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경록』으로 보는 조선 후기 관찰사에 의한 살사(殺死)사건 처리 실태 (Yugeongnok and the Way of Handling Murder and Death Cases by the Provincial Governor in the 19th Century)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2.06
52P 미리보기
『유경록』으로 보는 조선 후기 관찰사에 의한 살사(殺死)사건 처리 실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32권 / 2호 / 505 ~ 556페이지
    · 저자명 : 문준영

    초록

    『유경록(惟輕錄)』은 조선 후기의 문신 경산(經山) 정원용(鄭元容, 1783-1873)이 형조판서(1832.8.-1832.9)와 평안감사(1833.11.-1835.7)로 재임하였을 때 취급한 살사(殺死) 사건에 대한 처결기록을 묶은 책이다. 연세대학교 국학자료실에 『유경록(惟輕錄)』 5책본 필사본 2종, 1책본 필사본 1종이 소장되어 있다. 정원용은 정조의 형정론(刑政論)을 적극적으로 계승하려 한 자로 평가된다. 정조는 통상의 살옥죄인에 대한 재판방법으로서 종래의 ‘삼복제도’를 중단하고 ‘심리’를 일반화함으로써 ‘심리의 시대’를 열었다. 『유경록(惟輕錄)』은 19세기 심리의 시대의 한 장면을 잘 보여주며, 특히 평안감사 시절의 기록을 통해 관찰사가 관내에서 발생한 살사사건을 어떻게 처결하고 있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살사사건의 처리 실태를 사건의 종류, 조사 진행 단계 및 절차에 따라 살펴보고자 하였다. 전체적으로 보면, ‘검험 또는 그에 갈음하는 조사’를 거쳐 ‘비살옥사건의 후속 조사’와 ‘살옥사건의 성옥 후 회추(동추)’로 조사의 형식과 절차가 분기하고, 그 가운데 살사사건이 살옥과 비살옥으로 분류되어 ‘검험-살옥사건-성옥-회추(동추)’, ‘검험-비살옥사건-불성옥-관할수령에 의한 후속조사’의 경로로 절차가 진행된다. 이와 같은 경로 분기와 절차 진행은 일견 명료해보지만 그 속에는 회색지대가 넓게 자리 잡고 있었다. 특히 관찰사의 광범위한 직단권에 의하여 생각보다 훨씬 많은 사건이 관찰사의 손으로 감처되고 있었고, 직단과 상주 사이의 경계를 모호하다는 점을 관찰할 수 있다. 조선 후기 형사사법의 전체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유경록』과 같은 실무현장의 자료가 더욱 많이 발굴하고 활용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Yugyeongnok(惟輕錄), the Record of in dubio pro leviore poena, is a compilation of the decision of criminal cases by Jeong, Won-young(鄭元容, 1783-1873) during his term of the Minister of Justice and the Governor of Pyeongan province. He is regared as a person who tried to follow the King Jeongjo's idea and practice for the penal policy. In the realm of criminal justice that deals with felonies including homicide and manslaugher punishable by death, the 19th century can be called the era of the Simri(審理) or special reexamination, in which the Simri[審理] became the general way of disposing the death penalty cases instead of the Gyebok[啓覆] which had no longer been practiced since 1880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Cases recored in Yugeongnok, of which the title was derived from the phrase showing classical idea of the Confucian criminal policy, show the reality of handling murder and death cases in local society, and provide useful and interesting cases for detailed analysis of the investigation and adjudication procedures. In this article, I tried to examine the way of handling cases according to types of case and stages of investigation process. In order to understand the overall picture of criminal justi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is necessary to discover and utilize more practical field materials such as Yugyeono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3 오전