing the narration and expansion and repetition of repetitive narration unit along with the length of quantity, the characteristic of the two works differed along with the embodiment of the female characters, who displayed big difference in the degree of growing environment or suffering hardship. This becomes a factor to reveal the differentiated point between <Sohyunseongrok>, which is presumed to be created in the 17th century, and <Hyunmongssangryonggi>, which is presumed to be created later, while both works are classified as the Korean full-length novel with the same samdaerok type. Accordingly,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embodiment of authority in family which the mother of main characters has in both works, embodiment of women in the patriarchal social system which allowed polygamy, and how the desire of enjoyment class of Korean full-length novel appeared in the change aspect of the type of virtuous woman and the change of disciplinary degree for the wicked woman in both works by analyzing the embodiment of female characters of the two works according to the main character and major conflict aspect.
    In respect of authority in family, the 1st generation, madam Yang of <Sohyunseongrok> and madam Tae of <Hyunmongssangryonggi> each occupied the position as the highest adult of their family, however madam Yang appeared to exert influence in family with family authority as the mother, however madam Tae was embodied as a difference appearance, which showed the aspect that Confucian paternalism was intensified and established along with the time went to late Joseon, so that female position was gradually subordinated to male. Also, in the social atmosphere of late Joseon, which emphasized warning of wife being jealous of other women, regarding it as ruining the family, main female characters of <Sohyunseongrok> and <Hyunmongssangryonggi> appeared to obey by making fortunate costume in the situation that their husband receives another wife besides them, which revealed the sight of otherized female, also, which showed that the respect for virtuous women and promotion of virtuous consciousness prevailed in the overall Joseon period along with patriarchal female ethics, which prohibited jealousy by considering it a sin. However, compared to the main female character of <Sohyunseongrok>, main female character of <Hyunmongssangryonggi> was described as more active virtuous woman, which displayed the change to the female image which revealed the active appearance to show the fidelity and spirit for the husband, not merely the obeying virtuous women restricted only to fidelity, as time passed. Also, as the type of character of Korean full-length novel in late Joseon was diversified and the novel was widely read, the viewpoint on wicked women type character became more generous than before, while the viewpoint on patriarchal ethic consciousness and Confucian female image did not largely change, it was determined that <Hyunmongssangryonggi> more widely accepted humanistic emotion than <Sohyunseongrok>. This way, the earlier generation women's life appearance was ideated, who lived by being educated to have the fidelity ideology by obeying the order of family as the best virtue that the women should prepare, and was succeeded from <Sohyunseongrok> to <Hyunmongssangryonggi>, however the female characters of the two works revealed difference in the position of women in family, appearance of virtuous women, and disciplinary method for wicked women, etc. This research determined that <Hyunmongssangryonggi> revealed changed social condition and more popularized readers’ demand than before, compared to the previous time which appeared in the work, compared to <Sohyunseongrok>, while it was based on the background of late Joseon which intensified Confucian ide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